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박동춘
응송 박영희 스님에게 <다도전게(茶道傳偈)〉를 받음으로써 조선 후기 초의선사에 의해 정립된 우리 전통 차의 적통인 ‘초의차’의 이론과 제다법을 이어받았다.저자는 ‘초의차’를 잇는 한편 초의선사뿐 아니라 한국 차 문화와 관련된 자료를 발굴하고 연구하는 일을 병행하면서 동국대 대학원 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성과를 모아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응송 박영희 스님으로부터 무공(無空)이라는 법호를 받았고, 사단법인 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이사장·소장)에서 ‘초의차’를 계승하는 ‘동춘차’를 만들며 한국 다도의 맥을 보존·전수하고 있다. 성균관대학, 동국대학 등에 출강하였고, 현재 한국전통문화대학 겸임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제2회 화봉학술문화상을 수상하였고, 제22회 행원학술 특별상을 받았다. 저서로는 『초의선사의 차 문화 연구』(일지사), 『맑은 차 적멸을 깨우네』(동아시아), 『우리 시대 동다송』(북성재), 『추사와 초의』(이른아침), 『박동춘의 한국 차문화사』(동아시아), 『조선의 선비 불교를 만나다』(이른아침), 『초의스님 전상서』(이른아침)등이 있다.
지은이 : 이창숙
한양대학교 대학원 문화인류학박사현) 원광대학교 예문화와다도학과 초빙교수현) 문화살림연구원장저서 및 주요논문『커피와 차, 인문으로마시다』「한국 현대 茶道의 여성화와 그 특성」 「한국 ‘茶道’ 傳統의 재창조 과정에 대한 一考」「기호식품으로서 茶의 이미지 형성과 효과」「茶, 生理活性에 대한 綜合的 考察」 등.전북도민일보(2017~현재) 기획특집, 이창숙 칼럼 ‘차의 맛, 소통의 맛’ 연재 중.
제Ⅰ장 茶聖 초의
1. 초의 의순의 생애
1) 생애
2) 사승관계
3) 저술
2. 『다신전』 편찬 배경
3. 「동다송」 저술 배경
1) 저술 배경
2) 저술 의의
3) 체제 및 인용 문헌
제Ⅱ장 다신전과 동다송
1. 『茶神傳』 원문 및 번역문
2. 「東茶頌」 원문 및 번역문
제Ⅲ장 초의차의 예찬
1. 금령 박영보의 「남다병서」 저술 배경
1) 생애
2) 저술 배경
2. 「南茶幷序」 원문 및 번역문
3. 자하 신위의 「남다시병서」 저술 배경
1) 생애
2) 신위와 초의의 교유
3) 신위의 초의차 애호
4. 「南茶詩幷序」 원문 및 번역문
제Ⅳ장 초의 의순 연표
참고문헌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