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인문,사회
한미일 관계는 유지될 수 있는가 이미지

한미일 관계는 유지될 수 있는가
논형 | 부모님 | 2025.08.29
  • 정가
  • 23,000원
  • 판매가
  • 21,850원 (5% 할인)
  • S포인트
  • 690P (3% 적립)
  • 상세정보
  • 15.2x22.3 | 0.470Kg | 336p
  • ISBN
  • 9788963579986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국제정치와 외교, 그리고 역사적 통찰을 바탕으로 한미일 삼각관계의 현재와 미래를 심층 분석한 책이다. 저자는 미국, 일본, 한국을 오가며 40여 개국을 직접 방문하고 현장에서 경험한 시각을 토대로, 세 나라가 직면한 전대미문의 위기와 불안정한 외교 환경을 입체적으로 조망한다.

경제·AI·군사라는 세 가지 거대한 위기를 서두에서 제시하며, 미중 패권 경쟁 속에서 한일 양국이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 그리고 ‘반도체’라는 새로운 외교 축이 어떻게 안보와 직결되는지를 설명한다. 또한, 역사 속 ‘통치 부전’과 ‘거버넌스’ 문제를 분석하며, 국가가 위기 국면을 돌파하기 위해 필요한 국민 통합·중도주의·국가 역량 강화의 방향을 제안한다.

특히, 저자는 신(新)중도주의라는 동아시아적 중용 사상을 기반으로, 한미일 관계를 ‘제로섬’이 아닌 상생과 협력의 구도로 전환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 역사 문제, 국내 정치의 양극화, 세 나라의 위기 인식 차이 등 민감한 주제들을 피하지 않고 정면으로 다룬다.

  출판사 리뷰

위기 분석을 넘어 해법을 제시한 국제정치서
이 책은 단순한 외교 분석서가 아니라, 현장감과 역사적 깊이가 공존하는 국제관계 인문서에 가깝습니다. 저자는 미국과 일본에서 장기간 생활하며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교포로서의 객관성과 모국에 대한 애정을 동시에 담아냈습니다.
읽는 내내 인상적인 점은, 저자가 ‘한미일 관계’를 고정된 틀이 아니라 유동적이고 불안정한 동맹 구조로 인식하고, 이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반도체 산업의 지정학적 무게나, 북한 핵 문제에 대한 3국의 상이한 계산 같은 주제를 경제·안보·외교가 얽힌 복합 문제로 풀어냅니다.
또한 ‘통치 부전’과 ‘거버넌스’ 분석은 한일 양국의 정치 구조와 위기 대응 능력을 비교하는 흥미로운 시각을 제공합니다. 일본의 집단주의와 한국의 중앙집권적 구조가 위기 상황에서 어떻게 다른 작동 방식을 보이는지를 역사적 사례와 함께 짚어주는 부분이 특히 설득력 있습니다.
무엇보다 이 책의 가치는, 한미일 관계의 미래를 논의하면서 단순한 위기 경고에 그치지 않고 ‘국민 통합’과 ‘중도주의’라는 해법을 제안한다는 데 있습니다. 저자의 제언은 이상론에 머물지 않고, 실제 정치·외교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수준의 현실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한미일 관계는 유지할 수 있는가》는 국제정세를 분석하는 사람, 한일 관계의 역사·정치적 맥락을 깊이 이해하고 싶은 사람, 외교·안보와 경제를 연결한 시각이 필요한 독자에게 일독을 권할 만한 책입니다.

한미일 동맹, 과연 지속 가능한가?

미·중 패권 경쟁의 한복판, 반도체가 외교의 핵심 축이 된 시대. 북한의 핵 위협, 일본의 변화하는 안보 전략, 미국의 영향력 약화… 지금, 한미일 관계는 전례 없는 시험대에 올라 있습니다.
《한미일 관계는 유지될 수 있는가》는 40여 개국을 누비며 국제정세를 직접 관찰한 저자가, 세 나라의 위기 인식 차이와 외교·안보·경제의 복합 변수를 날카롭게 분석한 책입니다.
▶ 경제·AI·군사 3대 위기를 해부
▶ 반도체 외교와 경제안보의 실체
▶ 거버넌스 비교로 본 한일 정치 구조의 차이
▶ 위기 돌파를 위한 신(新)중도주의 전략
국제정치·외교·안보에 관심 있는 독자는 물론, 한미일 관계의 현실과 미래를 깊이 이해하고 싶은 모든 이들에게 강력히 추천합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강동우
한미일을 반세기 체험해 온 얼라이언스, 거버넌스(통치)전문가 1957년 일본 동경에서 출생.1970년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1973년 미국에 유학, MIT 와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에서 학위를 취득.인텔 (반도체 메이커) 사업부장을 포함한 경영직을 역임. 1980년대 미일반도체 마찰 가운데, 미국정부과 협력. 인텔에서 한국과 일본기업과의 얼라이언스 전략의 교섭과 실행을 담당. 한국에서는 이병철 시대의 삼성 반도체 초창기에 인텔측의 교섭상대로 일했다. 그 후 사외이사, 컨설턴트로서 일본 NEC 엘렉트로닉스 와 IBM의 반도체 프로세스 얼라이언스, 미쓰비시 전기와 중국 상해 메이커의 합병회사설립, 소니와 미국기업의 휴먼 인터페이스 공동 프로젝트, 다이뮬러 벤츠 와 일본대학간의 공동연구 등 많은 얼라이언스를 실행. NEC 엘렉트로닉스등 사외이사 역임. 거버넌스 분야에서도 일본, 미국, 중국 기업의 사외이사로서 폭넓은 경험을 하였다. 상장 기업에서 벤처까지 다양한 입장의 조직 형태의 통치를 실시하고 「보수적인 통치」뿐아니라 「적극적=전략적인 통치」도 추진하였다.일본정부(JETRO=일본무역진흥기구, 일본노동연구기구)위원회 위원 역임.일본 오카야마현 지사 고문 역임.미국 싱크탱크 Tando Institute Fellow.미국 반도체 인큐베이터 Silicon Catalyst 고문.출장과 조사를 목적으로 하여 세계 40개국, 미국 40 주, 일본에서는 40개 지방, 한국에서는 독도와 제주를 포함한 모든 지역을 방문하였다. 특히 구계획경제국가 중국, 중앙아시아, 러시아, 동유럽에는 일본 정부의 「하시모토 플랜」 등의 일행으로 방문. 최근10년, 한미일에 매년 3-4개월씩 체재.Is Korea the Next Japan?(6개국어로 출판) 을 비롯하여 한미일에서 여섯권의 책을 출판하였다.1998년 IMF 외환위기당시에는 코리안 심포니와의 자선 음악회를 객원지휘하였고, 2002년에는 일본에서 열린 고이수현씨 추모음악회에서 NHK 교양학단 OB 오케스트라를 객원 지휘하였다.

  목차

서장 승자독식의 권위주의가 민주주의를 이길 수 있을까

1부 전대미문의 위기, 불안정한 한미일

제 1장 미국과 중국 대립에서 고뇌하는 한일의 안보 - 반도체라는 새로운 축이 더해진 외교
제 2장 미일 그리고 한국의 불안정한 내부 사정
제 3장 강해지는 북한, 사면초가(四面楚歌)의 국제사회

2부 통치의 질 - 한일역사 문제의 새로운 시점
제 4장 ① 일본의 통치부전(1936년부터 1942년까지)
제 4장 ② 전쟁시 일본의 식민지 통치부전
제 5장 위기관리 때에 필요한 중앙집권적 의사결정은 과연 일본에 정착할까
제 6장 근대 조선 - 한국의 통치부전과 과도한 집권체제의 영향
제 7장 현대 한국의 통치구조의 빛과 그림자

3부 한국의 잠재능력
제8장 한미일 삼각관계의 장래와 한국의 위상
제9장 신 중도주의

후기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