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시오노 나나미는 특유의 역사와 인간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과 이야기를 전개해나가는 박진감, 그리고 핵심을 곧바로 파고드는 직관적인 문장으로 독자들의 지적 상상력을 무한대로 자극한다. 인류사의 가장 문제적인 장면에 해당하는 십자군 이야기를 통해 독자들은 중세와 십자군의 역사, 더 나아가 인간에 대한 통찰력을 가지게 될 것이며, 현재의 다양한 문화산업에서 변형되어 재생산되는 상상력의 원천으로서의 중세와 십자군 이야기의 매력에 빠져들게 될 것이다.
출판사 리뷰
지적 쾌락과 전율의 책읽기가 다시 시작된다.
세계와 역사, 그 장대한 물결의 흐름을 바꿨던
그 최초의 번뜩임을 목격할 수 있는 시간.
그 순간이 바로 눈앞에서 펼쳐지듯 박진감 넘치는 묘사,
인간과 권력에 대한 통찰,
서슴없이 핵심을 파고드는 시오노 나나미 특유의 문장.
그 어떤 누구도 중세를, 십자군을, 십자군 전쟁을
이처럼 생동감 있게, 박력 있게, 매력적으로 그려내지 못했다.
“신이 그것을 바라신다!”
“신이 그것을 바라신다”, 이 한 마디의 힘은 엄청났다.
교황 우르바누스 2세의 이 한 마디에, 먼 이국땅 오리엔트로 원정을 떠난 유럽 각국의 빈민들과 제후, 그리고 성직자들. 그리스도교의 성도 예루살렘을 되찾아오기 위해 분투했던 십자군. 그들에 맞서 목숨과 땅을 지키고자 싸운 이슬람 세력. 그리고 같은 그리스도교 제국인 비잔틴제국의 전술. 시오노 나나미는 그들의 전투와 삶을 중세 고딕 성당의 스테인드글라스를 통과한 장엄하지만 어두운 빛이 아니라 드넓은 평원에 내리쬐는 태양광을 광원으로 삼아 찬란하게 빛나는 모습으로 생생하게 그려내 독자들을 매혹시킨다.
십자군 전쟁에서 역사가들은 광기와 사망자 숫자, 증오와 원한에 찬 비극의 기원을 발견하지만, 시오노 나나미는 인간의 욕망과 의지가 만들어낸 장대한 드라마를 발견하고, 그 빛과 어둠 속에서 매혹적인 인간 군상의 스토리를 압도적으로 그려낸다.
십자군 전쟁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랜 기간인 200여 년 동안 치러진 전쟁이자 세계 2대 종교가 격돌한 십자군 전쟁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어떤 이는 이 책에서 부시와 오사마와 오바마의 본 얼굴을 발견하게 될지도 모른다. 이 전쟁은 저 멀리 팔레스타인과 걸프 만에서만 벌어지는 것이 아니다. 지금 우리의 의식과 무의식 속에서도 진행되고 있다. 종교라는 이름으로, 권력이라는 이름으로, 자원이라는 이름으로……
시오노 나나미는 특유의 역사와 인간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과 이야기를 전개해나가는 박진감, 그리고 핵심을 곧바로 파고드는 직관적인 문장으로 독자들의 지적 상상력을 무한대로 자극한다. 인류사의 가장 문제적인 장면에 해당하는 십자군 이야기를 통해 독자들은 중세와 십자군의 역사, 더 나아가 인간에 대한 통찰력을 가지게 될 것이며, 현재의 다양한 문화산업에서 변형되어 재생산되는 상상력의 원천으로서의 중세와 십자군 이야기의 매력에 빠져들게 될 것이다. 귀스타브 도레의 섬세하면서도 장엄한 판화 작품을 중심으로 지도와 간략한 해설의 세 요소가 조화를 이루며 십자군의 전 역사를 조망하는 『그림으로 보는 십자군 이야기』는, 『십자군 이야기』(전3권)와 함께 총 네 권으로 완결될 시리즈의 ‘서곡’이다. 시오노 나나미는 현재까지 \'십자군 이야기\' 시리즈를 집필중이다.
작가 소개
저자 : 시오노 나나미 (鹽野七生)
1937년 7월 7일 도쿄에서 태어나 가쿠슈인(學習院) 대학 철학과를 졸업한 뒤 이듬해인 1964년 이탈리아로 건너가 혼자서 공부했다. 서양문명의 모태인 고대 로마와 르네상스의 역사현장을 발로 취재하며 40여 년 동안 로마사에 천착하고 있는 그는 기존의 관념을 파괴하는 도전적 역사해석과 소설적 상상력을 뛰어넘는 놀라운 필력으로 수많은 독자를 사로잡고 있다. 2002년 이탈리아의 국가훈장인 국가공로상을 받았고, 2007년 일본 정부로부터 문화공로자로 선정되었다.
작품으로 처녀작 <르네상스의 여인들>을 비롯하여 <체사레 보르자 혹은 우아한 냉혹>(1970년 마이니치 출판문화상), <바다의 도시 이야기>(1982년 산토리 학예상), <나의 친구 마키아벨리>(1988년 여류문학상) <신의 대리인> <르네상스를 만든 사람들>, 그의 필생의 역작인 <로마인 이야기>(전15권, 1993년 신조학예상, 1999년 시바 료타로상)가 있다. 이후 <로마 멸망 이후의 지중해 세계>(상·하)를 펴냈다. 그밖에 <나의 인생은 영화관에서 시작되었다> <침묵하는 소수> <사랑의 풍경> <살로메 유모 이야기> <이탈리아에서 온 편지>(1·2) 등의 에세이와, 삽화소설 <어부 마르코의 꿈> <콘스탄티노플의 뱃사공>, 영화감독을 꿈꾸는 아들과의 대화를 담은 <로마에서 말하다>를 펴냈다. 2010년부터 <십자군 이야기> 시리즈에 몰두하고 있다.
역자 : 송태욱
연세대학교 국문과와 동 대학 대학원을 졸업하고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도교외국어대학 연구원을 지냈으며, 2011년 현재 연세대학교에서 강의하며 번역 일을 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르네상스인 김승옥》(공저)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사랑의 갈증》《비틀거리는 여인》《세설》《만년》《환상의 빛》《눈의 황홀》《윤리 21》《포스트콜로니얼》《트랜스크리틱》《천천히 읽기를 권함》《연애의 불가능성에 대하여》《소리의 자본주의》《매혹의 인문학 사전》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