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체면을 중시하는 한국의 리더는 왜 존재하는가? 한국 사회에서 리더는 단순한 직위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정치가, 기업가, 교육자, 종교인 등 분야를 막론하고 한국의 리더들은 체면이라는 보이지 않는 규범을 지키려 한다. 이 책은 한국 사회에서 체면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과 그 본질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체면을 구성하는 권위, 위상, 급과 격, 인품, 품위라는 다섯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적 리더십을 설명한다.한국의 리더들은 체면이 떨어지면 권위가 추락하고 이미지가 손상되며 리더십 자체가 흔들린다고 믿는다. 이러한 인식은 조선 시대 사대부의 가치관에서 비롯되었으나,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이 책은 과거 봉건시대부터 현대 민주사회까지 이어지는 체면 문화의 맥락을 역사적 사례와 현대 사회 분석을 통해 풀어낸다.특히 정치인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법적 권위뿐 아니라 사회적 권위, 즉 체면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조직문화, 대인관계, 사회적 평판까지 포괄하는 체면의 다양한 측면을 심리학적, 사회학적관점에서 고찰한다. 또한 개인의 체면 욕구가 직업 선택, 인간관계, 소비문화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점도 구체적으로 밝힌다.
출판사 리뷰
한국 리더의 얼굴, 체면에서 시작된다!
리더십과 체면 문화의 숨은 공식, 지금 밝혀진다
권위, 위상, 격과 급, 인품, 품위.
체면 없는 리더십은 없다!
한국 리더들의 행동 기준, 체면 문화의 구조와 의미를 분석한다.
정치가, 기업가, 사회 지도층은 물론 평범한 시민까지,
한국 사회에서 체면은 왜 중요한가를 깊이 있게 풀어냈다.
체면을 중시하는 한국의 리더는 왜 존재하는가?
한국 사회에서 리더는 단순한 직위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정치가, 기업가, 교육자, 종교인 등 분야를 막론하고 한국의 리더들은 체면이라는 보이지 않는 규범을 지키려 한다.
이 책은 한국 사회에서 체면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과 그 본질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체면을 구성하는 권위, 위상, 급과 격, 인품, 품위라는 다섯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적 리더십을 설명한다.
한국의 리더들은 체면이 떨어지면 권위가 추락하고 이미지가 손상되며 리더십 자체가 흔들린다고 믿는다.
이러한 인식은 조선 시대 사대부의 가치관에서 비롯되었으나,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이 책은 과거 봉건시대부터 현대 민주사회까지 이어지는 체면 문화의 맥락을 역사적 사례와 현대 사회 분석을 통해 풀어낸다.
특히 정치인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법적 권위뿐 아니라 사회적 권위, 즉 체면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조직문화, 대인관계, 사회적 평판까지 포괄하는 체면의 다양한 측면을 심리학적, 사회학적관점에서 고찰한다. 또한 개인의 체면 욕구가 직업 선택, 인간관계, 소비문화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점도 구체적으로 밝힌다.
이 책은 한국 사회에서 리더십의 본질을 알고자 하는 독자, 한국 문화의 숨은 규범을 이해하고자 하는 독자 모두에게 꼭 필요한 안내서가 될 것이다. 체면 문화의 긍정적 활용법과 그 한계까지 통찰한다.
유교 문화권에서 ‘불혹(不惑)’이라는 말은 세상일에 쉽게 흔들리거나 판단을 흐리는 일이 없게 된 나이를 뜻한다. 이런 불혹의 나이에 이르면, 사회적 얼굴을 갖추는 일이 더욱 중요해진다.
우리나라 사회를 흔히 유교적 사상이 사회·문화를 지배하는 유교주의 문화권이라고 한다. 이러한 사회적 얼굴을 한국에서는 체면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체면 문화는 사회 전반의 의식을 규정하는 규범으로 작용하기도 하고 개인의 사회적 욕망으로서 표현되기도 한다. 최근에 사회심리학이나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사회학자들이 이러한 체면에 관한 글을 쓰고 한국인의 사회적 행동을 견인하는 체면이라는 가장 중요한 변수가 갖는 의미와 현실적인 사회생활에서 행동을 탐구하여왔다.
내 자식이 잘되고 내 남편이 잘되려면 있는 집에서야 얼마든지 촌지와 접대를 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남의 이목이나 평판을 중시하는 우리나라 사회에서는 심한 경우 법적인 규제도 중요하지만 계도 활동을 하여 평등 지향적 사회에 걸맞은 체면교 문화권에서 ‘불혹(不惑)’이라는 말은 세상일에 쉽게 흔들리거나 판단을 흐리는 일이 없게 된 나이를 뜻한다. 이런 불혹의 나이에 이르면, 사회적 얼굴을 갖추는 일이 더욱 중요해진다.
우리나라 사회를 흔히 유교적 사상이 사회·문화를 지배하는 유교주의 문화권이라고 한다. 이러한 사회적 얼굴을 한국에서는 체면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체면 문화는 사회 전반의 의식을 규정하는 규범으로 작용하기도 하고 개인의 사회적 욕망으로서 표현되기도 한다. 최근에 사회심리학이나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사회학자들이 이러한 체면에 관한 글을 쓰고 한국인의 사회적 행동을 견인하는 체면이라는 가장 중요한 변수가 갖는 의미와 현실적인 사회생활에서 행동을 탐구하여왔다.
내 자식이 잘되고 내 남편이 잘되려면 있는 집에서야 얼마든지 촌지와 접대를 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남의 이목이나 평판을 중시하는 우리나라 사회에서는 심한 경우 법적인 규제도 중요하지만 계도 활동을 하여 평등 지향적 사회에 걸맞은 체면치레 행위로서 서로에게 부담이 안 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법적인 규제가 심하면 보다 은밀해지고 암암리에 행해지므로 법적인 제재가 미치지 못하게 된다. 이는 정치가들의 행위가 이러한 일반인들의 행위의 모델이 되므로 정치가들을 완벽히 규제할 수 없는데다 일련의 정치 행위를 하려면 최소한의 체면치레 행위는 허용되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진승범
사회문화 연구자이자 커뮤니케이션 전문가.한국인의 의식구조와 사회적 행동 양식을 주제로 다수의 연구와 집필 활동을 해왔다. 전통과 현대를 잇는 한국 리더십 문화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체면 문화와 리더십 관계를 분석한 이 책으로 독자들과 소통하고자 한다.
지은이 : 진재언
사회문화 연구자이자 커뮤니케이션 전문가.한국인의 의식구조와 사회적 행동 양식을 주제로 다수의 연구와 집필 활동을 해왔다. 전통과 현대를 잇는 한국 리더십 문화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체면 문화와 리더십 관계를 분석한 이 책으로 독자들과 소통하고자 한다.
목차
서문 ·
1장 체면의 기초 개념
1. 체면의 개념
2. 체면과 유사한 5가지 용어
1) 권위(權威)
2) 위상(位相)
3) 격과 급: 의전과 모양새
4) 인격과 인품
5) 품위와 품격
2장 전통과 현대의 리더십
3. 봉건적인 체면 리더십은 21세기에도 여전히 유효한가?
4. 체면의식과 체면문화
5. 21세기에도 리더들은 체면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 직업과 신분은 어느 정도 되어야 하는가?
2) 정치가에게 가장 중요한 체면 요소는 무엇인가?
3장 유교와 체면 가치
6. 체면의 개념 2
1) 장유유서(長幼有序)
2) 부자유친(父子有親)
3) 붕우유신(朋友有信)
4장 개인과 체면의 심리
7. 체면과 개인
8. 개인의 체면 욕구
9. 체면과 남녀관계
10. 대인관계 규범으로서 체면
11. 체면 손상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12. 체면과 예의 염치
13. 체면과 격식과 모양새
14. 체면치레: 처세의 기본
15. 여성과 체면 욕구
5장 체면과 조직, 사회
16. 조직문화와 눈치
17. 체면과 눈치
18. 체면을 내려놓아야 할 때: 체면과 연고와 인맥의 중요성
19. 체면에 민감한 한국인
20. 체면과 인정
21. 체면과 사회적 동조
22. 체면유지와 과시소비와 과소비의 문제점
6장 체면 문화의 정점
23. 체면 문화
24. 체면 문화와 대한민국 주류
25. 상대방의 체면 세워주기의 긍정적 효과
26. 체면 있는 회사나 브랜드 명명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