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소설
창모 Chang-mo 이미지

창모 Chang-mo
도서출판 아시아 | 부모님 | 2019.04.29
  • 정가
  • 10,000원
  • 판매가
  • 9,000원 (10% 할인)
  • S포인트
  • 500P (5% 적립)
  • 상세정보
  • 18.8x11.5 | 0.126Kg | 120p
  • ISBN
  • 9791156624073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2019년 4월, K-픽션 스물다섯 번째 작품으로 우다영의 <창모>가 출간되었다. 우다영은 2014년 「세계의 문학」 신인상을 수상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창모'는 다수의 사람들이 기피하고 피하고 싶어 하는 요주의 인물이다. 창모는 학창 시절에도 알 수 없는 행동으로 사람들을 공포에 몰아넣었으며 상식적으로는 절대 생각할 수 없는 행동을 일삼기도 한다. 창모의 친구인 '나'는, 그런 창모에 대해 별다른 감정 없이 가깝지도 멀지도 않은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며 관찰하는 일상을 보낸다.

허희 문학평론가는 <창모>의 해설에서, 우다영 작가는 우연에 내포된 기미에 관심이 많으며 어떤 일이 생길 낌새에 예민하여 그를 소설에 드러내는 것에 탁월하다고 이야기한다. 반사회적 성격장애를 가진 '창모'라는 인물이 생각하고 움직이는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나'라는 서술자로 하여금 단지 '창모'를 공포의 대상으로 규정할 것이냐 혹은 인간적인 선의를 보여줄 것이냐에 고민하게 하는 기로를 예로 들며, '무수한 (불)가능성의 우연적 확률은 우리에 의해 변한다'고 평한다.

  출판사 리뷰

내면의 내밀한 틈, 그 사이를 섬세하게 짚어내는 묘한 시선

2019년 4월, K-픽션 스물다섯 번째 작품으로 우다영의 「창모」가 출간되었다.


우다영은 2014년 《세계의 문학》 신인상을 수상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2018년 첫 번째 소설집 『밤의 징조와 연인들』을 발간했으며, 우다영은 세상의 모든 우연들이 모여 인간과 인간, 사회와 사회 사이의 인과 관계를 만들어낸다고 믿는 작가다. 때문에 우다영의 소설들은 수많은 우연들이 묶여 단단하고 섬세하며, 내밀하게 인물들과 사건들의 행보를 좇는다.

‘창모’는 다수의 사람들이 기피하고 피하고 싶어 하는 요주의 인물이다. 창모는 학창 시절에도 알 수 없는 행동으로 사람들을 공포에 몰아넣었으며 상식적으로는 절대 생각할 수 없는 행동을 일삼기도 한다. 창모의 친구인 ‘나’는, 그런 창모에 대해 별다른 감정 없이 가깝지도 멀지도 않은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며 관찰하는 일상을 보낸다.

허희 문학평론가는 「창모」의 해설에서, 우다영 작가는 우연에 내포된 기미에 관심이 많으며 어떤 일이 생길 낌새에 예민하여 그를 소설에 드러내는 것에 탁월하다고 이야기한다. 반사회적 성격장애를 가진 ‘창모’라는 인물이 생각하고 움직이는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나’라는 서술자로 하여금 단지 ‘창모’를 공포의 대상으로 규정할 것이냐 혹은 인간적인 선의를 보여줄 것이냐에 고민하게 하는 기로를 예로 들며, ‘무수한 (불)가능성의 우연적 확률은 우리에 의해 변한다’고 평한다.

전 세계 독자들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한국문학의 최첨단, K-픽션

박민규의 「버핏과의 저녁 식사」로 문을 연 은 최근에 발표된 가장 우수하고 흥미로운 작품을 엄선해 한영대역으로 소개하는 시리즈로, 한국문학의 생생한 현장을 국내외 독자들과 공유하고자 기획되었다. 매 계절마다 새로운 작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현재 총 25권이 출간되었다.

세계 각국의 한국문학 전문 번역진이 참여한 수준 높은 번역

하버드대학교 한국학 연구원, 코리아타임즈 현대문학번역상 수상 번역가 등 <바이링궐 에디션 한국 대표 소설> 시리즈에 참여한 바 있는 여러 명의 한국문학 번역 전문가들이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번역의 질적 차원을 더욱 높이고자 심혈을 기울였다. 번역은 제2의 창작물이라는 수식어가 붙을 정도로 문화적 배경이 다른 한 나라의 언어를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일은 지난한 작업의 결과물이다. 작품의 내용을 그대로 옮기면서도 해외 영어권 독자들이 읽을 때에 유려하게 번역된 글을 읽을 수 있게 하여 작품에 대한 감동을 그대로 전했다. 영어 번역에는 세계 각국의 한국문학 전문 번역진이 참여했으며, 번역과 감수, 그리고 원 번역자의 최종 검토에 이르는 꼼꼼한 검수 작업을 통해 영어 번역의 수준을 끌어올렸다. 은 아마존을 통해서 세계에 보급되고 있으며, 아시아 출판사는 시리즈를 활용하여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독자들을 대상으로 한국 작가들과 직접 만나 교류할 수 있는 작가와의 만남 행사를 주기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내가 창모의 친구라는 것을 알게 되면 열이면 열 “네가 대체 왜?”하고 되묻곤 했다. 모종의 이유가 숨겨져 있을 거라는 확신. 나를 향한 염려. 혹은 내가 위험한 짓을 벌이고 있다는 부드러운 책망이 그 물음에 깔려 있었다. 때론 다정한 미소 뒤에 나를 다시 판단하기 시작한 차갑고 정중한 경계심이 떠올랐다. 그럴 때면 나는 매번 창모와 친구인 이유를 잘 설명하지 못하면서도 다만 그와 친구가 맞다는 하나마나한 대답을 하곤 했다.
When people found out that I was friends with Chang-mo, they never failed to ask, “Why?” This single word contained certainty that there must be some special reason we were friends, sincere concern for me, or subtle reproach for my doing something so reckless. At times, people put up cold yet polite guard behind their smiling faces and began to judge me in a different light. Yet every time, I answered that I was his friend even though I couldn’t explain exactly why.
-「창모」

사실 나는 그동안 마음속으로 창모를 염려하며, 경계하며, 가여워하며, 두려워하며, 사랑하며, 미워하며, 그리워하며 무수히 버리고 구하기를 반복했다. 어느 쪽으로 걸어도 현명한 답이 될 수 없음을 알면서도 창모에게 이런 사람이 하나도 존재하지 않는 세상을 상상하면, 아무도 창모의 마음을 모르고 이해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면, 모두에게 창모는 그저 알 수 없는 위협적인 존재이고 눈앞에서 치워야 하는 괴물이 되는 상상을 하면, 창모와 함께 걷는 걸음을 멈출 수 없었다.
Actually, for a while, I’ve worried about Chang-mo, been cautious of him, felt pity for him, been scared of him, loved him, hated him, missed him, and repeatedly abandoned him and saved him. I knew that none of that was the right solution, but I couldn’t walk away from him when I thought about a world where no one like me existed for Chang-mo, where no one understood or knew what he was feeling, where everyone thought he was just a dangerous monster that needed to be removed from their sight.
-「창모」 (창작 노트 중에서 From Writer’s Note)

창모와의 관계에 이것을 적용해볼 수 있다. 반사회적 성격장애를 가진 그를 어떻게 대할 것인가. 창모를 공포의 대상으로 규정하고 그를 피하거나 없애야 하나. 아니면 창모를 혼자 두지 않고 그가 험악한 마음을 먹지 않도록 도와야 하나. 우다영은 명백하게 후자를 지지한다. 소설에 그 단서가 있다. 버스에서 임신부를 저주한 창모에게 ‘나’는 네가 한 행위가 왜 문제인가를 조곤조곤 설명한다. 창모는 놀라운 반응을 보인다. 그는 소리 내어 웃은 뒤 말한다. “너랑 이야기하면 화가 사라져. 화가 났던 건 진짠데, 진짜 죽고 싶었는데 내가 정말 그런 마음이었는지 나도 알 수 없게 돼 버려. 신기하지 않아?” 창모는 신기했겠지만 이는 사실 신기한 일이 아니다. 오직 ‘나’만 그를 이야기 나눌 수 있는 사람으로 대했기 때문이다. 아마 그래서였을 테다. 창모가 “단 한 번도 나를 공격하려 한 적이 없”던 것도. 무수한 (불)가능성의 우연적 확률은 우리에 의해 변한다.
We can apply this to the relationship with Chang-mo. How should we treat Chang-mo, who suffers from ASPD? Should we label him as a subject of fear and remove him or eliminate him? Or should we stay with him and help him so that he doesn’t think about doing something terrible? It is obvious that Woo supports the latter. The clue is in the short story. After Chang-mo cursed the pregnant woman on the bus, the narrator quietly explains why his actions were problematic. And Chang-mo’s reaction is surprising. He bursts out laughing and says, “You know, my anger just fades when I talk to you. I was for sure really angry, and I really wanted to kill myself, but then I can’t tell if that’s really how I’d felt. Isn’t that interesting?” It might have been amazing to Chang-mo, but it is nothing to be amazed about. He felt this way because the narrator was the only person who treated Chang-mo as someone she could talk to. And that was probably why Chang-mo “never tried to attack [her], not even once.” The accidental probabilities of myriad (im)possibilities change because of us.
-「창모」 (해설 중에서 From Commentary)

  작가 소개

지은이 : 우다영
1990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2014년 세계의 문학 신인상으로 등단했다. 소설집 『밤의 징조와 연인들』이 있다.

  목차

창모 Chang-mo
창작노트 Writer’s Note
해설 Commentary
비평의 목소리 Critical Acclaim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