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소설
엄마의 말뚝 이미지

엄마의 말뚝
다시 읽는 박완서
맑은소리 | 부모님 | 2010.06.10
  • 정가
  • 7,000원
  • 판매가
  • 6,300원 (10% 할인)
  • S포인트
  • 315P (5% 적립)
  • 상세정보
  • 14.8x21x1.5 | 0.600Kg | 147p
  • ISBN
  • 9788979521252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엄마의 말뚝」과 「세상에서 제일 무거운 틀니」로 구성된 박완서의 작품집이다. 모두 세 편으로 이루어진 〈엄마의 말뚝〉 연작은 1편(1980)과 2편(1981)이 〈문학사상〉에 연재된 데 이어 1991년에 3편이 발표되었다. 일제 말과 6.25 전쟁을 관통해 어머니의 투병과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딸의 성장 과정에 따라 \'체험을 기억하는 방식\'으로 진술하고 있는 작품이다. 저자는 이 연작을 통해 개풍박적골을 떠나 대처로 출분한 어머니가 결국 그 어느 곳에서도 자기 삶의 확고한 \'말뚝\'을 갖지 못하고 죽어서야 비로소 딸과의 내밀한 대화를 통하여 자신의 이름을 찾게 된다는 특유의 통찰을 행간에 부려놓는다.

「세상에서 제일 무거운 틀니」는 장애아르르 둔 부모의 문제, 예술을 포기하고 일상의 삶 속으로 빠져드는 절망감, 가족 간의 알력, 이민에 대한 판단, 오빠가 간첩으로 파견되리라는 데서 오는 감시 등을 통해 분단 시대의 냉전적 현실 구조가 어떻게 사람들의 삶을 위축시키고 황폐화시키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작가 소개

저자 : 박완서
1980년대 중반 이후 여성문학의 대표적 작가. 1931년 경기도 개풍군에서 출생으며, 세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서울로 이주했다. 1944년 숙명여자고등학교에 입학한 뒤 교사였던 소설가 박노갑에게 영향을 받았으며, 작가 한말숙과 동창이다. 서울대 문리대 국문과 재학 중 6·25전쟁으로 숙부와 오빠를 잃는 등 집안에 비극적인 사건들이 겹치면서 생활고로 학업을 중단했다. 1953년 직장에서 만난 호영진과 결혼하여 1남 4녀를 두었다.

1970년 <여성동아> 장편소설 공모에 <나목>이 당선되어 불혹의 나이로 문단에 데뷔한 그는 이후 정력적인 창작활동을 하면서 특유의 신랄한 시선으로 인간의 내밀한 갈등의 기미를 포착하여, 삶의 진상을 드러내는 작품세계를 구축해왔다.

처녀작 <나목>을 비롯하여 <세모>(1971), <부처님 근처>(1973), <카메라와 워커>(1975), <엄마의 말뚝>(1980)을 통하여 6·25전쟁으로 초래된 작가 개인의 혹독한 시련을 냉철한 리얼리즘에 입각한 산문정신으로 작품화하였다. 1980년대에 들어서서 <살아있는 날의 시작>(1980), <서 있는 여자>(1985),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1989) 등의 장편소설을 발표하면서 여성의 억압문제에 눈길을 주게 되고, 1980년대 중반 이후 여성문학의 대표적 작가로 주목받았다. 1988년 남편과 아들을 연이어 사별하고 가톨릭에 귀의하였으며,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1994),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1995), <너무도 쓸쓸한 당신>(1998) 등 자전적인 소설을 발표하면서 6·25전쟁의 오랜 피해의식에서 벗어나 삶을 관조적으로 바라보는 면모를 보여주었다.

그의 작품세계는 막힘없는 유려한 문체와 일상과 인간관계에 대한 중년여성 특유의 섬세하고 현실적인 감각이 결합되어 더욱 빛을 발한다. 끔찍할 정도로 생생하게 현실을 그려낼 뿐 아니라, 치밀한 심리묘사와 능청스러운 익살, 삶에 대한 애착, 핏줄에 대한 애정과 일상에 대한 안정된 감각이 있다. 이런 의미에서 그의 소설은 한국문학의 성숙을 보여주는 단적인 지표이다. (--- 두산백과사전)

한국문학작가상(1980), 이상문학상(1981), 대한민국문학상(1990), 이산문학상(1991), 중앙문화대상(1993), 현대문학상(1993), 동인문학상(1994), 한무숙문학상(1995), 대산문학상(1997), 만해문학상(1999), 인촌상(2000), 황순원문학상(2001), 호암예술상(2006) 등을 수상했다.
1998년 문화관광부에서 수여하는 보관문화훈장과 2006년 문화예술인으로서 처음이자 여성으로서도 처음으로 서울대학교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부끄러움을 가르칩니다> <휘청거리는 오후> <목마른 계절> <살아있는 날의 시작> <엄마의 말뚝>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 <꿈엔들 잊힐리야>(원제 <미망>) <아주 오래된 농담> <친절한 복희씨> 등 다수의 소설 작품과, <꼴찌에게 보내는 갈채> <살아있는 날의 소망> <아름다운 것은 무엇을 남길까> <두부> <잃어버린 여행가방> <호미> <옳고도 아름다운 당신>등의 산문집이 있다.

  목차

엄마의 말뚝
세상에서 제일 무거운 틀니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