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정경식 시인의 시쓰기는 영혼의 안식처에 귀소하는 의식처럼 보인다. 그 의식은 일상이 되어 계절에서 계절로 쉼없이 이어진다. 이번 시집에서도 봄노래와 여름노래와 가을노래와 겨울노래가 시집의 1,2,3,4,5부를 이루고 있다. 거기에는 늘 꽃이 피고 지고, 바람이 불고, 개울이 흐르고, 해가 지고 별이 뜬다. 그리고 그것들과 더불어 사색하는 시인의 마음이 있다. 고독한 마음도 있고 지극한 마음도 있고 비애의 마음도 있다. 그 자연 속의 마음들은 잠시 주변의 풍경을 둘러보면서 거의 언제나 한곳으로 흘러간다. 시인은 자연과 기억의 힘을 빌려 사색 속에서 마음을 차분하게 빗질한다. 그리하여 시의 마무리에서는 영혼의 안식처에 귀소하게 된다.
출판사 리뷰
영혼의 안식처에 귀소歸巢하는 의식儀式
정경식 시인의 시쓰기는 영혼의 안식처에 귀소하는 의식처럼 보인다. 그 의식은 일상이 되어 계절에서 계절로 쉼없이 이어진다. 이번 시집에서도 봄노래와 여름노래와 가을노래와 겨울노래가 시집의 1,2,3,4,5부를 이루고 있다. 거기에는 늘 꽃이 피고 지고, 바람이 불고, 개울이 흐르고, 해가 지고 별이 뜬다. 그리고 그것들과 더불어 사색하는 시인의 마음이 있다. 고독한 마음도 있고 지극한 마음도 있고 비애의 마음도 있다. 그 자연 속의 마음들은 잠시 주변의 풍경을 둘러보면서 거의 언제나 한곳으로 흘러간다. 시인은 자연과 기억의 힘을 빌려 사색 속에서 마음을 차분하게 빗질한다. 그리하여 시의 마무리에서는 영혼의 안식처에 귀소하게 된다. 그것은 예를 들면, “걸을 적마다 비어가는 마음속에 조금씩 채워지는 작은 행복의 그림자”로 표현되기도 하고, 또 “작은 우울마저 풀어지고 사라진다”로 표현되기도 한다. 시인이 시의 언어를 얻는 것과 영혼의 안식을 얻는 것은 둘이 아니다. 정경식의 시를 읽는다는 것은, 시인의 이러한 순결한 의식에 동참하는 것이 되고 나아가 시인이 얻은 영혼의 안식을 자신도 얻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정경식의 시에는 온유함이 있다.
한편, 그 온유함은 평이하고 친숙한 시구와도 연관이 있어 보인다. 정경식의 시는 친숙한 나날의 삶을 평이하게 그려낸다. 이번 시집에 수록된 시들도 대부분 읽는 대로 이해되고 스며든다. 때로는 이것이 다소 안이하다는 결점일 수도 있지만, 동시에 편안하고 온유하다는 장점이 될 수도 있다. 모든 것이 복잡해지고 어려워지고 산만해지는 오늘날의 삶 속에서 이런 순결하고 편안한 온유함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은 시읽기의 보람이 될 수 있다. 「세 사람이 길을 가다가」라는 시를 빌려서 말해 본다면, 정경식의 시쓰기는 “작은 연못에 물길을 내”는 것과 같아서 “마른 나무에 물 한 잔”이 주어지고 또 “언덕 넘어 작은 밭에 비”가 내리게 되고 그래서 모든 “메마른 가슴이 젖”을 수 있도록 기도하는 것 같다. 이 기도는 다시 영혼의 안식처에서 귀소하는 의식과 다르지 않을 것이다.
- 이남호(문학평론가·고려대 명예교수)
작가 소개
지은이 : 정경식
경기도 가평에서 태어나 국민대학교에서 영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6년 윤강로 시인 추천《문학저널》로 등단하여, 저서로는 시집『문득, 시대의 등불』(2018), 『고백』(2019) 등이 있다.
목차
시인의 말
제1부
진달래
자화상
봄날
살구꽃 피면
다시 세상 속으로
비 오는 저녁
나침반
장미 정원
꽃이 있는 찻집
대설주의보
벗어나기
종이 상자의 음악
오솔길을 따라가면
이중창二重窓
수유리의 봄
얼굴
벚꽃이 피면
오늘과의 이별
봄 맞 이
제2부
인사동에서 본 마종하
여름 대나무숲
여동생과의 대화
지하철역에서
야광夜光
모순矛盾
종소리
리듬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
막걸리
어머니의 음성
안경을 닦으면서
폭포
장마
흔적
달맞이꽃, 그 추억의 자리
진도 해상에서의 난파難破
묘사描寫
봄에서 여름 사이
제3부
바람 부는 곳
가을의 풍경
국화꽃 당신
바람소리
빛 속으로
모닥불
집짓기
개척開拓 교회
귀뚜라미 울고
복사골 마을
가장 오래된 선물
여름이 가을에게
코스모스
가을날
나팔꽃
기도원 가는 길
보이지 않는 신성神聖
강남역 11번 출구
산행을 마치고
제4부
나에게로 떠나는 회상
애착愛着
찾아온 겨울, 한강
신학교 시절
세 사람이 길을 가다가
강가에서
혜화동에서
생강차를 마시면서
바라봄
첫눈
용인龍仁의 매
저녁에
나의 초상
화진포 마을에 가서
어느 교회에서
눈 오는 밤
기대어 살기
작은 위로
불면不眠
제5부
이슬이 내리기 전에
춘흥春興
경칩驚蟄에
봄의 노래
코로나 단상斷想
고개 숙인 해바라기
북한산 가는 길
선생님들과 함께
입추에
민들레 피면
가을을 지나면서
산책하는 국어
그때, 유년 시절
서가書架 앞에서
동행
팥죽을 끓이면서
눈 속
눈빛, 무대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