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윤범모 시집 『화택(火宅)』은 단순한 환경 시집을 넘어, 생태비평적 문제의식을 문학적으로 구현한 작업이다. 기후위기와 멸종이라는 전 지구적 현안은 오늘날의 담론 공간에서 흔히 과학적 데이터와 정책 언어로 환원되지만, 이 시집은 그 위기를 언어의 윤리적 차원으로 끌어올린다.
『화택』의 세계는 인간 중심주의를 정면으로 거부한다. 잡초, 나무, 동물, 곤충, 꽃 등 비인간적 존재들이 시적 화자로 등장하며, 인간을 향해 직접 말한다. 이러한 목소리의 전환은 생태비평이 강조해온 '타자의 발화권 부여'를 시적 형식으로 구현한 것으로, 인간-비인간의 위계적 구도를 허물고 생명공동체적 시각을 드러낸다.
출판사 리뷰
지구의 초상으로서 '불타는 집', 화택.
윤범모 시집 『화택(火宅)』은 오늘날 한국 시단에서 보기 드문 생태문학적 실험의 성과다. 이 책은 단순한 서정의 울림을 넘어, 기후위기와 환경 파괴라는 인류의 현안에 시적 언어로 응답한다.
시인은 잡초, 나무, 동물, 꽃 같은 존재들에게 목소리를 부여하며, 인간 중심적 세계관에 맞선 생명 공동체의 발언대를 마련한다. 1부 「잡초 유시」는 억눌린 식물들의 독백을 통해 인간 문명의 오만을 고발하고, 2부 「멸종위기」는 호랑이와 여우, 수달, 나비와 꽃까지 멸종위기 생명들의 장송곡을 노래한다. 3부 「화택」에서는 폭염, 온난화, 플라스틱, 패스트 패션 등 기후 재앙의 키워드들을 통해 현실을 고발하며 인간의 죄명을 폭로한다. 마지막 4부 「백척간두」는 벼랑 끝에 선 인간 존재의 자기성찰을 담으며, 시집 전체를 윤리적 물음으로 귀결시킨다.
『화택』은 우리 시대의 시가 단순히 감상의 대상이 아니라, 문명 비판적 증언이자 생태적 실천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불타는 집에 사는 우리 모두에게, 이 책은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날카로운 질문을 던진다.
윤범모 시집 『화택(火宅)』은 단순한 환경 시집을 넘어, 생태비평적 문제의식을 문학적으로 구현한 작업이다. 기후위기와 멸종이라는 전 지구적 현안은 오늘날의 담론 공간에서 흔히 과학적 데이터와 정책 언어로 환원되지만, 이 시집은 그 위기를 언어의 윤리적 차원으로 끌어올린다.
『화택』의 세계는 인간 중심주의를 정면으로 거부한다. 잡초, 나무, 동물, 곤충, 꽃 등 비인간적 존재들이 시적 화자로 등장하며, 인간을 향해 직접 말한다. 이러한 목소리의 전환은 생태비평이 강조해온 '타자의 발화권 부여'를 시적 형식으로 구현한 것으로, 인간-비인간의 위계적 구도를 허물고 생명공동체적 시각을 드러낸다.
특히 2부 「멸종위기」는 호랑이, 수달, 여우, 나비, 달팽이 등 사라져가는 존재들의 이름을 하나하나 불러내며 자연과 문명의 장송시를 펼친다. 이는 단순한 기록을 넘어, 존재 자체를 '불러냄'으로써 기억과 애도의 정치학을 수행한다. 3부 「화택」은 폭염, 온난화, 플라스틱, 패스트패션과 같은 현대 문명의 기표를 직접적으로 끌어와 시의 언어로 전환한다. 이 과정에서 시는 더 이상 은유의 장르가 아니라, 문명 비판의 증언 매체가 된다. 특히 염라대왕에 간언하는 시적 형식을 취해 고발 문학의 유쾌한 실례를 만들어 낸다.
『화택』은 생태문학이 나아가야 할 두 가지 과제를 제시한다. 하나는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를 넘어서는 생태학적 상상력의 확장이고, 다른 하나는 생존의 위기에 처한 지구적 현실을 문학이 어떻게 증언하고 개입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이다.
이 시집은 불경에서 가져온 '불타는 집'이라는 메타포로 압축된 '인류세의 풍경'을 시적 언어로 형상화한다. 이는 단지 환경문제를 다룬 시집이 아니라, 우리 시대의 문학이 수행해야 할 윤리적 책무와 생태적 감수성의 모델이라 할 수 있다. 『화택』은 한국 현대시가 생태비평의 지평 속에서 새롭게 읽혀야 할 이유를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 민둥산은 백성들의 헐벗은 뱃가죽/ 부황 뜬 얼굴입니다./ 민둥산은 곧 이 나라 조선의 민낯입니다./ 숲이 없으니 새들이나 짐승들도 다 사라지고 있습니다./ 모두들 떠나는 땅에서 뭐가 살아남을 수 있겠습니까.// 나으리// 조선 오백 년 동안 양반 가운데 생업 전선에서 나선 분 아무도 없고/ 누구를 위한 학문인지 모르겠지만/ 학문한다 뭐 한다면서 감투쓰기에만 여념 없으니/ 이 나라는 도대체 어디로 가야 한단 말입니까./ 헐벗은 민둥산을 보면서/ 흥청망청 술판에서 신바람이 납니까./ 그게 진정 나리들의 풍류란 것입니까.// 뭐, 풍류?
- <소나무와 음풍농월> 중
(…) 수달! /그대의 멋진 털가죽은/ 드디어 인간동물의 사치품으로 등극하게 되더니/ 탐욕의 검은 손을 마구마구 부르게 되었구나./ 사치는 끝이 없는 허영의 나락/ 그 누가 막을 수 있겠느냐// 게다가 이 무슨 소리냐./ 하천은 폐수로 가득한 오염지대/ 아예 숨조차 쉬지 말라고 목 조이고 있구나// 밤에만 활동하는 야행성의 수달/ 이제 밤을 지새운다 해도/ 너를 만날 수 없게 되었구나./ 오염된 나라 허영의 나라/ 야행성의 그대를 만나기 위해 밤을 지새운다 해도/ 뜬눈만 불쌍해지는 나라/ 강남의 불야성만 더욱 반짝거리는 나라
- <멸종위기, 수달> 중
작가 소개
지은이 : 윤범모
o 현 광주비엔날레 대표이사o 제20/21대 국립현대미술관 관장o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좌교수o 가천대학교 예술대 교수 o 사우스 플로리다 대학교 연구교수o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초대회장o 문화재청 문화재위원o 광주비엔날레 창립 집행위원 (대통령 표창)o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책임큐레이터o 호암갤러리(삼성그룹 리움 전신) 개관 팀장저서『미술현장과 전시』『현대미술관장의 수첩』『시인과 화가』『한국미술론』『한국 근대미술: 시대정신과 정체성의 탐구』『미술과 함께, 사회와 함께』시집 『파도야, 미안하다』 외 다수
목차
1부 _ 잡초 유시
· 어떤 법문 - 옻나무 비유 _ 012
· 잡초 유시諭示 _ 015
· 폐기물 _ 018
· 유자농원에서 _ 020
· 벚꽃 훈화 _ 021
· 허공 _ 024
· 놀고 있는 땅 _ 026
· 태풍 피해 _ 027
· 서울을 지운 것 _ 028
· 꽃의 경고 _ 030
· 껍질 _ 032
· 먼지 천국 _ 033
· 안개 _ 035
· 이팝나무 _ 036
· 생존 전략 _ 038
· 불이 - 연꽃 _ 041
· 호박의 저항 _ 043
· 숨긴 향기 _ 045
· 소나무와 음풍농월 _ 047
· 오리의 성생활 _ 052
· 거대한 꽃, 그러나 뿌리가 없는 _ 055
2부 _ 멸종위기
· 단절! 인왕산 호랑이 이야기 _ 060
· 거꾸로 매달린 호랑이 _ 063
· 단절! 호랑이 가죽 _ 064
· 까치호랑이 _ 067
· 멸종위기! 사향노루 _ 070
· 멸종위기! 여우 _ 072
· 멸종위기! 수달 _ 074
· 멸종위기! 박쥐 _ 076
· 멸종위기! 담비 _ 078
· 멸종위기! 새 _ 080
· 멸종위기! 검은머리갈매기 _ 083
· 멸종위기! 참달팽이 _ 085
· 멸종위기! 가시고기 _ 087
· 멸종위기! 소똥구리 _ 089
· 멸종위기! 쌍꼬리부전나비 _ 091
· 멸종위기! 붉은점모시나비 _ 093
· 멸종위기! 제비붓꽃 _ 095
· 멸종위기! 가시연꽃 _ 097
· 멸종위기! 매미꽃 _ 099
3부 _ 화택
· 불이야, 불! _ 104
· 여기는 '불난 집'입니다 _ 109
· 온난화라는 용어와 포장 기술 _ 112
· 진정 인류세가 맞는가 _ 115
· 최고 수준의 이산화탄소 농도 _ 121
· 폭염으로 끓고 있는 지구 _ 123
· 폭염 경보 _ 127
· 잠잘 수 없는 밤 _ 131
· 생명의 고향, 바다 _ 133
· 온열질환 _ 138
· 기후 변화 _ 141
· 휴교 조치 _ 145
· 중대재해 처벌법 _ 148
· 매미 울음 _ 151
· 쌀값 _ 155
· 폭염의 원인 _ 157
· 화석 연료 _ 161
· 열 받는 지구 _ 165
· 기후 변화 시대의 동물 _ 169
· 땀샘 만세 _ 172
· 열과 불 그리고 온도계 _ 175
· 사막 _ 178
· 낙타, 새로운 토템 _ 181
· 물, 생명수 _ 185
· 식물도 땀을 흘린다 _ 187
· 아름다운 산호가 사라지고 있다면 _ 189
· 쓰레기 섬 _ 192
· 패스트 패션의 시대 _ 195
· 도대체 패스트 패션이 무엇인가요 _ 198
· 숲 파괴, 생명 파괴 _ 202
· 기온 상승의 한반도 _ 205
· 기후 악당국가 대한민국 _ 208
· 제주도도 문제입니다 _ 212
· 탄소 중립법 _ 214
· 괴물 전기자동차 _ 217
· 플라스틱 천지 _ 220
· 성장주의의 문제 _ 223
· 찬란한 멸종 _ 226
4부 _ 백척간두
· 동거인 _ 234
· 마라도에서 _ 235
· 일과 _ 237
· 집사람 _ 238
· 고수 - 물레 버리기 _ 239
· 고수 - 불모 _ 240
· 백척간두 _ 242
· 오줌 누기 _ 244
· 담장 _ 245
· 교통신호등 _ 246
· 올림픽 금메달 _ 248
· 인왕산 산불 _ 250
· 인왕산 보름달 _ 252
· 야단법석 _ 254
· 참새와의 식사 _ 255
· 지붕 위의 소 _ 256
· 어느 봄날 _ 258
· 좋은 날 _ 259
· 마음 _ 260
저자 후기 _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