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소설
시경 속 식물 이미지

시경 속 식물
도서출판 선 | 부모님 | 2025.09.30
  • 정가
  • 50,000원
  • 판매가
  • 45,000원 (10% 할인)
  • S포인트
  • 2,500P (5% 적립)
  • 상세정보
  • 16x24 | 0.926Kg | 712p
  • ISBN
  • 9788963126395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시경 속 식물》은 처음에 중국의 고전과 자연환경, 그리고 나 자신의 정신적 성장에 관한 수필집이었다. 몇 년이 지나 개정판을 내게 되면서 《시경》을 읽어온 나의 여정은 자연에 대한 더 깊은 인식과 식물의 생태에 대한 관심, 《시경》의 풍부함과 《시경》 속 여러 유명한 대상물(식물에 국한되지 않는)의 세계에 대한 이해 등으로 나날이 더 깊어지는 뿌리와 무성해지는 잎처럼 다양한 내용이 끊임없이 충만해지는 경험을 했다.

《시경》과 식물 관련 문헌을 읽으며 오랫동안 축적된 지식을 깊이 읽을수록 내가 그동안 《시경》을 읽어온 시야가 얼마나 좁은지, 《시경》을 이해해온 방식이 얼마나 부족한지 더욱 깨닫게 된다. 물고기가 바다로 헤엄쳐 가면 더 많은 가능성이 열리듯, 비록 구체적인 깨달음은 모두 다르겠지만 고전을 읽는 과정은 알지 못하던 것을 이해하게 되는 과정이라는 사실만큼은 누구나 비슷할 것이다.

  출판사 리뷰

《시경》을 읽지 않으면
세상 만물에 영성이 있음을 어찌 알겠는가?


내 친구가 이런 말을 했다.
“《시경》은 중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텍스트이며 중국 예술성의 시초이자 어린 시절이다.”
이렇게 말할 때 내 친구인 그 여자의 눈은 반짝였고 얼굴에 순수한 아름다움에 푹 빠진 평온함이 담겨 있었다.
내 친구가 이렇게 말한 것은 문학을 중심으로, 중국 문명의 고향이라는 감흥을 느낀 것일 터다. 일본의 한학자인 오카 겐포(岡元鳳, 1737~1787)는 《모시품물도고(毛詩品物圖考)》에서 “사람의 감정이 사물을 움직이고, 사물이 움직이면 마음이 움직인다(夫情緣物動, 物感情遷)”고 썼다. 이처럼 《시경》의 아름다움을 읽는 것은 만물의 흥성함을 느끼고 요정의 노랫소리가 마음속에서 뛰어 도는 것과 같다.
내가 처음 《시경 속 식물》을 쓰게 된 것은 ‘사물이 움직이면 마음이 움직인다’는 경지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는 이유였다. 다만 여러 가지 인연과 우연이 겹쳐 《시경》에 가까워진 방법 중 하나였다.
.....
중국의 현대 문학은 말과 글을 일치시키자는 ‘백화문 운동’에서 시작된다.
중국 사람들이 사고하는 방식과 세계가 변화하는 리듬을 느끼는 방식, 양쪽 모두에서 운문의 껍질을 뚫어내고 내용에서나 형식에서나 좀 더 자유롭고 삶에 밀착된 언어를 구사하고자 했다. 경제의 세계화가 사람들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점점 심대해지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글쓰기가 추구해야 할 방향은 미학적 감수성, 사회적 사고, 도덕적 비판, 그리고 인간의 마음 깊은 곳에서 발현되는 모순의 심연을 드러내는 것이다. 독서는 정신의 풍요로움을 기르고, 동시에 내면의 예민한 호기심을 점차 싹틔운다. 학교를 졸업하고 복잡한 사회에 발을 들이면 다차원의 입체적인 삶이 새로운 감각과 시야를 일깨운다. 일상생활이든 직장생활이든 어렵고 힘들지만 결국에는 통째로 삼켰으나 체계화하지 못한 서양철학, 서양 예술, 세계문학의 각종 고전을 읽게 된다. 그러나 서양의 사변적 논리와 동양의 직관적 감수성 사이에는 명확한 차이점과 모순점이 존재한다. 효모가 촉매 작용을 하듯 읽으면 읽을수록 양자의 간극은 점점 격렬해진다. 의혹이 점점 늘어나자 오히려 생각과 상상을 촉발하는 충동을 글로 쓰는 데는 동력이 되었다. 나는 글쓰기를 고집할수록 글쓰기가 삶으로 변해간다는 사실을 자각했다.
.....
중국 시학의 고택인 《시경》에 능동적으로 개입하지 못한다면 중국 문명이 한 사람의 심미관을 어떻게 촉발시키고 지성의 쾌락을 안겨주는지도 알지 못했을 터다. 다행히 내 친구 중 한 사람이 식물 속에 숨어 있는 이야기를 읽어내는 것을 좋아했는데, 내가 마침 《시경》을 만나게 되어서 글쓰기의 과정이 더불어 즐거움을 나누는 과정이 될 수 있었다. 친구들과 함께 여러 생각들을 교류하고 토론하고 수다 떨며 이 책에 대한 시각이 형성되었다. 그래서 《시경 속 식물》을 쓰는 과정은 매우 즐거웠다. 옛말에 “미인과 부딪히면 다치지만 미인과 동행하면 그 사람을 가지는 것과 같다”고 했다. 《시경 속 식물》을 쓰는 과정이 이와 같다.
내가 《시경》을 읽고 《시경》과 식물 세계가 서로 공명하여 생겨난 영혼의 맥동을 느낀 것은 《시경》의 아름다움과 식물 세계의 신비한 찬란함 때문이 아니라 그저 약간의 기쁨을 위해서였다. 이것은 사람을 사랑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내가 그녀를 사랑하는 것은 그 사람이 아름답고 부자이며 재능이 출중하기 때문이 아니다. 그저 함께 있으면 즐겁고 마음이 편안해지며 내 삶이 함께할 때 더 가치 있기 때문에 사랑하는 것이다. 마음속에 이처럼 좋아하는 마음이 가득할 때는 눈앞의 그 사람은 더 이상 독립적인 개인이 아니라 무궁무진한 매력을 지닌 하나의 세계가 된다. 세계가 당신을 향해 열려 있을 때, 사람들은 평생을 걸고 그 세계를 탐구하지 않던가? 오래 지속되는 사랑은 바로 이렇게 생겨나는 것이다.
......
조용한 시골과 식물의 세계는 긴밀하게 연계되었다. 글을 쓰다가 지치면 마을의 산등성이를 걸었다. 시원한 바람을 쐬다 보면 주나라나 춘추전국시대의 삶이 이랬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마침 내 고향인 시베이(西北)의 톈수이(天水)는 고대의 진(秦)나라 땅이다. 《시경》에 등장하는 열다섯 나라의 노래 중에서 ‘진풍(秦風)’에 속하는 작품의 분위기에 푹 젖은 바로 그 땅이다. 마른 풀이 바람에 흩날리고, 쑥, 비봉(飛蓬), 냉이, 버드나무, 뽕나무, 백양나무, 작약, 산앵두, 복숭아나무, 측백나무 등 이런 《시경》 속에서 보던 식물을 고향 땅에서 고스란히 만날 수 있었다. 나는 그 식물들과 같이 한 걸음 한 걸음 시성(詩性)과 물성(物性)의 대화를 이어갔다.
《시경》을 읽을 때 나는 마치 하나의 세포가 되어 중국 문명의 면면히 이어지는 맥박을 원동력 삼아 줄기줄기 파란만장한 핏줄을 따라 흘러가는 것 같았다. 《시경》 속의 여러 구절은 오늘날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속담이나 고사성어로 변했다. 《시경》의 언어가 지닌 생명력은 이미 중국인의 혈류를 타고 흐르는 것이다. 이처럼 영원히 마르지 않는 생명력은 중국인에게 자신감과 자존감을 얻게 하고, 문화적 자신감은 서구의 작품을 읽을 때 자신의 모체가 되는 문화를 거울삼아 대조할 때 더욱 많은 것을 느끼게 한다. 서구 문명의 숲속을 걸어다닐 때에도 마음속에 모체가 되는 중국 문화의 등불이 앞을 비춰준다면 길을 잃지 않을 것이다.
《시경》에 등장한 식물을 인지하게 되면서 나는 저도 모르게 중국 문명이 생성된 장소를 상상하게 되었다. 마음속에 애정과 원망이, 얼굴에는 찡그림과 미소가 떠올랐다. 산바람을 들이마시고 내쉬며 비바람에 흩날렸다 떨어지면서, 그런 곳들은 3천 년의 시간 차가 있지만 우리 선조의 마음이 흘러온 길을 따라서 시 속에 담긴 고향의 땅과 산천에 남아 있다. 이런 친밀한 인식 외에도 더욱 두텁고 희미하지만 신비로운 감응을 느낄 때가 있다. 바로 이런 익숙함이 마음속에 피어나는 애정을 더욱 진실하게 만든다.
《시경 속 식물》은 처음에 중국의 고전과 자연환경, 그리고 나 자신의 정신적 성장에 관한 수필집이었다. 몇 년이 지나 개정판을 내게 되면서 《시경》을 읽어온 나의 여정은 자연에 대한 더 깊은 인식과 식물의 생태에 대한 관심, 《시경》의 풍부함과 《시경》 속 여러 유명한 대상물(식물에 국한되지 않는)의 세계에 대한 이해 등으로 나날이 더 깊어지는 뿌리와 무성해지는 잎처럼 다양한 내용이 끊임없이 충만해지는 경험을 했다. 《시경》과 식물 관련 문헌을 읽으며 오랫동안 축적된 지식을 깊이 읽을수록 내가 그동안 《시경》을 읽어온 시야가 얼마나 좁은지, 《시경》을 이해해온 방식이 얼마나 부족한지 더욱 깨닫게 된다. 물고기가 바다로 헤엄쳐 가면 더 많은 가능성이 열리듯, 비록 구체적인 깨달음은 모두 다르겠지만 고전을 읽는 과정은 알지 못하던 것을 이해하게 되는 과정이라는 사실만큼은 누구나 비슷할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한위성
작가. 필명은 일석(一石)이다. 간쑤성(甘肅省) 친안(秦安) 사람이다. 어려서부터 산과 들의 꽃과 나무에 관심이 많았다. 자라면서 선전(深), 베이징(北京) 등지에서 유학하며 책의 세계에 침잠했다. 고전 시가에서 생동하는 만물의 힘을 느꼈고, 자연을 주유하며 그 속에서 식물의 생명력을 깊이 받아들였다. 저서로 《미인은 시 같고 초목은 비단 같아라(美人如詩 草木如織)》, 《향초미인지(香草美人志)》, 《서북초목기(西北草木記)》, 《아이들을 위한 신기한 식물원(給孩子的神奇植物園)》, 《아이들을 위한 신기한 동물원(給孩子的神奇動物園)》, 《따고 또 따는 도꼬마리(采采卷耳)》, 《자연의 괘종시계(大自然的時鍾)》 등이 있다.

  목차

주남(周南)

01 마름 ─ 수생 환경의 기준점이 되는 식물
02 칡 ─ 야생마
03 도꼬마리 ─ 감정과 연관된 물건
04 복숭아나무 ─ 방긋 웃다
05 질경이 ─ 즐거운 마음으로 속세를 살다
06 목형 ─ 우연히 마주친 길목

소남(召南)

07 고사리 ─ 입에 넣고 씹으니 밝은 유리와 같다
08 자라풀 ─ 시냇가의 소녀
09 팥배나무 ─ 공정하고 자애롭게
10 매실나무 ─ 불처럼 뜨거운 사랑
11 백모 ─ 바람에 날리는 깃털 같은

패풍(邶風)

12 측백나무 ─ 큰 나무에 바람이 부니 사람이 간 데 없다
13 멧대추나무 ─ 어머니께 드리는 글
14 박 ─ 시 속의 이야기
15 씀바귀와 냉이 ─ 슬픔과 기쁨이 함께 우는 것처럼

용풍(鄘風)

16 남가새 ─ 어두운 밤에 덜덜 떨며
17 새삼 ─ 흡착과 기생을 읽어내는 기술
18 오동나무 ─ 침울함과 가벼움 사이
19 보리와 밀 ─ 중국 문화의 천성

위풍(衛風)

20 뽕나무 ─ 고향을 그리워하는 그릇
21 대나무 ─ 단단한 것이 부드럽게 변할 때
22 박주가리 ─ 조화와 장엄
23 원추리 ─ 사랑을 전해 주는 우체부
24 모과나무 ─ 언제까지나 좋게 지내길

왕풍(王風)

25 기장 ─ 슬픔의 용광로
26 갯버들 혹은 부들 ─ 실처럼 끊어지지 않는
27 익모초 ─ 여성의 덕을 구하다
28 새머루 ─ 산과 들에 널려 있는 야포도(野葡萄)
29 쑥 ─ 정(情)은 어디에서 오는가
30 자두나무 ─ 행복한 풍년

정풍(鄭風)

31 청단 나무 ─ 신비한 빛깔에 담그다
32 무궁화 ─ 여성과 동행하다
33 연꽃 ─ 부용의 색만 보고 연밥의 마음은 보지 않네
34 밤나무 ─ 사랑의 열매, 아름다운 열매
35 꼭두서니 ─ 아주 오래된 붉은 색의 어머니
36 패란과 초작약 ─ 봄 강물과 꽃으로 보여주는 애정

제풍(齊風)

37 강아지풀 ─ 희롱당한 황량함

위풍(魏風)

38 산모 ─ 새콤한 야생 시금치

당풍(唐風)

39 시무나무와 느릅나무 ─ 고향에 보내는 편지
40 산초 ─ 다자다복(多子多福)하다는 믿음의 오류
41 벼 ─ 슬픈 외침이 남긴 여운의 바탕색
42 오렴매 ─ 시간이 갈라놓지 못하는 깊은 사랑

진풍(秦風)

43 갈대 ─ 거울에 비친 꽃과 물에 비친 달의 걸작
44 상수리나무 ─ 비천하기도 하고 광활하기도 하다

진풍(陳風)

45 청양 나무 ─ 별하늘 아래의 데이트
46 새완두와 자운영 ─ 이상한 일과 불길한 징조

회풍(檜風)

47 키위 ─ 슬픔의 절창

조풍(曹風)

48 개암나무 ─ 이어받은 숲에 내려앉는 새
49 시초 ─ 강신술사의 도구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