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철학 교사이자 박사인 저자 나심 엘 카블리는 철학자들의 화려한 업적 뒤에 숨겨진 직업인으로서 면모를 탐구했다. 『철학자들의 진짜 직업』은 고대 로마 시대에 살았던 세네카에서 현대의 시몬 베유에 이르기까지 시대와 사상, 학파 등을 넘나들며 다양한 철학자 40명이 가졌던 ‘진짜 직업’을 다룬다. 그들의 직업은 크게 철학자의 속성과 연결되는 일, 무관해 보이는 일, 그리고 이것까지 ‘직업’이라고 할 수 있는지 의문이 생기는 일과 같이 세 가지로 분류된다. 섬세함과 논리력을 요하는 해부학자나 수학자, 변호사 같은 직업에서 신체의 훈련을 통해 정신력을 높이는 프로 사이클 선수, 오토바이 정비사, 렌즈 그라인더, 그리고 시대와 현실적 한계에 맞서 보다 자유롭게 사상을 다진 위조화폐 제작자, 은행 강도, 노예 같은 직업까지. 저자는 다양한 직업이 어떤 방식으로 철학 세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흥미진진하게 풀어낸다. 결과적으로 철학자들에게 직업이란 단순한 생계유지 수단을 넘어 그들의 삶을 뒷받침하는 증거라는 점을 보여주는 책이다.
출판사 리뷰
“철학은 낭만이 아니라 ‘현실’ 그 자체다!”
스피노자에서 한나 아렌트까지, 철학자들의 먹고사는 이야기
“철학자시라고요? 그렇군요. 그럼 어떻게 먹고살아요?
흔히 ‘철학자’라고 하면, 그 자체로 직업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마치 골똘히 생각하고 연구하는 것 외에는 다른 일을 하지 않는 사람처럼 말이다. 철학자는 매일 정해진 시간, 주어진 업무를 처리하기 바쁜 노동자의 이미지와는 거리가 멀다. 기껏 해야 대학교에서 철학 수업을 하는 교수 정도로 생각하기 마련이다. 과연 그럴까? 철학자들은 삶을 영위하기 위해 필요한 돈은 어디에서, 어떻게 마련했을까?
철학 교사이자 박사인 저자 나심 엘 카블리는 철학자들의 화려한 업적 뒤에 숨겨진 직업인으로서 면모를 탐구했다. 『철학자들의 진짜 직업』은 고대 로마 시대에 살았던 세네카에서 현대의 시몬 베유에 이르기까지 시대와 사상, 학파 등을 넘나들며 다양한 철학자 40명이 가졌던 ‘진짜 직업’을 다룬다.
그들의 직업은 크게 철학자의 속성과 연결되는 일, 무관해 보이는 일, 그리고 이것까지 ‘직업’이라고 할 수 있는지 의문이 생기는 일과 같이 세 가지로 분류된다. 섬세함과 논리력을 요하는 해부학자나 수학자, 변호사 같은 직업에서 신체의 훈련을 통해 정신력을 높이는 프로 사이클 선수, 오토바이 정비사, 렌즈 그라인더, 그리고 시대와 현실적 한계에 맞서 보다 자유롭게 사상을 다진 위조화폐 제작자, 은행 강도, 노예 같은 직업까지. 저자는 다양한 직업이 어떤 방식으로 철학 세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흥미진진하게 풀어낸다. 결과적으로 철학자들에게 직업이란 단순한 생계유지 수단을 넘어 그들의 삶을 뒷받침하는 증거라는 점을 보여주는 책이다.
사업가, 고위 공무원, 코미디언, 아폴로 신전의 신관···.
사회적 관습, 시선, 그리고 직관에 반할지언정
직업을 통해 자신의 사상을 다진 철학자들
많은 사람이 살면서 그들을 둘러싼 사회 관습과 구조에 영향을 받는다. 그 안에서 근거 없이 만들어진 편견에 기대 생각한다거나 ‘선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만든다. 이에 따라 사회에서 암묵적으로 합의된 미덕이 생겨나고, 어떤 대상이나 속성에 대한 가치 평가가 이뤄진다. 그런 점에서 ‘철학자’는 직관적으로 미덕을 좇고, 미덕에 부합하는 그야말로 ‘이성’적인 존재로 여겨진다. 가령 속세를 지양하고, 지적이고 정적인 활동만을 하며, 명예로울 것으로 평가된다. 그리고 이는 그들의 직업을 유추하는 과정에서도 자유로울 수 없다.
『철학자들의 진짜 직업』은 이렇듯, 우리가 ‘철학자는 이럴 것이다’라고 만들어놓은 통념과 직관에 반하는 이야기를 펼친다. 대표적으로 대중교통 사업가, 고위 공무원, 코미디언, 해부학자, 노예, 아폴로 신전의 신관처럼 물질적이거나, 비이성적이거나 도덕적으로 옳지 않은 직업들의 사례를 통해 철학자에 대한 우리의 통념에 균열을 내고, 한 번도 의심하지 않았던 질문을 던진다. 결과적으로 철학자로서 그들의 사상과 정체성을 더 면밀히 들여다보게 하는 책이다.
남성이든 여성이든 그들의 다양한 실제 직업과 철학자로서 주장한 사상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철학자들에게 직업이란 단지 생계 수단에 불과했을까? 모두가 자산가는 아닐 테고, 결국 먹고살아야 하니 어쩔 수 없었을까? 아니면 그들의 철학과 유사성, 인과관계 또는 모순으로 연결되어 있을까? 『철학자들의 진짜 직업』에는 이와 관련된 모든 사례가 담겨 있으며, 이 책을 통해 어떤 부분에서 철학이라고 하는 철학자들의 ‘지적 노동(이 표현을 과감하게 써봤다!)’과 철학 외적 노동이 서로 부딪치고, 자연스럽게 뒤섞이는지 조명하고자 했다.
디오게네스가 위조 화폐를 제작한 행위는 오히려 그의 윤리적 진정성과 도덕적 위대함에서 비롯되었다. 이것이 바로 견유학파의 역설이다. 디오게네스는 특히 경제적 가치의 전복에 분개하고 반발했다. 살아가는 데 필수적인 밀과 같은 곡물은 값이 얼마 되지 않는 반면, 쓸모없고 사치스러운 것, 예를 들어 보석은 천문학적인 가격에 거래된다는 사실에 기막혀했다. 그렇다고 해서 물론 생필품의 과도한 인플레이션을 지지하지는 않았다. 단지 철학자로서 경제의 모순을 세상에 드러내려고 했을 뿐, 그의 접근방식은 정치적이지 않고 철학적이었다.
크로포드는 깨끗하게 정돈된 사무실을 떠나 정비소를 열기로 결심했다. 오토바이나 자동차를 수리하면서 현실과의 관계를 다시 회복해 나갔다. 삶의 다양한 문제들에 맞서고, 온몸으로 부딪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은 고난을 극복해 나가는 구체적인 길이다. 이러한 점에서 정비공이라는 직업은 현실을 주체적인 태도로 충실히 살아내기 위한 모든 조건을 충족한다. 그의 일상은 고장 나고, 멈추고, 망가진 것들과 끊임없이 마주하는 과정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나심 엘 카블리
철학 교사이자 박사다. 2023년도 여름 프랑스 공영 라디오 채널 〈프랑스 문화France Culture〉에서 ‘철학자들의 진짜 직업Le vrai mtier des philosophes’ 시리즈를 진행했다. 저서로는 『단절La Rupture』과 『평범한 경험L'Harmattan』 등이 있다.
목차
추천사 5
시작하며 13
바뤼흐 스피노자, 렌즈 세공사 20
한나 아렌트, 기자 26
디오게네스, 위조 화폐 제작자 33
이브 퀴세, 배우이자 코미디언 40
블레즈 파스칼, 대중교통 사업가 47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 황제의 친구 53
매튜 크로포드, 정비공 60
에밀리 뒤 샤틀레, 물리학자 68
미셸 드 몽테뉴, 시장 75
도미니크 메다, 고위 공무원 82
플루타르코스, 아폴론 신전의 신관 88
드니 디드로, 미술 자문관 94
자크 엘리제 르클뤼, 지리학자 100
앙리 베르그송, 외교관 106
기욤 마르탱, 프로 사이클 선수 112
가스통 바슐라르, 우체국 직원 118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도서관 사서124
아녜스 게로, 싱어송라이터 130
코르넬리우스 카스토리아디스, OECD 경제학자 137
장자크 루소, 악보 필사가 143
장 멜리에, 신을 믿지 않는 사제 149
샤를 루이 드 몽테스키외, 판사 155
아서 단토, 미술 평론가 161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 168
마리 르 자르 드 구르네, 편집자이자 여성 운동가 174
토머스 홉스, 군주의 안내자 180
클로드 아드리앵 엘베시우스, 조세 청부업 185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변호사 191
바르바라 카생, 정신질환을 겪는 청소년을 위한 교육 전문가 197
쇠렌 키르케고르, 자산가 203
베르나르 스티글레르, 은행 강도 209
에픽테토스, 노예 214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와 디나 드레퓌스, 인류학자 220
엘리자베트 폰 데어 팔츠 , 수도원장 226
프리드리히 니체, 문헌학자 232
하워드 베커, 재즈 피아니스트 238
히파티아, 천문학자 244
데이비드 흄, 역사학자 250
르네 데카르트, 해부학자 255
시몬 베유, 노동운동가 261
마치며 267
철학자 연대순 목록 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