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인문,사회
페미니즘의 철학적 계보  이미지

페미니즘의 철학적 계보
막시즘에서 퀴어주의까지
아우내 | 부모님 | 2025.07.05
  • 정가
  • 30,000원
  • 판매가
  • 27,000원 (10% 할인)
  • S포인트
  • 900P (3% 적립)
  • 상세정보
  • 17x22.5 | 0.756Kg | 398p
  • ISBN
  • 9791191852936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19세기 마르크스와 프로이트부터 21세기 퀴어 이론까지, 페미니즘 사상이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해왔는지를 치밀하게 추적한 지적 여정의 기록이다. 단순한 여성학 개론서가 아닌, 현대 사회를 뒤흔들고 있는 젠더 이데올로기의 철학적 뿌리를 파헤치는 비판적 연구서이다.

  출판사 리뷰

페미니즘의 철학적 계보 - 서점 소개글
현대 사상의 뿌리를 파헤치는 지적 탐험
왜 오늘날 우리 사회는 '젠더'를 둘러싸고 이토록 혼란스러운가?

이 책은 19세기 마르크스와 프로이트부터 21세기 퀴어 이론까지, 페미니즘 사상이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해왔는지를 치밀하게 추적한 지적 여정의 기록입니다. 단순한 여성학 개론서가 아닌, 현대 사회를 뒤흔들고 있는 젠더 이데올로기의 철학적 뿌리를 파헤치는 비판적 연구서입니다.

이 책의 특징

체계적인 사상사적 접근
마르크스-엥겔스의 가족 해체론에서 시작하여,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다윈의 진화론이 어떻게 페미니즘의 토대가 되었는지 살펴봅니다. 이어서 소쉬르의 구조언어학, 푸코·데리다·라캉의 포스트구조주의가 어떻게 전통적 성별 개념을 해체했는지 분석합니다.
철학자들 간의 영향 관계 추적 각 사상가들이 서로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는지, 그들의 이론이 어떻게 결합되어 오늘날의 젠더 담론을 형성했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줍니다. 특히 그람시의 문화적 헤게모니 이론이 어떻게 '생활세계의 혁명'으로 이어졌는지 주목합니다.

비판적 관점의 균형잡힌 서술
페미니즘 이론을 객관적으로 소개하면서도, 그 한계와 문제점을 날카롭게 지적합니다. 남성과 여성의 본질적 차이와 상호보완성을 인정하는 관점에서, 극단적 젠더 이데올로기의 위험성을 경고합니다.

주요 내용
제1부: 근대 사상의 토대

마르크스의 가족 해체론과 엥겔스의 『가족, 사적소유, 국가의 기원』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과 '프로이트 좌파'의 성혁명 이론
다윈주의와 생물학적 성차 담론의 형성

제2부: 언어학적 전환과 구조주의
소쉬르 구조언어학의 혁명적 의의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주의 인류학과 성별 체계 분석

제3부: 포스트구조주의와 페미니즘의 만남
푸코의 권력 분석과 『성의 역사』
데리다의 해체주의와 서구 로고스 중심주의 비판
라캉의 언어적 주체 이론과 성별화 과정

제4부: 페미니즘의 다양한 전개
자유주의부터 급진주의까지 페미니즘의 스펙트럼
시몬 드 보부아르의 실존주의 페미니즘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수행성 이론

제5부: 현대적 전개
그람시의 문화적 헤게모니와 젠더 이데올로기
퀴어 이론과 LGBTIQ 운동의 철학적 배경

이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
대학생과 지식인을 위한 필독서 페미니즘과 젠더 이슈를 둘러싼 현대적 논쟁을 이해하려면, 그 철학적 뿌리를 알아야 합니다. 이 책은 복잡한 현대 사상의 계보를 명확하게 정리해주는 나침반 역할을 합니다.
비판적 사고력 함양 맹목적 수용이나 무조건적 거부가 아닌, 냉정한 이성으로 페미니즘 사상을 분석하는 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각 이론의 기여와 한계를 균형있게 평가하는 안목을 기를 수 있습니다.
현실 진단과 미래 전망 단순한 과거 회고가 아닌, 현재 우리 사회가 직면한 성별 갈등과 가족 해체 현상을 진단하고, 건전한 성별 관계의 미래를 모색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책은 페미니즘을 단순히 비난하거나 찬양하지 않는다. 대신 그 사상적 뿌리를 차근차근 추적하며, 독자들이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지적 토대를 제공한다. 현대 사회의 성별 담론을 둘러싼 혼란 속에서 길을 찾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권한다."
대학생 | 인문학도 | 사회과학 전공자 | 교육자 | 정책입안자 필독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가 모색해야 할 대안은 페미니즘을 넘어선 새로운 관점, 즉 '페밀리즘(Familism)'이라고 부를 수 있는 접근법이다. 페밀리즘은 남성과 여성의 상대적 가치를 동등하게 존중하되, 두 성별이 대립과 경쟁의 관계가 아니라 상호 보완과 협력의 관계에 있다고 보는 관점이다.
페밀리즘의 핵심 원리는 남성과 여성이 각기 상대를 위해 존재한다는 인식이다. 이는 일방적 종속이나 희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고유한 특성과 강점을 통해 상대방을 보완하고 지원한다는 의미다. 남성의 보호 본능과 여성의 양육 본능, 남성의 체계적 사고와 여성의 관계적 사고, 남성의 도전 정신과 여성의 협력 정신은 대립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를 완성시키는 상호보완적 특성들이다.
페밀리즘에서는 가족을 사회의 기본 단위로 보며, 남성과 여성이 평등한 파트너로서 가족의 번영과 행복을 위해 협력한다고 본다. 이때의 평등은 획일적 동일성이 아니라 차이 속의 동등함을 의미한다. 남성과 여성이 서로 다른 역할과 책임을 맡더라도, 그 가치와 중요성은 동등하게 인정받는다.
페밀리즘적 관점에서 볼 때, 남성의 경제적 부양과 여성의 가정 내 돌봄은 위계적 관계가 아니라 분업적 협력 관계다. 또한 현대 사회에서 이러한 역할 분담이 유연해질 수 있음을 인정하되, 각 가족이 자신들의 상황과 가치관에 따라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페밀리즘은 또한 세대 간의 연대와 책임을 강조한다. 부모가 자녀를 위해 희생하고, 성장한 자녀가 노부모를 부양하는 것은 단순한 의무가 아니라 사랑에 기반한 자연스러운 순환이다. 이러한 세대 간 연대는 사회 전체의 안정성과 지속가능성을 보장하는 기초가 된다.
교육과 연구 분야에서는 이념적 편향을 극복하고 객관적 사실에 기반한 학문적 탐구를 회복해야 한다. 젠더 연구 분야에서 정치적 올바름이 학문적 진실보다 우선시되는 현상을 바로잡고, 다양한 관점과 비판적 토론을 허용하는 자유로운 학문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미디어와 문화 산업에서는 성별 고정관념의 극단적 해체보다는 건전한 성별 정체성 형성을 돕는 콘텐츠를 제작해야 한다. 남성성과 여성성의 긍정적 측면을 부각시키고, 성별 간의 상호 존중과 협력을 강조하는 문화적 메시지가 필요하다. 페밀리즘적 가치관을 반영한 문화 콘텐츠는 갈등과 분열이 아닌 화합과 협력의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
정책 결정 과정에서는 단기적 정치적 이익보다는 장기적 사회적 안정성을 고려해야 한다. 급진적 젠더 정책들이 가져올 수 있는 사회적 비용과 부작용을 신중하게 평가하고, 충분한 사회적 합의를 거쳐 점진적이고 신중한 변화를 추진해야 한다. 페밀리즘적 관점에서는 모든 정책이 가족의 안정성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인간의 존엄성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이다. 개인의 자유와 선택권을 존중하되, 이것이 사회 전체의 안정성과 미래 세대의 복지를 해치지 않는 선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진정한 인권은 개인의 무제한적 자유가 아니라 모든 사람이 공동으로 누릴 수 있는 기본적 권리와 책임의 균형에서 나온다.
페밀리즘은 이러한 균형을 추구하는 실질적 대안이 될 수 있다. 남성과 여성이 서로를 위해 존재한다는 인식, 가족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 연대, 차이 속의 평등과 협력은 페미니즘이 야기한 갈등과 분열을 치유하고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페미니즘의 철학적 계보가 남긴 유산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미래 지향적 대안을 모색하는 것은 21세기 인류가 직면한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다. 이는 단순히 과거로의 회귀도 아니고 현재의 혼란을 방치하는 것도 아닌, 인간의 본성과 사회의 현실에 기반한 새로운 종합을 추구하는 것이어야 한다. 페밀리즘이 제시하는 상호 존중과 협력의 패러다임 속에서, 남성과 여성이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하면서도 동등한 인격체로서 협력할 수 있는 사회, 개인의 자유와 사회의 안정이 조화를 이루는 사회, 전통의 지혜와 현대의 이성이 균형을 이루는 사회를 만들어가는 것이 우리의 과제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김진실

  목차

서문 / 5

제1부: 근대 사상의 토대 - 마르크스, 프로이트, 다윈 / 17

제1장: 마르크스-엥겔스와 여성해방의 유물론적 기초 / 19
1.1. 초기 마르크스의 인간 소외론과 여성 / 19
1.2. 『공산당 선언』(1848)과 가족제도 비판 / 22
1.3. 엥겔스의 『가족, 사적소유, 국가의 기원』(1884) / 29
1.4. 후기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의 계보 / 38

제2장: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과 여성 주체성의 발견 / 49
2.1. 정신분석학의 탄생과 히스테리 연구 / 49
2.2.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여성성의 수수께끼 / 54
2.3. 프로이트 좌파의 등장 / 63
2.4. 프로이트주의 페미니즘의 가능성과 한계 / 75

제3장: 다윈주의와 성차 담론의 형성 / 87
3.1. 진화론과 성적 선택 이론 / 87
3.2 현대 연구의 확증: 분자생물학과 유전학의 기여 / 94
3.2. 사회다윈주의와 여성의 '자연적' 역할 / 97
3.3. 1세대 페미니스트들의 다윈 수용과 비판 / 110

제2부: 언어학적 전환과 구조주의 / 121

제4장: 소쉬르의 구조언어학과 성별 기호체계 / 123
4.1. 『일반언어학 강의』의 혁명적 의의 / 123
4.2. 기호의 구조: 시니피앙-시니피에 관계 / 135
4.3. 구조주의 확산과 성별 기호 분석의 토대 / 141

제5장: 구조주의 인류학과 성별 체계 / 149
5.1.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주의 인류학 / 149
5.2. 신화 구조에서의 성별 이분법 / 156
5.3. 구조주의의 한계와 비판 / 161

제3부: 포스트구조주의와 페미니즘의 만남 / 169

제6장: 미셸 푸코 - 권력과 성의 계보학 / 171
6.1. 니체의 계보학과 푸코의 방법론 / 171
6.2. 에피스테메(episteme)와 지식의 고고학 / 183
6.3. 『성의 역사』와 여성 주체성 / 190
6.4. 생체권력과 파놉티콘 / 200
6.5. 푸코의 개인적 경험과 동성애 정치학 / 211

제7장: 자크 데리다 - 서구 로고스 중심주의의 해체 / 222
7.1. 현전(現前)의 형이상학과 여성의 타자화 / 222
7.2. 차연(differance)과 성적 차이의 재사유 / 228
7.3. 대보(代補, supplement)와 여성성 / 235
7.4. 이항대립의 해체와 성별 위계 전복 / 242

제8장: 자크 라캉 - 언어적 주체의 성별화 / 250
8.1. "프로이트에게로 돌아가자" / 250
8.2. 실재계-상상계-상징계의 삼원 구조 / 255
8.3. 거울단계와 성적 정체성 형성 / 260
8.4. 상징계와 아버지의 법 / 265
8.5. 욕망의 변증법과 "타자의 욕망" / 273

제4부: 페미니즘 사상의 다양한 전개 / 279

제9장: 페미니즘의 주요 조류와 철학적 배경 / 281
9.1. 자유주의 페미니즘 / 281
9.2.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 288
9.3. 급진주의 페미니즘 / 295

제10장: 실존주의 페미니즘과 시몬 드 보부아르 / 300
10.1. 사르트르 실존주의의 페미니즘적 전유 / 300
10.3. 실존적 자유와 여성해방 / 304

제11장: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등장 / 309
11.1. 근대 주체성 비판과 새로운 주체성 모색 / 309
11.2.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수행성 이론 / 314
11.3. 교차성(intersectionality) 이론 / 321

제5부: 현대적 전개 - 젠더 이데올로기와 문화 혁명 / 325

제12장: 젠더 이데올로기의 형성과 그람시의 문화적 헤게모니 / 327
12.1. 안토니오 그람시의 문화적 마르크스주의 / 327
12.2. 생물학적 성(sex)과 사회적 성(gender)의 분리 / 330
12.3. 제도 영역에서 생활 영역으로의 확산 / 333

제13장: 퀴어 이론과 LGBTIQ 운동 / 338
13.1. 이성애 규범성에 대한 근본적 도전 / 338
13.2. 사회주의 페미니즘과 성소수자 해방의 만남 / 342
13.3. 글로벌 성혁명과 전통 가족의 해체 / 346

결론: 페미니즘 철학의 계보학적 의의와 비판적 전망 / 351
1. 서구 근대 철학에 대한 근본적 도전 / 351
2. 포스트구조주의와 페미니즘의 상호 영향 / 354
3. 젠더 이데올로기의 현실적 함의 / 358
4. 비판적 성찰과 미래적 과제 / 361
5. 페미니즘을 넘어선 대안적 패러다임: 페밀리즘(Familism) / 365

부록 / 369
주요 페미니즘 철학자 연표 / 369
주요 철학적 계보 요약 / 375
핵심 저작 목록 / 376
I. 근대 페미니즘의 고전 (18-19세기) / 376
II.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 377
III. 정신분석학과 페미니즘 / 378
IV. 실존주의 페미니즘 / 379
V. 포스트구조주의 철학자들 / 379
VI. 제2물결 페미니즘 (1960-1980년대) / 380
VII. 차이 페미니즘과 돌봄 윤리학 / 381
VIII. 교차성과 다문화 페미니즘 / 381
IX. 포스트모던 페미니즘과 퀴어 이론 / 382
X. 페미니즘 과학철학 / 383
XI. 신물질주의와 포스트휴먼 페미니즘 / 384
XII. 현대 비판 이론 / 384
XIII. 성/젠더 이론의 기초 문헌 / 385
XIV. 가족과 혼인 제도 연구 / 385
XV. 페미니즘에 대한 비판적 저작들 / 386
XVI. 철학사적 맥락을 위한 필수 저작들 / 386
용어 해설 / 388
참고문헌 / 394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