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영토가 아닌 여정에 주목한다. 그 이행의 길에서 들뢰즈와 조우한다. 디아스포라 문학의 내러티브는 영토의 언어가 아니라 여정의 언어이며 유동하는 유목의 언어임을 전제로 하여 이 연구는 시작되었다. 대지를 영토화하는 것이 정주민의 언어라면 유목민의 언어는 경계를 넘어 새로운 땅을 향하여 지속적으로 이행한다.
출판사 리뷰
이 책은
영토가 아닌 여정에 주목한다.
그 이행의 길에서 들뢰즈와 조우한다.
디아스포라 문학의 내러티브는
영토의 언어가 아니라 여정의 언어이며
유동하는 유목의 언어임을 전제로 하여
이 연구는 시작되었다.
대지를 영토화하는 것이 정주민의 언어라면
유목민의 언어는 경계를 넘어 새로운 땅을 향하여
지속적으로 이행한다.
유목적 사유와 그로 인해 창조된 생성 공간은
고착화된 것으로부터 탈주하는 탈영토화의 벡터다.
탈영토화란 타고난 것으로부터의 이탈이며
벡터Vector란 변형 가능한 이미지로서의 창조공간을 의미한다.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을 찾아 길을 떠나는 디아스포라의 언어들.
흩어진 자들이 생경한 땅에서 토해내는 농밀한 언술 행위는
때로는 치열하게, 혹은 영리하게 지배 언어의 사유를 해체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흩어진 자들의 문학, 즉 디아스포라 문학에 발현된
생존 전략적 징후들을 탐색하는 것을 우선으로 하되,
유목적 사유의 질료들이 격렬한 분절로 파장을 일으킴으로써
생성되는 창조공간의 특질에 관하여 추적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존 베리와 들뢰즈를 호명하여
문학과 철학의 사유가 조우하는 중첩지대를 살폈다.
이로써 미래 다문화 사회에서 일어날 ‘거대한 대립’의 자리에
아름다운 공존의 한 축으로서
디아스포라 문학이 놓여 있어야 한다는 점을 견고히 하였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김유순
글 쓰는 일과 책 만드는 일을 한다. 중앙대학교에서 교육학 석사와 국어국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교직경력 및 삼성, 이랜드, 재외동포청 등 기업강의 이력이 있다.현재는「사단법인 미라클오케이 어학당」의 대표 및「HIM BOOKS」의 편집장으로서 ‘책상 위 이론이 삶의 현장에서 구현되는’ 아름다운 미래 다양체 사회를 꿈꾼다.
목차
에피소드 1, 2, 3
추천의 글
Ⅰ. 서론
1. 연구 목적 .............................................................. 25
2. 연구사 검토 ........................................................... 35
3. 연구 방법 .............................................................. 57
II. 저항적 사유 방식에 의한 생성 공간
1. 저항적 콜라주 : 차학경의 『딕테』 ............................... 77
1) 침묵과 결여의 해체적 글쓰기 ................................ 83
2) 지배 언어의 억압에 대응하는 파편화의 공간 ............ 99
2. 저항적 해체방식
: 캐시 박 홍의 『마이너 필링스』와 『댄스 댄스 레볼루션』
1) 지배 언어의 공모를 전복시키는 저항적 발화 ........... 118
2) 기형의 언어가 생성하는 사막 도시 ........................ 131
III. 동조적 사유 방식에 의한 생성 공간
1. 진화하는 유동성으로서의 되어가는 것
: 이창래의 『척하는 삶』 .......................................... 155
1) 지배 문화 흉내 내기로서의 동조적 사유 ................. 156
2) 유동적 이행의 혼종 공간 .................................... 178
2. 동조적 그로테스크의 탈영토화
: 제인 정 트렌카의 『피의 언어』 ............................... 189
1) 입양인 작가의 자서전적 글쓰기와 탈영토화 ............ 191
2) 변신의 욕망과 불협화음의 그로테스크적 공간 ......... 202
IV. 신세대 디아스포라 문학의 지형
1. 신세대 미주 디아스포라 작품들 ............................... 222
1) 창조적 생명 공간 : 김주혜의 『작은 땅의 야수들』 .... 223
2) 패러디의 생성 공간
: 태 켈러의 『호랑이를 덫에 가두면』 ..................... 234
2. 신세대 유럽 디아스포라 작품들 ............................... 245
1) 전략적 반복이 생성하는 탐색의 공간
: 마야 리 랑그바드의 『그 여자는 화가 난다』 ............. 247
2) 자가치유를 위한 몽환적 이행 공간
: 쉰네 순 뢰에스의 『아침으로 꽃다발 먹기』 ............. 260
Ⅴ. 결 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