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19세기 말, 네덜란드의 신학자이자 정치가, 언론인이었던 아브라함 카이퍼는 미국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행한 역사적인 스톤 강연을 통해 칼뱅주의를 단순한 교회 교리나 경건 생활의 틀을 넘어, 삶의 모든 영역을 포괄하는 전인적이고 통합적인 세계관으로 선포했다.
『세속 시대를 위한 칼뱅주의』는 이러한 카이퍼의 신학과 비전을 오늘의 복잡하고 다원화된 시대 속에서 재해석하고자 기획된 책이다. 제시카 자우스트라와 로버트 자우스트라의 편집으로 완성된 이 책은, 현대의 신학자, 철학자, 역사학자, 과학자, 사회사상가들이 참여하여 카이퍼의 스톤 강연을 중심으로 ‘개혁파 공공신학’의 가능성과 과제를 조명한다.
출판사 리뷰
19세기의 통찰, 21세기의 소명
아브라함 카이퍼의 스톤 강연, 오늘을 위한 회고와 전망
시대를 꿰뚫는 통찰, 오늘을 위한 응답
세속 시대의 교회, 다시 칼뱅주의를 묻다
19세기 말, 네덜란드의 신학자이자 정치가, 언론인이었던 아브라함 카이퍼는 미국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행한 역사적인 스톤 강연을 통해 칼뱅주의를 단순한 교회 교리나 경건 생활의 틀을 넘어, 삶의 모든 영역을 포괄하는 전인적이고 통합적인 세계관으로 선포했습니다. 그의 유명한 “우리 인간 삶의 모든 영역에서 만유의 주재이신 그리스도께서 ‘나의 것이다!’라고 외치지 않는 영역은 한 치도 없습니다!”라는 선언은 기독교 신앙이 교회 안에만 머무르지 않고, 정치·경제·교육·예술·과학에 이르기까지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쳐야 한다는 개혁신학적 통찰의 정수를 보여줍니다.
『세속 시대를 위한 칼뱅주의』는 이러한 카이퍼의 신학과 비전을 오늘의 복잡하고 다원화된 시대 속에서 재해석하고자 기획된 책입니다. 제시카 자우스트라와 로버트 자우스트라의 편집으로 완성된 이 책은, 현대의 신학자, 철학자, 역사학자, 과학자, 사회사상가들이 참여하여 카이퍼의 스톤 강연을 중심으로 ‘개혁파 공공신학’의 가능성과 과제를 조명합니다.
세속화와 포스트모더니즘, 상대주의와 과학주의가 지배하는 오늘의 문화 속에서, 이 책은 신앙과 학문, 개인과 공동체, 진리와 공공성, 교회와 세상 사이의 긴장과 연대를 어떻게 사유할 수 있는지를 풍성하게 제시합니다. 이 책은 단지 과거의 유산을 회고하는 데 그치지 않고, 21세기의 교회가 감당해야 할 소명과 실천의 방향을 제시하는 신학적 제안입니다.
『세속 시대를 위한 칼뱅주의』는 오늘날 다시금 칼뱅주의 전통을 붙잡고자 하는 모든 신앙인들과 교회 공동체, 특히 공적 책임과 문화 변혁을 고민하는 이들에게 깊은 통찰을 제공할 것입니다.

카이퍼는 일찍이 첫 강의에서 프린스턴 청중들에게 자신의 관심은 어떻게 칼뱅주의 안에 정립된 “삶의 원리”가 “우리 자신의 세기의 필요들”을 채워주는지를 보이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20세기가 막 시작되려 하는 때에 그런 관측을 했는데, 지금 우리는 21세기 속으로 훌쩍 들어와 있다. 그래서 우리 자신의 시대적 도전을 직면하기 위해 우리는 카이퍼의 비전을 가지고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묻는 것이 중요하다.
- 1. 카이퍼와 삶의 체계 중에서 -카이퍼의 칼뱅주의 프리즘을 통해 굴절된 기독교는 과학과 예술과 문화를 위해 정말 좋은 소식이었다. 19세기 말, 칼뱅주의를 세상의 소망으로 제시하며 크게 홍보하는 이 강연을 했을 때, 카이퍼의 주장은 일반적인 종교를 비판하고 동시에 옹호하는 능력과 칼뱅주의를 인간의 번영에 필수적인 바로 그 종교로 장려하는 능력에 달려 있었다.
- 2. 카이퍼와 종교 중에서 -
목차
추천사 • 06
서문 - 제임스 D. 브랫 • 16
감사의 글 • 32
들어가는 글 - 로버트 J. 자우스트라 • 35
1. 카이퍼와 삶의 체계 _ 리차드 J. 마우 • 53
2. 카이퍼와 종교 _ 제임스 에글린턴 • 83
3. 카이퍼와 정치 _ 조나단 채플린 • 115
4. 카이퍼와 과학 _ 데보라 B. 하르스마 • 159
5. 카이퍼와 예술 _ 애드리안 뎅거링크 채플린 • 199
6. 카이퍼와 미래 _ 브루스 애쉬포드 • 231
7. 카이퍼와 인종 _ 빈센트 베이코트 • 263
8. 번역으로 인한 손상: 스톤 강연의 초고 _ 조지 하링크 • 291
9. 칼뱅주의가 한국사회와 문화에 미친 영향 _ 신국원 • 331
마치는 글 - 제시카 R. 자우스트라 • 366
참고문헌 • 390
색인 • 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