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종교
사유하는 불교 성지 순례 이미지

사유하는 불교 성지 순례
어의운하 | 부모님 | 2025.09.01
  • 정가
  • 18,000원
  • 판매가
  • 16,200원 (10% 할인)
  • S포인트
  • 900P (5% 적립)
  • 상세정보
  • 14x21 | 0.452Kg | 348p
  • ISBN
  • 9791197708091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한국불교와 붓다의 가르침에 끊임없이 질문을 던져온 허정 스님이 불교 성지를 어떻게 순례해야 하는가를 묻고, 이를 경전에 근거해 답변하고, 사유하면서 붓다의 삶을 걷는다. 이 책은 그동안 성지 순례의 고정된 관념인 4대 성지, 8대 성지를 넘어서 까삘라왓투, 짬빠, 꼬삼비, 날란다 등 붓다의 삶에 중요한 장면과 장소를 짚어가며 12대 성지를 제안하고, 우리가 불교 성지에서 무엇을 사유해야 할 것인지 제시한다. 이 책은 성지 순례를 하면서 마치 경전을 읽는 듯, 붓다의 생생한 삶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출판사 리뷰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4대 성지, 8대 성지를 넘어서 12대 성지와 붓다께서 걸어간 지역과 붓다의 삶이 남겨진 곳을 대부분 순례했다는 점이다. 또한 붓다의 탄생부터 열반까지 붓다의 흔적을 탐구하며, 붓다의 가르침을 수많은 초기 경전에 근거해 살피고 있기에, 가려 뽑은 경전 이야기의 역할도 함께 하고 있다.

4대 성지는 부처님께서 태어나신 룸비니,깨달음을 얻으신 보드가야, 처음으로 법을 설한 사르나트(녹야원), 열반하신 꾸시나가라 등이며, 이를 포함한 8대 성지는 부처님의 가장 오래 머무셨던 사왓티(사위성), 부처님이 도리천에서 하강한 상카싸, 수많은 생명을 교화한 라자가하(왕사성), 보배경이 설해진 웨살리(바이샬리) 등이다. 허정 스님은 이 8대 성지의 경전 근거가 상이하고, 차이가 있으며, 부처님의 걸어온 기록을 볼 때 추가로 순례해야 할 곳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스님은 부처님 당시 왕궁터인 까삘라왓투, 승가의 화합을 상징하는 곳 짬빠, 사리불이 태어나고 열반한 날란다, 부처님과 관련된 수많은 이야기가 곳곳에 남겨진 꼬삼비 등을 새롭게 포함해 12대 성지로 순례할 것을 제안한다.

이 책은 이들 12대 성지를 중심으로 각각의 성지가 어떤 의미를 갖고, 부처님의 가르침과 삶이 어떻게 스며 있는지 하나하나 경전의 근거를 제시하며 밝혀나간다. 예컨대, 부처님 탄생지인 마야데위 사원 옆 아소까 석주에 쓰여진 ‘브라흐미 글자’의 내용, 과거 칠불의 행적이 담긴 <대전기경>, 탄생게송이 있는 <율장 대품>, 과거생의 공덕과 악업, 신통력 등등이 씨줄과 날줄로 엮이며, 룸비니를 설명한다. 스님이 제안한 12대 성지 중 하나인 까삘라왓투에서는 네팔와 인도에서 각각 주장하는 승원터가 경전과 고고학적인 성과를 바탕으로 보면 모두 까삘라왓투인 것으로 밝힌다. 까필라왓투가 만들어진 후 인도 네팔의 국경이 생겼기 때문인 것이다. 사왓티(사위성)에서는 한국 불자들이 금강경의 설법 장소이며, 금강경을 독송하기로 유명하지만, 상좌부 계통의 불자들에게는 ‘들숨날숨에 대한 마음챙김의 경’을 독송한다.스님은 두 경전이 단순히 지역의 차이일 뿐 우월의 문제가 아님을 전한다.

이 책에서 특별히 제안하는 것 중 하나는 바로 ‘우유죽 공양 길’이라는 순례길이다. 이 순례길은 수자타탑과 우유죽 공양 스투파까지 논밭 길과 마을 길을 걸어서 되돌아오는 코스로 약 2~3시간 정도 걷는 순례길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마하보디소사이어티 사찰 → 마한트저택 불상 → 네란자라강 건너기 → 꾸사풀을 바친 솟티야 템플 → 수자타탑(집터) → 우유죽 탑(고행림) → 발우를 씻은 곳(미얀마 불상) → 수자타 템플(힌두교사원 뒤) → 네란자라강 건너기 → 마하보디 대탑 → 깨달음 후 7주 보낸 곳 → 회향>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 책은 기존의 성지 순례에서 볼 수 없는 수많은 경전의 이야기, 붓다의 이야기, 우리가 몰랐던 성지 순례지를 120여 장의 사진과 함께 생생하게 증언한다.

부처님은 각 꿈에 대해서 해몽까지 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각기 다른 색깔의 네 리의 새가 사방에서 날아와 발아래 앉더니 모두 흰색으로 변하는 꿈은 앞으로 네 가지 계급의 모든 사람들이 부처님 법안에서는 깨달음을 얻어서 평등하게 된다는 뜻이다. 이로 인해서 재가 불자들은 절에 올 때 흰옷을 입는 전통이 생기게 되었다.

항마촉지인은 마라와 대결해서 승리하는 극적인 순간을 보여준다. 마라에 맞서는 젊은 붓다의 당당함, 용맹함은 보드가야를 다른 성지와는 다르게 활발하고 생동감 있는 장소로 만들고 있다.

현재 보드가야 대탑 입구에 있는 아자빨라니그로다 안내판은 정확한 장소가 아니다. 나는 몇 가지 이유로 수자타가 유미죽을 올리고 수많은 경전이 설해진 아자빨라니그로다 나무가 네란자라강 건너 수자타 스투파에서 동쪽으로 700m 지점 작은 수투파가 있는 곳이라고 보게 되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허정
1987년 수덕사에서 옹산翁山 스님을 은사로 사미계를 수계하고, 1993년 어사에서 비구계를 수지했다. 2005년 실상사 화엄학림華嚴學林을 졸업하였다.서산 천장사 주지와 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장을지냈다. 펴낸 책으로는 『스님들의 오해』가 있다.

  목차

1 불교 성지 순례를 하는 자세 6
2 8대 성지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12
3 깨달음의 땅, 보드가야 22
4 아자빨라니그로다 나무는 어디에 있었나 36
5 6년 고행림은 어디인가 43
6 우유죽 공양 길 걷기 52
7 바라바르 동굴 62
8 아수라 동굴과 붓다와나 70
9 탄생지 룸비니 77
10 룸비니 석주와 그 주변 87
11 까삘라왓투는 어디인가 98
12 싯다르타의 출가 행로 106
13 이러한 진리로 모두 편안하기를 116
14 제2차 결집지 웨살리에서 123
15 최초의 비구니 승단 133
16 아찌라와띠 강가에서 142
17 아찌라와띠 강가에서 일어난 사건들 149
18 사왓티와 금강경 157
19 앙굴리말라와 데와닷따 168
20 천불을 나투시다 175
21 부처님의 불운한 말년 183
22 최초의 승원, 왕사성에서 192
23 라자가하에서 생긴 일 199
24 앗싸지 존자의 연기 게송 207
25 제티얀과 평화의 길 213
26 가섭존자와 부처님이 옷을 바꿔 입은 곳 220
27 처음으로 법을 전한 곳 228
28 꼬삼비 승가 분쟁 240
29 이야기의 창고, 꼬삼비 246
30 부처님의 마지막 유언 258
31 말리까가 울고 있다. 264
32 아난다 존자의 사리탑 271
33 승가의 화합이란 무엇인가 277
34 할 말은 하자 286
35 새로운 인도불교가 시작된 낙푸르 293
36 오디샤의 불교 1 305
37 오디샤의 불교 2 320
38 비디샤와 산치대탑 326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