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이현주
성균관대학교 박사, 역사학 전공, 신라사성균관대학교 석사, 역사학 전공, 신라사성균관대학교 학사, 사회학 전공(역사학 복수전공)2023.09-2024.08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Visiting Scholar아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수선사학회, 신라사학회, 한국여성사학회 편집이사 역임한국고대사학회 평의원대표저서이현주, 신라 후비제 연구, 신서원, 2024이현주, 베이지안 네트워크 모델링을 활용한 신라 지배층 가족의 복원, 한국고대사연구118, 2025Hyunju Lee, Won-tak Joo, Joseph Dennis, Sangkuk Lee, Centralized power, decentralized ambitions: the reconfiguration of local power during the transition from Goryeo to Joseon Korea, HISTORY OF THE FAMILY(2025)伴?明美·?田奈津子??佳子?保科季子 編, 『東アジアの後宮』, 勉誠社, 2023 외 공저 다수.
들어가며
제1부 신라 왕실여성과 정치
제1장 한국 고대 여성의 역사와 인식
머리말
1. 여성사 연구의 시기별 경향
2. 여성사 연구의 주제별 검토
맺음말 : 경계 넘나들기
제2장 신라 중대 책봉호冊封號 수수授受의 배경과 의미
머리말
1. 신라왕의 책봉호와 나당관계의 변천
2. 신라 왕실여성 책봉의 배경과 의미
맺음말
제3장 신라 중대 만월태후의 자기인식과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鍾’
머리말
1. 봉덕사의 창건과 ‘성덕대왕신종’
2. ‘성덕대왕신종’ 명문의 이해와 ‘효孝’
3. 만월태후의 자기인식과 정치적 지향
맺음말
제4장 신라 하대초기 왕실여성의 책봉과 의미
머리말
1. 왕실여성의 책봉과 위상 변화
2. 태자와 왕후 책봉의 연동성
3. 당의 신라왕대비 책봉과 의미
맺음말
제5장 9세기 나당관계와 재당신라인 사회
머리말
1. 재당신라인 사회의 특성과 재당신라인의 정체성
2. 나당관계와 재당신라인 사회의 상관성
맺음말
제6장 신라 효경의 수용과 활용
머리말
1. 효경의 수용 배경
2. 경덕왕의 어주효경御注孝經의 수용과 ‘효치孝治’
3. 진성왕의 통치와 ‘효녀’ 창출
맺음말
제2부 신라 왕실여성과 가족
제1장 한국 고대의 ‘가家’의 기원
머리말 : 한국 고대 ‘가족사’ 연구의 시작
1. 한국 고대의 ‘족族’을 찾아서
2. 한국 고대의 ‘가家’를 찾아서 왕위계승을 중심으로
3. 한국 고대의 ‘부父’를 찾아서
맺음말 : 고대 가족의 이원적 운영 원리
제2장 한국 고중세의 혼인제와 ‘유녀遊女’의 인식
머리말 - 정절과 음란 : 유녀의 기록과 실제 사이
1. 중국사서의 유녀관련 기록의 특징
2. 제한적 처변거주(서류부가형)의 혼인제와 유녀
3. ‘유녀’ 인식의 변천
맺음말 - 시선과 기록 : 차이가 차별이 되는 순간
제3장 신라 유교 가족윤리의 도입과 변용
머리말
1. 상복법과 유교의 예제적 ‘가家’ 개념의 도입
2. 유교 가족윤리의 수용
3. 유교의 예제적 ‘가家’와 신라의 ‘족族’
맺음말
제4장 신라 태자제의 수용과 왕실의 ‘가족家族’ 인식
머리말
1. 태자제와 왕위계승 양상의 변화
2. 태자제의 수용과 운용
3. 태자제와 왕실의 ‘가족家族’ 인식
맺음말
제5장 신라 하대초기의 왕위계승과 태후의 역할
머리말
1. 인겸계의 등장과 태후의 위상
2. 인겸계의 태자와 태후
3. 왕위계승과 태후의 역할
맺음말
제6장 신라 하대 왕위계승권과 왕실여성
머리말
1. 경문왕가의 성립과 왕위계승 양상
2. 헌강왕계의 왕위계승과 ‘의부모義父母’
3. 왕위계승권과 왕실여성의 상관성
맺음말
맺으며
참고문헌
관련연구
찾아보기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