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인문,사회
대통령의 언어  이미지

대통령의 언어
김대중·이재명의 눈·말·글·몸
메디치미디어 | 부모님 | 2025.07.24
  • 정가
  • 18,000원
  • 판매가
  • 16,200원 (10% 할인)
  • S포인트
  • 900P (5% 적립)
  • 상세정보
  • 14x21 | 0.234Kg | 180p
  • ISBN
  • 9791157064595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25년간 수백만 구독자들에게 ‘고도원의 아침편지’를 보내온 작가 고도원. 그는 5년 동안 연설비서관으로 김대중 대통령을 모시며 대통령의 말과 글을 만들었다. 이후 오랫동안 은둔생활을 했던 그는 계엄과 탄핵, 조기 대선이라는 격랑의 시간 속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후보 수락 연설문과 취임사 작성을 돕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김대중의 언어와 이재명의 언어가 닮아 있음을 깨달았다.이 책에서 고도원은 김대중과 이재명의 언어를 눈·말·글·몸이라는 틀로 해부하고, 그 언어가 어디서 왔으며 어디로 향하는지를 탐색한다. 이 책은 김대중과 이재명의 눈·말·글·몸을 통해 ‘리더의 언어란 무엇인가’를 새롭게 묻는 여정이다. 사람과 사람, 과거와 미래, 말과 행동을 연결하는 것이 리더의 언어다. 리더는 언어로 세상을 움직인다!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두 리더의 언어를 돌아보며 자신만의 눈·말·글·몸의 언어 체계를 세우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출판사 리뷰

김대중이 침묵 속에서 준비된 ‘말의 사제’였다면,
이재명은 소음 속에서 탄생한 ‘말의 전사’다
시대가 바뀌어도 두 사람의 말과 글은 닮아 있다

2001년부터 수많은 구독자들에게 ‘고도원의 아침편지’를 보내온 작가 고도원. 그는 국민의정부 시절 김대중 대통령의 연설비서관으로 재직하며 대통령의 말과 글을 만들었다. 그러나 김대중 대통령의 퇴임 이후 그는 충주의 깊은 산 속에서 ‘고도원의 아침편지’를 쓰고 명상센터를 운영하며 25년간 은둔생활을 했다.
고도원을 다시 세상으로 불러낸 것은 2024년 12월 3일, 윤석열의 비상계엄 선포였다. 그리고 이어진 탄핵, 조기 대선이라는 격랑의 시간 속에서 고도원은 우연한 기회에 이재명 대통령의 후보 수락 연설문과 취임사 작성을 돕게 되었다. 5년 동안 김대중 대통령의 연설비서관으로 일하며 김대중의 언어를 이해하고 주목했던 고도원은 이재명이라는 또 한 사람의 언어에 주목하게 된다. 은둔생활을 하면서 두 사람의 언어가 많이 겹친다고 생각했는데, 실제로도 그렇다는 점을 발견했다는 것이다.
고도원은 이 책의 부제이자 각 장의 키워드인 김대중·이재명의 눈·말·글·몸이 책의 핵심이라고 말한다. 1장에서는 ‘눈’을 통해 그들이 본 세계관을 보여주고, 2장의 ‘말’은 그들이 선택한 싸움의 무기를 보여준다. 3장의 ‘글’은 그들이 기록으로 남긴 한 시대의 문장을 드러낸다. 그리고 4장의 ‘몸’은 ‘몸짓’으로 표현한 ‘몸 언어’를 뜻한다. 그는 이 책을 통해 김대중과 이재명의 언어를 눈·말·글·몸이라는 틀로 해부하고, 그 언어가 어디서 왔으며 어디로 향하는지를 탐색한다.
김대중은 준비된 언어를 구사했다. 그의 말은 언제나 시간을 두고 정리되었고, 그의 글은 오랜 사유와 통찰로 이어졌으며, 그의 몸짓은 항상 절제 속의 품격을 지켰다. 그는 말로 이기려 하지 않았다. 유머와 침묵으로 이겼다. 그의 언어는 ‘양심을 흔드는 사상’이었다.
이재명은 정면 돌파의 언어를 구사했다. 그의 말은 길 위에서 태어났고, 그의 글은 고단한 삶의 기록이었다. 그의 몸짓은 자신을 가로막는 벽을 넘기 위한 사다리였다. 그는 대통령 선서를 하자마자 국회 청소원들과 악수하고, 쪼그려 앉아 사진을 찍었다. 그는 때때로 그렇게 몸으로 말했다. 그의 언어는 ‘현장을 흔드는 파격’이었다.
이 책은 김대중과 이재명의 눈·말·글·몸을 통해 ‘리더의 언어란 무엇인가’를 새롭게 묻는 여정이다. 두 대통령의 언어를 비교하고 해석하기 위함이기도 하지만 그들 언어의 유전자에 담긴 영혼의 무늬, 양심의 구조, 역사를 관통하는 시대정신, 국민을 아우르고 품는 정치 지도자의 삶의 태도와 방식을 찾아가는 작업이기도 하다.
두 사람의 언어에서 우리는 이 시대 정치 지도자의 언어를 읽어낼 수 있다. 사람과 사람, 과거와 미래, 말과 행동을 연결하는 것이 리더의 언어다. ‘살아 있는 언어(Living Language)’, 고통의 바닥에서 피어난 언어, 현장과 일상 속에서 태어난 언어, 분열의 시대에 통합을 끌어내는 언어, 그것이 곧 지도자의 언어다. 리더는 언어로 세상을 움직인다!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두 리더의 언어를 돌아보며 자신만의 눈·말·글·몸의 언어 체계를 세우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김대중은 준비된 언어를 구사했다. 그의 말은 언제나 시간을 두고 정리되었고, 그의 글은 오랜 사유와 통찰로 이어졌으며, 그의 몸짓은 항상 절제 속의 품격을 지켰다. 그는 말로 이기려 하지 않았다. 유머와 침묵으로 이겼다. 그의 언어는 ‘양심을 흔드는 사상’이었다.
이재명은 정면 돌파의 언어를 구사했다. 그의 말은 길 위에서 태어났고, 그의 글은 고단한 삶의 기록이었다. 그의 몸짓은 자신을 가로막는 벽을 넘기 위한 사다리였다. 그는 대통령 선서를 하자마자 국회 청소원들과 악수하고, 쪼그려 앉아 사진을 찍었다. 그는 때때로 그렇게 몸으로 말했다. 그의 언어는 ‘현장을 흔드는 파격’이었다.
- <프롤로그> 중에서

그들의 눈이 공통적으로 닮은 것은 ‘권력’이 아닌 ‘민중’을 중심에 두었다는 점이다. 김대중은 군사독재 권력 앞에서도 민중의 뜻을 외면하지 않았다. 이재명은 기득권과 대립하면서도 늘 서민의 삶에 시선을 고정했다. 이들은 모두 민중의 고통을 가장 가까이에서 눈으로 확인한 사람들이다. 그 고통을 이해하는 눈, 그 고통을 없애거나 덜어주고자 하는 꿈과 열정과 의지가 그들의 정치를 만들어냈다.
김대중은 긴 호흡으로 역사의 흐름을 읽는 눈을 가졌고, 이재명은 현장의 순간순간에서 움직이는 민심을 읽는 눈을 가졌다. 두 사람은 멀리서 전체를 조망했고, 가까이에서 미세한 진동을 감지했다. 두 시선이 바라본 방향도 하나였다. 이 나라가 나아가야 할 길, 국민의 삶이 더 좋아지는 사회, 정의와 평등이 살아 숨 쉬는 민주주의. 그들의 눈은 언제나 그 지점에 머물러 있었다.
- ‘1장 눈, 약자의 시각’ 중에서

김대중은 “국민을 보는 눈이 사라지면, 그 정치는 이미 죽은 것”이라 했고, 이재명은 “국민과 눈이 마주치지 않는 정치인은 진실을 모른다”고 했다. 두 사람은 모두 “민주주의란, 권력자의 말이 아니라 눈의 방향에서 시작된다”고 말한다.
지도자의 눈이 달라지면, 국가의 정의가 달라진다. 김대중의 시선은 남북 관계의 지형을 바꾸었고, 이재명의 시선은 ‘싸울 필요가 없는’ 남북 관계를 토대로 성장과 분배, 복지의 지평을 확장하고 있다. 김대중은 ‘햇볕’이라는 언어로 북한을 보는 눈을 바꾸었고, 이재명은 ‘기본소득’이라는 개념으로 빈곤을 보는 눈을 재정의했다. 민주주의는 제도가 아니라 생활이고, 그것은 ‘지도자의 눈’을 통해 사회로 번지며 진화한다.
- ‘1장 눈, 약자의 시각’ 중에서

  작가 소개

지은이 : 고도원
초·중·고 때부터 문예반 활동을 했고 평생 동안 글을 써왔다. 대학생 때에는 〈연세춘추〉 기자, 사회에 나와서는 월간 《뿌리깊은 나무》, 〈중앙일보〉 기자를 지냈으며, 김대중 대통령이 당선되자 연설비서관으로 5년간 일했다. 2001년에 ‘고도원의 아침편지’를 시작했고, 충주에 명상치유센터 ‘깊은산속 옹달샘’을 설립해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지도자, 특히 대통령 리더십에 관심이 많은데 그 핵심은 ‘언어(言語)’이며, 그 언어에 개인의 서사와 정치철학, 시적 상상력이 더해질 때 역사에 남는 업적을 이룬다고 믿는다. 젊은 청년들에게는 독서와 명상, 꿈 너머 꿈을 심어주는 일에 관심이 많다. 등단 시인이기도 하다.저서로는 《고도원 정신》, 《잠깐 멈춤》, 《절대고독》, 《꿈 너머 꿈》, 《혼이 담긴 시선으로》, 《꿈이 그대를 춤추게 하라》, 《당신이 행복하면 나도 행복하다》 등 20여 권이 있다.

  목차

프롤로그 4

1장 눈, 약자의 시각
멀리 보고 동시에 가까이 보는 사람 14
정치인의 눈은 세상을 읽는 창 18
김대중의 눈, 세상을 다르게 보는 눈 24
이재명의 눈, 민생의 고통을 꿰뚫는 시선 30
고난을 마주 보는 눈, 사랑으로 품는 눈 35
대통령의 눈으로 본 국민, 국민의 눈으로 본 대통령 39
반걸음 앞에서 시작된 민주주의 45

2장 말, 시대를 돌파한 언어
김대중의 말, 인내와 설득의 기술 52
이재명의 말, 진심과 위기 극복의 힘 58
상식의 언어 vs. 전복의 언어 64
말은 시대의 통로다 68

3장 글, 기록된 사상과 철학
지도자의 자서전, 회고록, 말은 흐르고, 글은 남는다 74
옥중서신, 감옥에서 철학자가 된 김대중 78
실패의 기록 vs. 진심의 기록 82
말과 글에서 드러나는 양심과 진실 86
김대중의 양심은 ‘자기 절제’로, 이재명의 진실은 ‘감정의 투명함’으로 89
기록은 잊히지 않는 약속, 다음 시대의 거울이다 92

4장 언어, 시대를 꿰뚫는 유전자
준비된 언어, 논리와 배려의 프레임 96
상식의 언어, 국민과의 공감대를 이루는 말 101
희망의 언어, 희망은 믿음이며 만들어지는 것 105
진실의 언어, 거짓을 돌파하는 정직한 말의 힘 110
통합의 언어, 분열을 넘어서는 목소리 113
양심의 언어, 사람의 양심에 불을 붙이는 부싯돌 118
감정의 언어, 혁신과 변화를 이끄는 힘 122
치유의 언어, 말이 세상을 감싸안을 때 정치도 숨을 쉰다 127

5장 몸, 말보다 강한 몸의 언어
김대중의 몸 언어, 절제된 침묵과 폭발하는 오열 132
이재명의 몸 언어, 낮은 자세와 눈 맞춤 137
단식과 침묵, 자신의 고통을 드러내는 몸 언어 140

에필로그 1 144
에필로그 2 147

부록
김대중 대통령 취임사 152
이재명 대통령 취임사 167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