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인문,사회
금형 사상공 나의 삶 나의 꿈 이미지

금형 사상공 나의 삶 나의 꿈
은빛 | 부모님 | 2025.07.23
  • 정가
  • 18,000원
  • 판매가
  • 16,200원 (10% 할인)
  • S포인트
  • 900P (5% 적립)
  • 상세정보
  • 15x22 | 0.437Kg | 336p
  • ISBN
  • 9791187232414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현대자동차의 금형사상공으로 재직 중이던 노동자 정갑득 씨가 노동운동에 나서고, 투쟁의 주역으로 서게 된 개인적 경험과 과정을 기록한 회고록이다. 그의 발자취 속에 현대자동차노조, 금속노조, 민주노총의 역정이 고스란히 확인되고, 그의 노동운동이 민주노동운동의 성과와 한계를 보여주기도 한다. 노동자 정갑득이 현장투쟁의 주역으로 나서게 된 과정, 현대자동차노조 위원장 2회, 수감생활 다섯 번, 금속노조 민주노총 민주노동당의 일꾼으로 일했던 족적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정의로운 사회를 꿈꾼 한 노동자의 역정에 대한 기록, 한 시대의 기록으로 충분하고, 오늘 우리 사회에 남겨진 과제를 확인할 수 있는 솔직하고 담백한 자기고백서다.

  출판사 리뷰

87년 이후 노동운동의 역정과 쟁점을 기록한 전 현대자동차노조 정갑득 위원장의 회고록

오늘 우리 사회의 현재, 우리 민주주의의 현실을 살필 때 한 간과할 수 없는 사회 현상의 하나는 노동운동이다. 노동의 가치, 일하는 이들의 노동에 대한 정당한 보상과 사회적 평등의 실현은 우리 사회에 여전히 주요한 과제의 하나다.
우리 사회의 노동운동은 1987년 6월항쟁을 잇는 7~9월 노동자 대투쟁을 시작으로 1987~2000년대로 이어지는 민주노동운동으로 전개되었고, 그 한 주체이며 성과가 대공장 노조, 금속노조, 민주노총이다.

이 책은 현대자동차의 금형사상공으로 재직 중이던 노동자 정갑득 씨가 노동운동에 나서고, 투쟁의 주역으로 서게 된 개인적 경험과 과정을 기록한 회고록이다. 그의 발자취 속에 현대자동차노조, 금속노조, 민주노총의 역정이 고스란히 확인되고, 그의 노동운동이 민주노동운동의 성과와 한계를 보여주기도 한다.
노동자 정갑득이 현장투쟁의 주역으로 나서게 된 과정, 현대자동차노조 위원장 2회, 수감생활 다섯 번, 금속노조 민주노총 민주노동당의 일꾼으로 일했던 족적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정의로운 사회를 꿈꾼 한 노동자의 역정에 대한 기록, 한 시대의 기록으로 충분하고, 오늘 우리 사회에 남겨진 과제를 확인할 수 있는 솔직하고 담백한 자기고백서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정갑득
전 현대자동차노조 위원장, 금속노조 위원장 역임1958. 경남 창녕 출생1977. 대구농림고 졸업1978. 11 ~ 1981. 7 군 생활1984 현대자동차 금형부 입사1985. 결혼1988. 해고결사대 단식 투쟁1992. 성과 분배 투쟁, 구속1995. 5. 12 양봉수 열사 분신, 추모투쟁 주도1995. 10 ~ 97. 9 현대차노조 6대 위원장1996. 12. 26 ~ 1997. 1. 24 노개투 투쟁1998. 3. 민주노총 위원장 선거 낙선1998. 정리해고 반대 34일간 굴뚝 농성1999. 5 ~ 2000. 1. 현대차노조 8대 위원장2000. 2 대우자동차 해외 매각 저지 투쟁 구속2005. 10. 국회의원 울산북구 재보궐선거 출마, 낙선 2007. 금속노조 위원장2008. 한미 FTA 반대 투쟁 구속2009. 쌍용차 정리해고 반대 투쟁 구속 2018. 정년퇴직퇴직한 후 가족과 함께 경주에서 생활하고 있다. 동네 도서관을 자주 이용하고, 사회적 쟁점이 있을 때는 울산 생활 40년의 인연으로 울산을 찾곤 한다. 노동이 존중받는 나라, 차별 없는 사회를 꿈꾼다.

  목차

책을 묶으며 / 8

제1장 | 삶의 뿌리

∙ 아버지의 마지막 편지 / 16
∙ 아버지의 담배 불빛 그리고 트랜지스터라디오 / 20
∙ 농고(農高) 진학 / 23
∙ 금서와 시국강연회 / 25
∙ 첫 직장의 철야 근무 / 28
∙ 처음 만난 노동조합 / 30
∙ 나의 ‘불온사상’ 학습기 / 32
∙ 울산의 6월 민주항쟁 / 35
∙ 신혼 단칸방, 자식들의 상처 / 37
∙ 유담보를 안고 울산으로 날아가다 / 42
∙ 나는 금형사상공이다 / 45

제2장 | 현대 자본의 노동 통제

∙ 사원 추천제도 / 48
∙ ‘똥구르마’ 현대차 / 50
∙ 현장의 군사 문화 / 54
∙ 선착순 ‘뺑뺑이 돌리기’ 인사고과 / 58
∙ 회사의 노조 간부 회유 / 60

제3장 | 누가 나를 이 길로 가라 하지 않았네

∙ 민주노조실천노동자회 결성에 참여하다 / 66
∙ 4·28 연대 투쟁 - 현대중공업노조 탄압에 손을 맞잡다 / 68
∙ 야만의 시간 / 74
∙ 우리는 이렇게 산다 / 80
∙ 성과 분배 투쟁 / 83
∙ 현대차노조 5대 위원장 선거 출마와 패배 / 98
∙ 6대 임원 선거와 집행부 활동 / 101
∙ 96~97 노개투 총파업 투쟁 / 107
∙ 민주노총 위원장 출마 그리고 낙선 / 125
∙ 국가 부도, 1998년 구조조정의 회오리와 그 뒤 / 130
∙ 피폐한 현장, 이계안 사장과 만남 / 143
∙ 대우자동차 해외 매각 반대 완성차 4사 공동 투쟁 / 150
∙ 산별노조로 한 걸음 한 걸음 / 158
∙ 쌍용차 투쟁 / 168

제4장 | 징역살이, 갇힌 삶

∙ 나의 대학 / 180
∙ 대용감방(代用監房)의 칼잠 / 182
∙ 주례구치소, 단면과 일상 / 186
∙ 전주교도소 가는 길 / 192
∙ 감방 동지 그리고 생활 수칙 / 194
∙ 못난이 사과 먹기 / 197
∙ ‘졸대 위협’과 구더기 / 200
∙ 순천교도소, 문어 다리와 적응력 / 205
∙ 겨울나기와 칼 만들기 / 210
∙ 고의로 형량 늘리기, 국가보안법 위반 / 213
∙ 파랑새가 되어 날아가고 싶었던 날 / 215
∙ 영등포구치소에 갇힌 군상(群像)들 / 220

제5장 | 사람, 참사람

∙ 임동식 / 228
∙ 서영호 열사 / 231
∙ 양봉수 열사 / 234
∙ 정재성 동지 / 239
∙ 별이 된 최경철 동지 / 241
∙ 반장 조동래 / 242
∙ 변하지 않은 우정, 이상락 / 244

제6장 | 잔상(殘像)과 단상(斷想)

∙ 두려움, 안타까움 그 뒤의 희망 / 248
∙ 노동자가 정치 세력화에 나서야 하는 까닭 / 250
∙ 내 인생 최고의 오류, 광고비 사건 / 254
∙ 16.9퍼센트 비정규직 합의는 올바른 판단이 아니었다 / 256
∙ 금형사상공이 생각했던 세상과 현실 / 260
∙ 노동운동의 미래를 다시 세우는 길, ‘양극화 극복’ / 262
∙ 국무위원도 정보기관의 감시를 받고 있었다 / 269
∙ 정부의 행정 관료가 자본에 포섭돼 있다 / 270
∙ 민주노동당 국회의원 출마, 낙선 / 271
∙ 민주노동당의 실패를 교훈 삼아 민주노총 중심의 대안 만들어야 / 273
∙ 무엇을 목표로 할 것인가 / 276
∙ 진실보다 다수의 인식이 여론이다? / 278
∙ 올바른 노동조합 활동 / 280
∙ 똑똑한 자가 세상을 주도한다, 노동대학원 설립 / 287
∙ 티뷰론 축제 / 292
∙ 서울역을 지나며 생각한 선전·홍보 / 294
∙ 노동조합은 무엇을 해야 하나 - 고르바초프, 오바마의 의견을 읽으며 / 298
∙ 노동조합을 할 수 있는 권리 / 303
∙ 일반직, 관리직들은 지금까지의 선택을 뒤돌아보아야 할 때다 / 308
∙ 재벌의 여론 조성과 언론 통제 / 313
∙ 노동조합에서 정파란 무엇인가 / 315
∙ 노사 관계는 무엇인가 / 318
∙ 기존 질서의 파괴 없이는 새로운 질서를 만들 수 없다 / 322

글을 닫으며 / 330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