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기독교는 세상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믿는 종교 중 하나지만, 막상 기독교가 무엇을 믿고, 어떤 가르침을 전하는지 정확히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심지어 교회를 오래 다니는 사람들도 기본적인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설명하기 어려워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기독교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나 오해를 가지고 사람들이 “교회가 왜 저러지?”, “왜 그렇게 믿어야 하지?”, “다른 종교와 뭐가 다르지?”라는 생각을 갖는 것은 당연한 일인지 모른다.이 책은 그런 궁금증을 해결해 하기 위해 쓰여졌으며 신학적인 전문 용어를 가득 채운 교과서가 아니라 기독교에 대해 한 번도 들어보지 않았던 사람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친근한 대화 형식으로 질문에 하나씩 답해 나아가고 있다.
출판사 리뷰
AI 시대, 비그리스도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20가지 기독교 교리 설명과 그림을 곁들인 신앙 이야기!
기독교는 세상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믿는 종교 중 하나지만, 막상 기독교가 무엇을 믿고, 어떤 가르침을 전하는지 정확히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심지어 교회를 오래 다니는 사람들도 기본적인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설명하기 어려워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기독교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나 오해를 가지고 사람들이 “교회가 왜 저러지?”, “왜 그렇게 믿어야 하지?”, “다른 종교와 뭐가 다르지?”라는 생각을 갖는 것은 당연한 일인지 모른다.
이 책은 그런 궁금증을 해결해 하기 위해 쓰여졌으며 신학적인 전문 용어를 가득 채운 교과서가 아니라 기독교에 대해 한 번도 들어보지 않았던 사람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친근한 대화 형식으로 질문에 하나씩 답해 나아가고 있다. 어떤 질문은 독자가 예상했던 답과 다를 수 있고, 어떤 부분은 조금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적어도 이 책을 읽고 나면 기독교가 무엇을 말하고, 왜 수많은 사람들이 이 신앙을 지키며 살아가는지에 대해 보다 선명한 그림을 그릴 수 있을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오주철
동국대학교와 영남신학대학교를 졸업하고, 계명대학교에서 조직신학 전공으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신앙, 선교, 사랑의 공동체를 지향하는 언양영신교회를 개척하여 목회사역을 감당하는 가운데 계명대학교와 영남신학대학교에서 강사로 후학들을 가르치고 있다.저자는 전통적인 조직신학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하는 가운데, 특별히 동서신학연구소 편집국장을 맡아 한국 초기교회사에도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하고 있다..[저서]《조직신학개론》 서울: 한들출판사, 2013.《한국개신교회사》 황재범, 오주철. 서울: 한들출판사, 2015.《조직신학개론》 개정판. 서울: 한들출판사, 2016.《종교개혁자들의 삶과 신학》 서울: 한들출판사, 2017.《평신도교의학》 서울: 한들출판사, 2019.《십계명 이야기》 서울: 한들출판사, 2021.그 외 다수 공동저[사학위 논문][한국교회사에 나타난 전천년설의 기원과 발전과정에 대한 교리사적 이해와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목차
1. 하나님은 어떤 존재이신가요? / 13
2. 예수 그리스도는 왜 중요한 인물로 여겨지는가요? / 19
3. 삼위일체 하나님이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요? / 25
4. 고통과 악이 존재하는데도 하나님이 선하신 이유는 무엇인가요? / 33
5. 구원은 무엇이며, 어떻게 얻을 수 있는가요? / 43
6. 타종교와 기독교는 어떻게 다른가요? / 53
7. 기독교에서 성경은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가요? / 61
8. 성경은 역사적 사실인가요, 상징적인 이야기인가요? / 67
9. 교회는 어떤 역할을 하는 곳인가요? / 75
10. 예배는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요? / 81
11. 기도란 무엇이며, 왜 하는 것인가요? / 87
12. 세례의 의미와 목적은 무엇인가요? / 93
13. 성찬식은 왜 기독교에서 중요한 의식인가요? / 101
14. 기독교는 왜 선과 악의 문제를 중요하게 다루는가요? / 107
15. 기독교에서 죄란 무엇이며, 어떻게 다루어지는가요? / 113
16. 기독교의 윤리 기준은 무엇에 기반하는가요? / 119
17. 천국과 지옥의 개념은 어떤 의미인가요? / 127
18. 기독교는 왜 선교에 중점을 두는가요? / 133
19. 왜 교회가 정치, 사회 문제에 관여하는 경우가 있는가요? / 139
20. 현대 과학과 기독교 신앙은 양립할 수 있는가요?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