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역사
반정의 얼굴  이미지

반정의 얼굴
폭군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몰락하는가
드레북스 | 부모님 | 2025.05.26
  • 정가
  • 17,000원
  • 판매가
  • 15,300원 (10% 할인)
  • S포인트
  • 850P (5% 적립)
  • 상세정보
  • 13.2x20.3 | 0.281Kg | 216p
  • ISBN
  • 9791193946404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역사적 사건은 빛과 그림자의 복합체다. 명암을 아울러 봐야 온전히 이해할 수 있다. 이 책은 폭군을 축출하고 새로운 시대를 연 극적인 순간을 서로 다른 관점에서 들여다본다. 1506년 9월 1일부터 3일까지 중종반정을 여러 사람의 시선에서 재구성했다.

  출판사 리뷰

폭군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몰락하는가

반정은 본래의 바른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말한다. 1506년 9월, 폭군 연산을 왕위에서 몰아내고 이복동생 진성대군을 옹립하는 의거가 성공을 거두었다. 중종반정의 주역은 사대부들이었지만, 그 원동력은 미친 폭정을 청산하고 바른 정치를 해주기를 바라는 민심의 폭발이었다. 민심은 묘한 것이다. 폭군이 미쳐 날뛰자 오히려 모반의 기운이 피어올랐다. 민심이 폭발하자 사대부들의 공론도 들끓었다. 폭군에게 충성 맹세를 한 조정 대신과 왕의 측근들도 흔들리기 시작했다. 그렇게 반정의 불길이 타올랐다.
1506년 9월 1일부터 3일. 그날 역사는 뒤집어지고 바로 세워졌다. 폭군 연산을 왕위에서 몰아내는 거사가 이루어졌고, 그의 이복동생 진성대군을 새 국왕으로 옹립했다. 반정의 주역은 사대부들이었지만, 그 원동력은 미친 폭정을 청산하고 바른 정치를 바라는 민심이었다.
반정에 직면해 그들은 무엇을 선택하고 어떻게 행동했을까? 이 책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폭군을 축출하고 새로운 시대를 연 중종반정을 서로 다른 관점을 교차하여 입체적으로 조명한다. 유배길에 오른 문인에서 중종반정의 주역들, 반정의 소용돌이 속에서 운명이 뒤바뀐 여인들, 아버지가 이룩한 성리학적 통치 체제를 무너뜨린 연산군, 그리고 백성이 바라보았을 반정의 얼굴을 새롭게 복원한다.
연산군은 아랫사람이 간언하는 것을 극도로 혐오했다. 신하가 바른말이라며 임금에게 쓴소리하는 것을 죽여 마땅한 죄악으로 보았다. 입을 틀어막기 위해 상상을 초월하는 사화를 일으켰다. 특히 1504년 갑자사화는 생모 폐비 윤씨의 죽음을 빌미 삼아 신하들을 마구잡이로 도륙한 참극이었다. 어머니를 내세워 사화를 일으켰지만 진정한 의도는 따로 있었다.
폭군은 위를 능멸하는 풍속을 고쳐 없애겠다고 선포했다. 임금을 업신여기는 죄를 엄히 다스리겠다는 것이다. 과거의 기록을 샅샅이 뒤져 왕에게 쓴소리한 대신과 바른말을 한 언관들을 모조리 잡아들이게 했다. 이 사화로 대소신료와 선비 240여 명이 화를 입었다. 조선에 지옥도가 펼쳐졌지만, 폭군은 태평성대를 노래했다.

지금, 우리는 왜 중종반정을 돌아보는가

연산은 12년간 재위하면서 무오사화와 갑자사화 등 두 차례 친위 쿠데타를 일으켰다. 직언하는 신하들을 용납하지 않았으며, 자기 뜻에 순종하지 않는 이들을 억누르고 봉쇄했다. 이를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 신권을 제압했지만, 독단과 폭정으로 이어진 시대는 반정으로 몰락했다.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은 “과거가 현재를 돌보고 죽은 사람이 산 사람을 살린다”고 했다. 우리는 과거를 통해 현재를 되짚고 미래를 내다본다. 과거와 현재, 미래는 서로에게 빛을 비추며 빛이 된다. 비극적인 역사는 결코 반복되어서는 안 되며, 그러기 위해 지난 시대를 직시하고 잊지 말아야 한다. 서로 다른 관점으로 중종반정을 들여다본 《반정의 얼굴》. 이 책은 지난 역사를 새롭게 복원하면서도 바른 정치란 무엇이며 누구를 위한 것이어야 하는지 되짚어 묻는다.




연산군은 광기에 사로잡혀 대소 신료와 만백성을 겁박했다. 그가 입버릇처럼 외던 말이‘ 능상지풍(凌上之風)’, 위를 능멸하는 풍습이었다. 그것을 ‘혁거(革去)’, 고쳐 없애는 것이야말로 지상과제라고 믿었다. 감히 신하가 임금을 업신여기는 못된 풍습을 엄히 다스려 뿌리뽑겠다는 것이다. 이는 선전포고였다. 임금에게 무조건 복종하라는 것이었다. 토를 달면 죽여버리겠다는 것이었다.
본보기로 신하들이 간언한 기록을 샅샅이 뒤져 지난날 왕에게 바른말이나 쓴소리한 자들을 추렸다. 날이면 날마다 처참한 국문이 이어졌다. 주리를 틀고, 인두로 지지고, 압슬을 가하며 능상의 경위를 추궁했다.

=변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왕은 불만 세력을 선제적으로 색출했다. 1504년에 어머니 폐비 윤씨 사사를 빌미로 처형한 대신들이 떠올랐다. 죄인과 직계가족은 다 죽였지만 친인척들이 꺼림칙했다. 혈족과 처족을 마구 잡아들여 죽을 때까지 고문했다. 바른말을 하다가 멀리 귀양 간 관리들은 감찰관을 파견해 닦달하고 의심스러우면 처형했다.
인심은 묘한 것이다. 폭군이 잔인무도하게 나올수록 모반의 기운은 더욱 무르익었다. 절대권력을 휘두르는 무시무시한 왕인 줄 알았는데 가만 보니 정변이 일어날까 두려워 광기에 휩싸인 나약한 군주였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권경률
작가·칼럼니스트. 서강대학교에서 역사학을 공부했다. 《가요로 읽는 한국사》(2025), 《사랑은 어떻게 역사를 움직이는가》(2023), 《모함의 나라》(2022), 《시작은 모두 사랑이었다》(2019), 《조선을 새롭게 하라》(2017), 《조선을 만든 위험한 말들》(2015), 《드라마 읽어주는 남자》(2011)를 썼다. 《월간중앙》에 〈사랑으로 재해석한 한국사〉(2020~2022)에 이어 현재 〈노래하는 한국사〉(2022~)를 매달 연재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정책자문위원과 경기게임문화센터 워킹그룹 전문가로 활동했으며, 고용보험 적용 e-러닝 ‘불패의 전략, 명량·한산·노량 그리고 이순신’ 등을 강의했다. 인생의 정답이 아니라 좋은 질문을 구하기 위해 역사를 읽고 생각하고 쓰고 있으며, 페이스북과 유튜브에 ‘역사채널 권경률’을 열어 독자들과 소통하고 있다.

  목차

들어가는 글

1_운수 좋은 날
폭풍은 다시 몰려오고
누군가에게는 지난 꿈이지만
하루라도 늦출 수 있다면
새재로 가는 길
바람은 더 가까이 오고 있다
그래도 살아야 할 날들이라면
낡은 하늘은 무너지고

2_삼대장
거사의 순간
누가 어떻게 나설 것인가
뒤집어 바로잡아야 할
시간은 누구의 편인가
1506년 9월 1일

3_집으로 가는 길
말 머리가 향하는 곳
조강지처를 어찌 내치는가
아무도 찾지 않는 밤
어린 아이를 어찌 두고
살아내고 살아내야 할
칼춤은 멈추지 않고

4_폭정의 두 얼굴
그가 꿈꾸는 나라
아버지와 아들
뱃놀이는 바람에 멈추고
어찌하여 제 어미를 죽였습니까
왜 여태 참고 사는가
이처럼 무거운 국새
교동으로 떠나는 배

5_의적과 선비
광대패 두령
임금이 임금의 도를 잃으면
길이 끝나는 곳에서 길은
답할 수 없는 답
나라가 나라답지 못하면
다시 돛을 올리고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