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韓國獨立運動與中國關係』 [석원화(石源華), 民族出版社, 2009]의 제2편과 제8편을 저자와의 협의 하에 새롭게 편집 보충하여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출판사 리뷰
본 역서는 『韓國獨立運動與中國關係』 [석원화(石源華), 民族出版社, 2009]의 제2편과 제8편을 저자와의 협의 하에 새롭게 편집 보충하여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한국 독립운동, 러시아 혁명, 중국 혁명은 20세기 극동의 3대혁명운동으로 불린다. 1910년 일본이 한국을 병탄한 후, 수십만 한국의 열사들이 중국으로 망명했고, 그들은 중국 관내와 동북 지역에서 활발하게 독립운동을 일으켰다. 중국 여야는 한국인들의 항일 투쟁에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을 하고 그 지원에는 정신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 정부와 민간에서 지원하는 것, 여당과 야당이 지원하는 것, 공개적인 것과 비공개적인 것 등이 포함되어 있다. 한·중 양국의 국민들이 친밀하게 협력하고 같이 맞서 싸우며, 일본 제국주의의 동아시아 침략을 반대하는 역사의 한 페이지를 함께 써내려갔다. 이것은 근대 중국사와 한국사, 그리고 한·중 관계사에 중요한 일부분이 되었으며, 이로써 중국도 한국 독립운동의 중심과 주요 활동 기지가 되었다.
이 연구는 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학술진흥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국가보훈처, 한민족운동사연구회, 한국독립운동기념관, 한국국회도서관 등의 지원과 도움을 받았다. 동시에 나는 중국 조선사 연구회 부회장, 중국 사회과학원 조선반도 연구센터의 겸임 연구원, 북평대학 한반도 연구센터의 겸임 연구원, 교육부 사회과학 기지인 연변대학 한국 연구센터 학술위원 등, 한국 독립운동역사 연구에 대한 국내외 학술 교류 활동에 참여하고 추진해 왔다.
20년간, 개인의 연구 흥미 또는 기타 원인과 수요들로, 한국 독립운동에 대한 연구 논문 몇 편을 작성했다. 이 책은 바로 그 논문들의 정수를 모아놓은 결과물이다. 이 책이 보여주는 역사적 진실과 두 민족 간의 진정한 우정이 한.중 양국의 젊은이들에게 교육과 선도적 역할을 함으로써 한·중 민간 관계의 개선과 친밀함을 도모하고, 또한 학자들이 이 책의 결함에 대해 조언을 아끼지 않기를 바란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석원화
중국 복단대학(復旦大學) 석좌교수 전 중국 복단대학 한국연구센터(復旦大學韓國究中心) 주임 및 박사지도 교수 전 한국고등교육재단 및 연변대학 “학술상” 수상자 주요 연구 논저『한국 독립운동과 중국』『근대 중국과 주변외교 사론』『한국 반일독립운동 사론』『한중문화협회연구』『한국독립운동 및 중국관계』『냉전이후의 한반도문제』『대한민국 임시정부 주화대표단 연구』『동아한문화권과 중국관계』『근대중국주변외교사론』
목차
일러두기
서문
제1편 한국임시정부와 한국광복군
제1장 한국임시정부의 논술
제1절 임시정부의 창립과 통일
제2절 임시정부의 정치체제
제3절 임시정부의 외교활동
제4절 임시정부의 군사투쟁
제5절 임시정부의 반일광복선전
제6절 임시정부와 독립운동 각 당파와의 관계
제7절 임시정부와 국내 국민의 연락
제8절 임시정부의 귀국과 잔무
제2장 한국광복군의 전투 역사
제1절 한국광복군의 창설
제2절 한국광복군 편성의 우여곡절
제3절 조선의용대의 합병·편성
제4절 중국 항일전선에서의 격전
제5절 인도·미얀마 전쟁지역 공작대를 파견하다
제6절 9조 행동기준 교섭 갈등
제7절 한미공조 OSS 훈련
제8절 광복군의 잔무와 귀국
제2편 한국독립운동 사료史料의 정리와 연구
제1장 백 년간의 한국독립운동 중문 논저와 논평
제1절 청나라 말기부터 중화민국 초기까지의 중문 논저
제2절 3·1운동부터 만주사변까지의 중문 논저
제3절 만주사변부터 중일전쟁 발발까지의 중문 논저
제4절 중일전쟁 기간 중 중문 논저
제5절 중일전쟁 승리부터 개혁개방 전야까지의 중문 논저
제6절 20세기 마지막 20년 기간의 중문 논저
제2장 상해 지역의 한국독립운동 사료 논평
제1절 상해와 한국독립운동의 관계
제2절 상해기록보관소 소장 관련 기록물 요약
제3절 상해 매체 관련 자료 요약
제4절 상해 관련 문헌자료 요약
제3장 『신보申報』 중 한국독립운동 및 한중관계 보도에 대한 논평
제1절 한일합병과 한국인의 항일운동의 시작
제2절 3·1운동의 폭발과 한국임시정부의 설립
제3절 훈춘琿春 사건과 중일 교섭
제4절 한국 내 ‘투쟁’의 두 차례 발생과 중국 민중의 지지
제5절 만주사변과 한·중 연합항일
제6절 홍구虹口 폭탄 사건과 한국독립당 인사들의 암살 활동
제7절 노구교사변盧溝橋事變과 한국인의 중국 중일전쟁 투신
제8절 중일전쟁의 승리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귀국
제9절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와 한국인의 신탁통치 반대
제10절 이승만의 미, 중 방문과 중국의 대한정책
제11절 미·소위원회 재개와 한반도 통일정부 구성 실패
제12절 유엔의 한반도 결의안 채택과 한반도 분할 통치의 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