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20세기 독일 판타지 문학의 거장, 미하엘 엔데의 작품을 그림책으로 엮었다. 주인공 '짐 크노프'가 햇빛섬에 어떻게 오게 되었으며, 어떤 사연으로 모험을 떠나게 되었는지, 연필 스케치로만 이루어진 원작을 바탕으로 파스텔의 느낌을 살려 채색한 그림은 햇빛섬이라는 평화로운 공간과 사람들의 따뜻한 마음씨를 잘 표현했다.
또한, 이름만큼이나 독특한 인물들도 귀여운 그림으로 생생하게 살려냈다. 책 끝에는 등장인물 소개와 이름에 얽힌 재미난 이야기를 담은 '햇빛섬에는 누가누가 살고 있을까요'를 덧붙여 흥미를 더했다. 수수께끼 같은 짐 크노프의 등장이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작품이다.
출판사 리뷰
"세상에 아기를 상자에 넣어 보내다니!"
햇빛섬 사람들이 화가 났어요.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요?
환상의 나라 햇빛섬에서 짐 크노프의 모험이 시작됩니다.
환상과 모험으로 가득한 미하엘 엔데의 세계
20세기 독일 판타지 문학의 거장이자 <모모> 열풍의 주인공인 미하엘 엔데의 작품이 그림책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그의 작품은 세대를 초월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랑받고 있으며, 특유의 신비하고 환상적인 상상력을 바탕으로 현실을 깊이 있게 성찰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짐 크노프와 기관사 루카스의 흥미진진한 모험담을 그린 데뷔작 <짐 크노프와 기관사 루카스>는 대중의 인기를 얻었을 뿐만 아니라, 독일아동문학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고, 미하엘 엔데의 이름을 전 세계에 알렸습니다.
<짐 크노프는 어떻게 햇빛섬에 왔을까> <모험을 떠나는 짐 크노프>는 <짐 크노프와 기관사 루카스>를 그림책으로 엮은 것으로 짐 크노프가 햇빛섬에 어떻게 오게 되었으며, 어떤 사연으로 모험을 떠나게 되었는지 담았습니다. 연필 스케치로만 이루어진 원작을 바탕으로 파스텔의 느낌을 살려 채색한 그림은 햇빛섬이라는 평화로운 공간과 사람들의 따뜻한 마음씨를 잘 표현했고, 이름만큼이나 독특한 인물들도 귀여운 그림으로 생생하게 살려냈습니다. 책 끝에는 등장인물 소개와 이름에 얽힌 재미난 이야기를 담은 ‘햇빛섬에는 누가누가 살고 있을까요’를 덧붙여 흥미를 더했습니다.
햇빛섬으로 배달된 세상에서 제일 멋진 선물! - <짐 크노프는 어떻게 햇빛섬에 왔을까>
평화로운 나라 햇빛섬에는 재미난 이름의 사람들이 살고 있습니다. 가는귀가 먹은 조상이 늘 뭐요 하고 되물었다고 해서 대대로 이름이 된 뭐요 아줌마와 12시 15분 전에 태어난 알폰스 12시 15분 전 왕, 그리고 옷소매 아저씨가 있습니다. 힘세고 멋진 기관사 루카스 아저씨와 기관차 엠마도 빠뜨릴 수 없지요. 어느 날, 햇빛섬으로 소포 하나가 배달되었고, 조용하던 햇빛섬은 소포의 주인을 찾느라 발칵 뒤집힙니다. 결국 주인을 찾지 못한 사람들은 모두 모여 소포를 열게 됩니다.
<짐 크노프는 어떻게 햇빛섬에 왔을까>는 햇빛섬 사람들과 짐 크노프의 첫 만남을 그렸습니다. 수수께끼 같은 짐 크노프의 등장이 호기심을 불러일으킬 뿐만 아니라 갑자기 나타난 아이 짐 크노프를 사랑으로 받아들이고 보살펴주는 햇빛섬 사람들의 따뜻한 마음을 느낄 수 있습니다.
짐도 뭐요 아줌마를 사랑했습니다. 아줌마가 짐을 사랑하는 것처럼요.
그래도 짐은 자기를 상자에 넣어 햇빛섬으로 보낸 사람이 누군지 알고 싶었어요.
자기가 어디서 왔는지, 진짜 엄마는 누군지도요.
루카스 아저씨는 꼬마 친구 짐의 어깨에 팔을 두르고 말했습니다.
"나중에 우리 둘이서 알아낼 수 있을 거다, 짐!
하지만 우리는 엠마를 타고 소풍을 떠나는 게 어떠냐?"
"예, 좋아요!"
짐이 말했습니다.
엠마도 즐거운지 삑삑 휘파람을 불었습니다.
- 본문 중에서
작가 소개
저자 : 미하엘 엔데
1929년 남부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초현실주의 화가인 에드가 엔데와 역시 화가인 루이제 바르톨로메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가 나치 정부로부터 예술 활동 금지 처분을 받아 가족 모두가 어려움을 겪었지만, 부모의 예술가적 기질은 엔데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글, 그림, 연극 활동 등 다양한 영역을 넘나드는 엔데의 예술가적 재능은 그림뿐만 아니라 철학, 종교학, 연금술, 신화에도 두루 정통했던 아버지의 영향이 특히 컸다. 이차 세계 대전 즈음, 발도르프 학교에서 수학하다 아버지에게 징집 영장이 발부되자 학업을 그만두고 가족과 함께 나치의 눈을 피해 도망했다. 전후 뮌헨의 오토 팔켄베르크 드라마 학교에서 잠깐 공부를 더 하고서는 곧바로 진짜 인생이 있는 세상 속으로 뛰어들어, 연극배우, 연극 평론가, 연극 기획자로 활동했다. 1960년에 첫 작품 『기관차 대여행 Jim Knopf und Lukas der Lokomotivefhrer』을 출간하고 “독일 청소년 문학상”을 수상함으로써 본격적으로 작가의 길을 걷게 된다. 1970년엔 『모모 Momo』를, 1979년엔 『끝없는 이야기 Der unendliche Geschichte』를 출간함으로써, 세계 문학계와 청소년들 사이에서 엔데라는 이름을 확실히 각인시킨다. 엔데는 이 두 소설에서 인간과 생태 파국을 초래하는 현대 문명 사회의 숙명적인 허점을 비판하고, 우리 마음속에 소중히 살아 있는 세계, 기적과 신비와 온기로 가득 찬 또 하나의 세계로 데려간다. 1995년, 예순다섯에 위암으로 눈을 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