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리뷰
2011년 볼로냐 라가치상 수상에 빛나는, 강경수
그가 우리에게 던지는 행복에 대한 묵직한 화두
“매일 바쁘게 사는 우리, 지금 행복한가요?” 거대하고 복잡한 기계의 열쇠 구멍 같은 표지. 그 표지를 넘기면 누군가 세상에서 제일 바쁜 마을로 들어갑니다. 그러고는 천천히 걷습니다. 하지만 지금 하는 일에만 몰두하고 있는 ‘세상에서 제일 바쁜 마을’ 사람들에게는 엄청난 충격입니다. 자기들과 전혀 다른, 심지어 괴물로 보일 만큼 상상조차 할 수 없는 그 행동
- 그. 냥. 걷. 기. -
오늘 안에 꼭 집을 지어야 하는 건축가도 노래 연습 하던 가수도 수업을 하던 교수, 도둑을 잡던 경찰까지 괴물 때문에 깜짝 놀라서 하던 일을 그르치자 모두 화가 나서 괴물을 쫓아갑니다.
사람들을 화나게 하고, 급기야 분노와 따가운 시선으로 궁지에 몰린 괴물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그리고, 그 작은 괴물로 인해 세상에서 제일 바쁜 마을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이 작품은 강경수 작가의 (2007년)초기 작품이지만, 지금까지 간직하고 있는 세상에 대한 호기심, 삶에 대한 관점을 고스란히 담고 있습니다.
괴물은, 지금 이 시대를 사는 우리 모두에게 ‘행복’에 대한 화두를 던집니다. “매일 바쁘게 사는 우리, 지금 행복한가요?”라고.
* ‘쉼’ 한 땀 한 땀, 다양한 상상과 상징이 작품에는 작가의 다양한 상상력과 상징들이 곳곳에 녹아 있습니다. 천천히 걷는 괴물도, 쉼 없이 바쁘게 일하는 사람들에게 균열이 일어나는 상황도 천천히 한 땀 한 땀 바느질로 연출했습니다. 글의 내용과 그림의 표현 기법을 연계시켜 극도의 효과와 대비를 함께 이룬 셈입니다.
표지의 배경은 그저 늘 바쁘게 사는 복잡한 우리 사회의 상징적 표현이며, 마치 열쇠 구멍 같은 괴물의 그림자는 지금 우리 모습을 제대로 들여다 볼, 또 구해 낼 'key'의 상징입니다.
그림책에서 유일하게 텍스트가 없는 장면은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에서 보이는 ‘유인과 맹목적 쫓음’을 연상시킵니다. 비록 화가 났지만 괴물을 쫓아감으로써 ‘세상에서 제일 바쁜 마을’ 사람들이 바쁜 일상을 벗어나는 결정적인 장면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 이 책은 국내에서 보기 드문 ‘스팀펑크’ 스타일의 그림책으로, 바쁜 세상을 복잡한 기계 부속, 증기, 태엽 등으로 표현한 것도 눈에 띕니다.
* 행복은 이루는 것이 아니라 찾는 것몇 달, 또는 몇 년을 관통하는 화두가 있습니다. 진정성, 정의, 힐링, 느림 등이 그렇고요. 그런데 그런 화두가 등장하는 시기는 공교롭게 그러한 것들이 없기에, 필요해서 갈망할 때 나타납니다. ‘행복’은 어떤가요? 시대와 세기를 넘어 인류사의 화두겠지요. 2013년, OECD 36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행복지수 결과, 우리나라는 27위에 그쳤습니다.
우리는 모두 압니다. 큰 집, 많은 액수의 통장 잔고, 비싼 차, 명성 등이 우리에게 결코 행복을 줄 수 없다는 것을. 그렇다면 행복은 모두 갈망하지만, 얻을 수 없는 신기루 같은 것일까요?
그럼, 이제 찾아보세요! 어릴 적 꿈을 생각하면서 찰나의 행복을, 계절의 변화를 느끼는 일상의 행복을, 가족과 함께 밥을 먹는 무한한 행복을 말입니다.
우리 아이들도 어른들이 어릴 때 누렸던 즐거웠던 추억 속의 행복을 지금 찾을 수 있게, 우리 어른도 지금보다 여유 있게 살며 행복을 찾아보세요. 너무 급하게 뛰지 말고, 그.냥.걷.기. 하면서 지금보다 조금만 더 행복하게 말입니다.
누리교육과정(만 5세)* 신체운동.건강: 건강하게 생활하기 → 건강한 일상생활 하기
* 의사소통: 말하기 → 느낌, 생각, 경험 말하기 / 읽기 → 읽기에 흥미 가지기
* 사회관계: 나와 다른 사람의 감정 알고 조절하기 → 나와 다른 사람의 감정 알고 표현하기
사회에 관심 갖기 → 우리 동네에 대해 알아본다. / 다양한 직업에 관심을 갖는다.
* 예술경험: 아름다움 찾아보기 → 미술적 요소 탐색하기
[미디어 소개]
한겨레 2014년 11월 21일자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665490.html
서울신문 2014년 11월 15일자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41115017012
세계일보 2014년 11월 22일자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4/11/21/20141121003116.html?OutUr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