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페이융
南京예술대학 교수, 박사생 지도교수. 중국 미술사 및 불교예술 연구에 줄곧 매진하고 있다. 중국사회과학기금 예술학프로젝트 심사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다. 2019년에는 중국 교육부로부터 ‘장강학자 장려계획’ 특별 전문교수로 선정되었다. 관련 저술로는 『중국 불교예술의 불의 양식 연구』, 『한당 불교조상 예술사』 등이 있고, 『돈황연구』, 『고궁박물원원간』 등 전문 학술지에 40여 편의 논문이 게재되어 있다.
지은이 : 김세영
용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에서 석사, 용인대학교 대학원 문화재보존학과(불교미술사)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송광사성보박물관 학예연구원과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연구원을 거쳐 현재 용인대학교박물관 학예연구사로 재직하고 있다. 용인대학교 강사와 불교미술사학회 편집위원을 겸하고 있으며, 논저로 「順天 松廣寺 佛祖殿 佛像과 浮休門中의 思想」(『미술자료』 92, 2017), 「朝鮮 後期 華嚴 佛事의 地域的 流行과 僧侶門中 交流: 송광사 화엄전 불사 중심으로」(『美術史學』 40, 2020) 등이 있다.
서문
역자 서문
일러두기
머리말
제1장 삼국·서진 불교조상의 특징과 일본으로의 전파
1. 남방 장강 유역에 처음 전래된 불교조상
2. 삼국·서진의 불교조상과 일본으로의 전파
제2장 동진 불교조상의 특징과 한반도로의 전파
1. 현존하는 동진의 불교조상
2. 동진 불교조상의 시대적 특징
3. ‘대규·대옹 부자의 불상 형식’ 출현
4. 고개지 회화에 보이는 불교 주제
5. 「죽림칠현과 영계기」에 나타난 ‘수하인물’ 형식의 기원
6. 여성화된 중국 보살상의 출현
7. 중국에서 한반도로 전파된 불교 관련 문헌 기록
8. 고구려와 백제에 전래된 불교조상에 대한 초보적 인식
제3장 남경 서하산棲霞山석굴 남조 불상에 대한 새로운 견해
1. 서하산 「강총잔비江總殘碑」의 발견
2. 서하산석굴과 유송 시기의 감상(석굴)의 존재 여부 문제
3. 서하산 쌍불굴(하019굴) 불상의 내용과 조성 시기 문제
4. 서하산 무량전(하020굴) 대불의 조성자
5. 남제 경릉왕 조성 미륵입상과 서하사의 현존 불두와의 관련성 문제
6. 서하 1호 불상과 서하 삼불굴(하024굴) 법의의 양식 문제
제4장 남경 덕기광장에서 새로 발견된 남조 금동불상과 그 원류
1. 남경 덕기광장에서 발굴된 남조 불교조상
2. 남경박물원 소장 남조 금동불상 2존
3. 덕기 출토 불교조상의 조성 시기의 초보적인 고증
4. 덕기 출토 남조 금동불상의 특징과 그 원류
제5장 ‘건강建康 양식’의 형성과 해동에 미친 영향
1. ‘건강 양식’의 형성 및 불상 양식의 특징
2. 건강 불교조상의 내용
3. 남조 능묘의 ‘벽돌 모자이크화’의 출현
4. 육조 도성의 건축재료(와당) 속의 불교적 요소
5. 건강·성도·청주·맥적산을 연결하는 ‘남방식 불교장엄조상 루트’
제6장 성도 지역의 남조 불상 및 그 원류
1. 성도 지역 남조 불교존상의 석각부조 경변 도상
2. 법의 양식의 변화
3. 성도 지역 ‘포의박대식’ 법의의 연원
4. 조상 주제와 불상 모습의 변화
5. 남조 불교조상에 표현된 박산로와 쌍사자
6. 조상 구성 형식의 변화
7. 보살의 영락, 보관, 지물의 변화
제7장 한반도 삼국시대 불교조상에 보이는 남조의 영향
1. 한반도 삼국시대 불교조상의 일본 전파
2. 중국 전래 가능성이 있는 한반도 불상 몇 존
3. 한반도 삼국시대와 중국 남조 불교조상의 밀접한 관련성
4. ‘남방식 불교장엄조상 루트’의 해동 지역으로의 전파
5. 한반도 삼국시대 불상 양식의 지역성
제8장 일본 아스카, 하쿠호 불교 조각에서의 남조, 한반도의 영향
1. 아스카, 하쿠호 시대의 불입상
2. 아스카, 하쿠호 시대의 가부좌한 불좌상
3. 구 야마다데라 불두와 ‘야마다덴노조’명 아미타삼존상의 약간의 문제
4. 불상의 ‘좌단식’ 내의의 착의법
5. 호류지 다치바나 부인 불감 주자 주존 불의 양식
6. 아스카, 하쿠호 시대 보살입상
7. 아스카, 하쿠호 시대의 반가사유상 및 원류 고찰
8. 아스카, 하쿠호 시대 불교회화의 원류
제9장 육조 불교조상의 해동 전파 경로 분석
1. 육조와 한반도 및 일본의 왕래와 관련된 문헌 기록
2. 중·일 해상 항로
3. 중국과 한반도 삼국의 교통
4. 불교조상이 한반도를 거쳐 일본으로 전달된 경로
맺음말
후기
참고문헌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