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소설
총명쇄록 이미지

총명쇄록
학자원 | 부모님 | 2025.08.25
  • 판매가
  • 20,000원
  • S포인트
  • 1,000P (5% 적립)
  • 상세정보
  • 15.2x22.3 | 0.381Kg | 272p
  • ISBN
  • 9791162473719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총명쇄록』은 조선 후기 남인 시단을 대표하는 문인이자 학자인 국포 강박의 필기류 저술이다. 총명(聰明)은 보고 들은 것을 오래 기억하는 힘을 말하며, 쇄록(瑣錄)은 자잘한 이야기라는 뜻의 단편적 구성을 말한다. 국포 강박이 과거의 견문이나 현재의 자신이 경험하여 보고 들은 흥미로운 이야기를 자유롭고 진솔하게 풀어낸 110화의 이야기 모음집은 지금을 사는 우리에게도 교훈과 지혜를 준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강박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자순(子淳), 호는 국포(菊圃)저서 『국포집(菊圃集)』 12권 6책

  목차

서설 5
제001화 근세 영남의 기이한 일들 31
제002화 경기도 부평과 충청도 청주에서 암수가 바뀐 이야기 34
제003화 송나라 이항(李沆)과 미수 허목이 법제를 바꾸지 않은 일 37
제004화 허적(許積)과 하대해(河大海)의 일화 41
제005화 서정연(徐挺然)의 일화 44
제006화 이이(李珥)의 일화 47
제007화 허엽(許曄)과 유희춘(柳希春)의 요령(要領)에 대한 이견 49
제008화 진린(陳璘)과 이순신의 공을 빼앗은 만세덕(萬歲德) 51
제009화 김우추(金遇秋) 여종의 충심 52
제010화 현풍(玄風) 부부의 이혼 54
제011화 호남의 광대와 무당인 그의 아내 56
제012화 임진왜란의 조짐을 느낀 새들의 선견지명 58
제013화 이순신을 위한 정탁(鄭琢)의 차문 59
제014화 효녀 막덕(莫德)과 김효원(金孝元)의 제문 61
제015화 재상 이준경(李浚慶)과 오상(吳祥)의 이야기 63
제016화 연산군이 농암 이현보의 이름을 잊은 이야기 65
제017화 김생(金生)의 백월서운탑비(白月棲雲塔碑) 67
제018화 고성(固城) 천민 제말(諸末)의 일화 69
제019화 중국과 우리나라의 어음(語音) 비교 70
제020화 청백리 공서린(孔瑞麟)의 검소한 묘지 71
제021화 자매끼리 합장한 예 72
제022화 정지상(鄭知常)의 악제(樂制)에 대한 의론 74
제023화 묘호(廟號)와 시호(諡號)에 대한 의론 75
제024화 소인(小人)과 신(臣)의 칭호 77
제025화 양촌 권근의 신의왕후비(神懿王后碑)로 본 훈호(勳號) 78
제026화 공복(公服), 상복(常服)과 편복(便服) 80
제027화 허후(許厚)와 독교(獨轎), 쌍교(雙轎) 81
제028화 인조 때의 생친과 추은(推恩) 83
제029화 연사(燕使, 중국사신)가 된 무신 84
제030화 연필(延筆), 홍소(洪梳), 박소(朴梳) 85
제031화 장릉(長陵)의 개릉과 부품 86
제032화 안동부의 호적장부 88
제033화 인왕산(仁王山)과 필운산(弼雲山) 89
제034화 삼척포(三陟浦)와 월송포(越松浦) 90
제035화 이원익(李元翼)의 경계의 말 91
제036화 김시진(金始振)이 전해준 김자점(金自點) 이야기 92
제037화 창강(滄江) 조속(趙涑)과 탁단(籜團) 94
제038화 동명(東溟) 정두경(鄭斗卿)의 명언 95
제039화 환비봉(換秘封)과 박필위(朴弼渭)의 아내의 지혜 96
제040화 창의동(彰義洞)에 사는 조덕건(曺德健)의 지혜 98
제041화 한음 이덕형과 백사 이항복의 식견 100
제042화 정응태(丁應泰)의 무고사건 102
제043화 학곡(鶴谷) 홍서봉(洪瑞鳳)의 공과 사의 구분 104
제044화 퇴계 선생 집 회나무의 조짐 106
제045화 정인홍의 비방과 이항복의 상소 107
제046화 조선의 무장들-김종서, 윤필상, 권율, 이순신, 곽재우, 홍계남 108
제047화 석주(石洲) 권필(權鞸)이 경복궁을 지나며 지은 시 109
제048화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의 뛰어난 강론과 너그러움 111
제049화 이원익과 승지공 강서(姜緖)의 우정 113
제050화 공안(貢案)과 대동법의 시행 114
제051화 국도(國都)와 한양부(漢陽府) 116
제052화 안현의 승리를 이끈 김시양(金時讓)의 지혜 117
제053화 윤두수(尹斗壽)의 처신 119
제054화 정숙옹주의 일화 121
제055화 노협(盧協)의 친척 박진귀(朴震龜)의 선견지명 122
제056화 계축년 옥사와 한음(漢陰)과 백사(白沙)의 의로운 죽음 124
제057화 구봉서(具鳳瑞)와 원한 갚은 여인의 시 126
제058화 청나라의 섭정구왕(攝政九王) 129
제059화 연양(延陽) 이시백(李時白)과 연성(延城) 이시방(李時昉) 131
제060화 제호(鵜鶘)는 제호(弟胡)라는 새의 징조 132
제061화 남포(藍浦)의 화초석(花草石)과 파주, 문경의 기이한 돌 133
제062화 오달제(吳達濟)가 어머니에게 보낸 시 134
제063화 허엽(許曄)을 위로한 심대부(沈大孚)의 시 135
제064화 선춘령의 신라 진흥왕 순수비 137
제065화 평양의 부산현(釜山峴)과 석장군(石將軍) 139
제066화 이해(李澥)와 정세규(鄭世䂓)의 치사(致仕) 140
제067화 인조의 호패법과 이원익(李元翼) 141
제068화 번당리의 서견(徐甄)과 봉천리의 강감찬(姜邯贊) 143
제069화 『십구사략(十九史略)』의 소주(小註)를 집성한 김수(金晬) 144
제070화 신덕왕후(神德王后)의 부묘(祔廟) 설치 145
제071화 정승 이원익(李元翼)의 지혜로운 처사 146
제072화 원숭환(袁崇煥) 이야기 147
제073화 황주(黃州) 정방산성(定方山城) 성불사(成佛寺)의 송진 149
제074화 칠보산의 무, 추자도의 배추, 대청도의 파 150
제075화 정언각(鄭彦愨)과 양재역 벽서사건 151
제076화 청풍군수 연봉(蓮峯) 이기설(李基卨)의 은거 152
제077화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소자(小字)는 용산(龍山) 154
제078화 광나루의 석체(石砌)와 노량의 석교(石橋)의 유래 155
제079화 황보인(皇甫仁)의 비석을 세운 권벌 156
제080화 휘종(徽宗)과 흠종(欽宗)의 무덤과 오국성(五國城) 158
제081화 송시열에게 역학을 물은 이홍업(李弘業) 159
제082화 임경업(林慶業)의 최후 161
제083화 구양수의 「독서법자항문답(讀書法字行問答)」 162
제084화 과거시험 봉미(封��)의 시작 164
제085화 박인량(朴寅亮)의 진정표(陳情表) 165
제086화 고려의 태학 양현고(養賢庫) 167
제087화 고려 의종 때 정함(鄭諴)의 일화 168
제088화 고려 의종 때 정서(鄭叙)의 정과정(鄭瓜亭) 170
제089화 최충헌(崔忠獻)과 한유한(韓惟漢) 172
제090화 우리나라 사람들이 흰색을 숭상하는 습속 174
제091화 충렬왕 때의 관복 제도 175
제092화 과거제도를 시행하고 후학을 장려한 쌍기(雙冀) 177
제093화 신라의 항복과 마의태자 178
제094화 이자현(李資玄)의 표문 179
제095화 삼각산 민지암(閔漬巖)의 유래 180
제096화 삼현서원(三賢書院)과 강감찬(姜邯贊) 182
제097화 승평부사 최석(崔碩)과 팔마비(八馬碑) 184
제098화 임진왜란 때 가선대부로 병조참의를 삼은 신점(申點) 186
제099화 내안렴(內按廉)이라 불린 민훤(閔萱) 187
제100화 주자를 사모하여 회헌(晦軒)이라 자호한 안향(安珦) 188
제101화 목은 이색의 상주문과 보허(普虛) 189
제102화 신돈(辛旽)과 공민왕 192
제103화 문익점의 목면과 정천익의 취자거(取子車)와 소사거(繅絲車) 194
제104화 신라 유리왕 때의 17품 관제 196
제105화 고구려 고국천왕의 부인 우씨(于氏)와 연우(延優) 197
제106화 백제의 16품 관제 개편 198
제107화 신라 유리왕 때 인관(印觀)과 서조(署調)의 일화 199
제108화 『동몽선습(童蒙先習)』을 쓴 박세무(朴世茂) 200
제109화 거북이를 타고 다닌 정지승(鄭之升) 201
제110화 안남국(安南國, 베트남) 사신 완장(阮莊, 응우옌 짱)의 시 202
총명쇄록 원문
참고문헌 265
찾아보기(인명색인) 268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