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손승철
1952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고, 성균관대 사학과를 거쳐 동 대학원에서 <조선시대 한일관계사>를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홋카이도[北海道]대학, 도쿄[東京]대학, 규슈[九州]대학에서 연구했다. 강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현재는 강원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한일관계사학회를 창립했고,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총간사, 동북아역사재단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한국이사부학회 회장과 한일문화교류기금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20년 넘게 대학생·교사·시민들과 함께 ‘조선통신사의 옛길’ ‘메이지 유신의 길’을 답사하고 있다. 『한일관계 2천년, 화해의 길목에서』, 『조선시대 한일관계사연구』, 『조선통신사의 길 위에서』, 『이사부 독도를 걷다』 외에 사료집 『한일관계사료집성』(전 32권), 『한일관계사 종합연표』를 냈다.
들어가며 메이지 유신을 걷다
연표 및 탐방지도
제1장 유신을 부른 시대: 메이지 전야의 일본
1. 페리는 왜 일본에 왔나?
2. 1850년대 일본 사회의 모습
3. 국제질서 속의 일본
4. 변화의 씨앗, 개혁사상가들
제2장 쇄국에서 개국으로: 혼란과 대립, 연대의 길
1. 나마무기 사건과 외세 충돌
2. 시모노세키 전쟁과 사쓰에이 전쟁
3. 조슈 파이브와 사쓰마 스튜던트
4. 막부파와 존황파의 대립과 충돌
5. 삿초동맹과 삿토동맹, 정치연대의 형성
6. 대정봉환과 왕정복고
7. 보신(戊辰)전쟁
제3장 근대국가의 수립과 개혁의 길
1. 체제 개편과 중앙집권, 신분제 개혁
2. 이와쿠라 사절단과 문명개화
3. 교육령과 국민교육의 시작
4. 징병제 도입과 군대 개편
5. 세이난 전쟁과 사무라이의 몰락
6. 식산흥업과 산업화의 길
7. 자유민권운동과 제국의회
제4장 유신의 철학: 메이지 이념과 국가 비전
1. 〈선중팔책〉
2. 〈5개조 서약문〉
3. 〈교육령〉과 〈교육칙어〉
4. 〈군인칙유〉
5. 〈대일본 제국헌법〉
제5장 유신의 정치적 리더들: 누가 역사를 어떻게 움직였나
1. 다카스키 신사쿠
2. 사카모토 료마
3. 기도 다카요시
4. 사이고 다카모리
5. 오쿠보 도시미치
6. 시마즈 나리아키라
7. 요코이 쇼난
8. 에노모토 다케아키
9. 후쿠자와 유키치
10. 토마스 블레이크 글로버
11. 이토 히로부미
부록
1. 유신의 길에서 만난 조선인들
2. 탐방 일정
3. 참고문헌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