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하늘에서 떨어지는 거대한 물체를 막기 위해 장군 로봇 붐이 출동한다. 물체의 정체는 거대한 우주쓰레기… 때마침 들려오는 우주정거장으로부터의 구조신호. 로봇 박사 테오는 우주형 장군 로봇을 만들었다. 우주왕복선을 타고 우주형 장군 로봇과 함께 출동하는 테오는 이번에도 우주정거장을 위기에서 구해낼 수 있을까?
출판사 리뷰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우수출판 콘텐츠 선정작 <로봇박사 테오> 시리즈의 10탄! <우주정거장을 지켜라!>는 우주 환경에 견딜 수 있도록 특별히 제작된 우주형 장군 로봇과 우주왕복선을 타고 우주로 함께 출동한 로봇 박사 테오의 활약을 그린 그림 동화책입니다. 우주 왕복선의 제작과 발사, 우주정거장과의 도킹, 지구로의 귀환을 세밀하게 묘사한 그림과 함께 우주 여행의 벅찬 감동을 느낌과 더불어, 우주쓰레기를 통해 우주 환경에 대해서도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해 주는 이야깃거리가 많은 동화책입니다.
출판사 서평<로봇박사 테오>는 아이들이 늘 꿈꿔온 박진감 넘치는 대형 로봇을 동화책으로 옮겨, 또래의 로봇 박사 테오와 로봇들이 전 세계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다양한 이야기를 그린 국내 순수 창작 그림 동화 시리즈입니다.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과학적 소재가 대형 로봇의 재미난 에피소드로 펼쳐집니다. 섬세하고 아름다운 그림은 아이와 함께 읽는 부모의 눈에도 즐거움을 주기에 충분합니다. 첫 책 <로봇박사 테오(2014)>는 2014년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주최하는 우수출판콘텐츠에 선정되었으며, 두번째 책 <장군로봇 탄생의 비밀(2015)>은 도서관저널의 추천도서로 선정되는 등 시리즈는 호평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아이들의 호기심은 작은 힌트를 통해 상상할 수 없는 창의력으로 발전합니다. 아이들의 호기심이 막연함으로만 머물게 되면, 알지 못 하는 사이 그저 사그러들게 됩니다. <로봇박사 테오> 시리즈는 대형 로봇으로 아이들의 관심만 끄는 그림 동화책이 아닙니다. 아이들이 가진 대형 로봇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을 통해 2편 <장군 로봇 탄생의 비밀>에서는 인체를, 3편 <달 청소 대작전>에서는 우주를, 4편 <화산이 폭발했다!>에서는 화산에 대한 이야기를, 5편 <인공지능 산타 로봇>에서는 4차 산업혁명으로 대변되는 첨단 기술들을, 6편 <잠수 로봇의 바다 탐험>에서는 신비로운 바닷속 이야기를, 7편 <우주 괴물의 지구 침공>은 비행기와 로켓의 원리를, 8편 <자율주행 경찰 로봇>은 자율주행 기술을, 9편 <31호 꿀벌 로봇의 특수 임무>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사라져가는 꿀벌을 이야기하며 자연과 과학에 대한 아이들의 호기심과 생각을 키워 줍니다.
드디어 민간인이 우주를 여행하는 우주시대가 열렸습니다.
우리나라도 나로호와 더불어 우주 개척을 위한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인류의 우주 개척은 우주쓰레기라는 또 하나의 무책임한 환경 파괴를 야기시키고 있습니다.
<우주정거장을 지켜라!>는 우주복, 우주왕복선, 우주정거장이라는 인류의 우주 역사에 매우 중요한 소재들을 아이들이 재미있게 접하게 하면서도 우주 환경에 대한 문제도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이야기를 풀어 갑니다.
<우주정거장을 지켜라!>는 아이들에게 우주를 향한 꿈과 지식의 씨앗을 심어줄 수 있는 책이 될 것입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김호남
어려서부터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여 취미를 이어오다가, 아들 아이가 좋아하는 로봇을 그리고, 잠자리에서 양 옆에 아이들을 끼고 들려주던 이야기를 엮어 <로봇박사 테오> 시리즈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삼일회계법인, 언스트앤영 컨설팅 및 소프트웨어회사 오라클 등 글로벌 컨설팅 회사에서 국내외 기업을 대상으로 한 회계 및 IT 컨설팅을 수행 중인 회사원이기도 한 그는, 로봇을 좋아하는 아이들에게 기쁨을 줄 수 있기를 꿈꾸며, 현재도 매일 밤 퇴근 후 조금씩 그림을 그립니다.저서로는 2014년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으로부터 우수출판콘텐츠로 선정된 <로봇박사 테오(2014)>, <장군로봇 탄생의 비밀(2015)>, <달 청소 대작전(2015)>, <화산이 폭발했다!(2016)>, <인공지능 산타 로봇(2016)>, <잠수 로봇의 바다 탐험(2018)>, <우주 괴물의 지구 침공(2019)>, <자율주행 경찰 로봇(2021)>, <31호 꿀벌 로봇의 특수 임무(2022)>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