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맹앤앵 그림책 17권. 목이 짧은 기린 ‘지피’의 이야기를 통해 왕따를 이야기를 빗대어 담고 있는 그림책이다. 자기와 다르다고 해서 틀린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하는 책으로, 모든 세상에 존재하는 것들의 소중함과 더불어 사는 방법을 일깨워 준다. “나와 좀 다르다고 틀린 건 아니”고 그래서 “미워해서는 안 된”다는 저자의 가르침이 감동적인 언어로 담겨 있다.
아프리카에서 가장 멋진 기린 미야가 새끼를 낳고, 초원의 모든 동물들은 기뻐한다. 그런데 새끼 기린은 목이 짧았고, 동물들의 기쁨은 탄식으로 바뀌었다. 지피는 엄마 미야의 정성어린 돌봄을 받고 무럭무럭 자랐지만 초원에서 따돌림을 받는다. 그러던 어느날 숲 속에 사냥꾼이 와서 숲 속 기린들을 잡아가기 시작하는데...
출판사 리뷰
▶ 목이 짧은 기린?
‘왕따’가 여전히 사회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왕따’란 ‘따돌림’의 속된 말입니다. 우리 사회의 왕따는 ‘집단 따돌림’이 되어 더욱 큰 사회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얼마 전에는 유명 아이돌 그룹 안에서의 왕따가 이슈가 되었습니다. 키가 작다, 뚱뚱하다, 피부색이 다르다, 공부를 못한다, 장애가 있다 등등 많은 것들이 왕따의 원인이 됩니다. 과연 이게 옳은 일일까요?
맹앤앵의 열일곱 번째 그림책 《목 짧은 기린 지피》는 우리 아이가 당하거나, 우리 아이가 할 수도 있는 왕따를 동물의 세계에 빗댄 이야기입니다. 목이 짧은 기린을 생각해 보신 적이 있나요? 이 그림책의 주인공은 바로 목이 짧은 기린 ‘지피’입니다.
아프리카에서 가장 멋진 기린 미야가 새끼를 낳았습니다. 초원의 모든 동물들이 기뻐했습니다. 그런데 새끼 기린은 목이 짧았습니다.
“이건 초원의 신, 아니 악마가 내린 저주야.”
“이 초원에서 목 짧은 기린은 살아남을 수가 없잖아.”
“높은 데 있는 풀은 어떻게 뜯어먹어?”
“멀리서 적이 오는 건 어떻게 보지?”
동물들의 기쁨은 탄식으로 바뀌었지요. 지피는 엄마 미야의 정성어린 돌봄을 받고 무럭무럭 자랐지만 초원에서 따돌림을 받았어요.
“너는 목이 짧아서 싫어. 저리 가!”
“우리 엄마가 너하곤 놀지 말래. 우리하곤 다르대.”
“너는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어.”
그런 지피를 볼 때마다 엄마 기린 미야의 마음은 너무 아팠어요. 하지만 미야는 지피를 믿어요.
“지피야. 네가 목이 짧은 건 사실이야. 하지만 초원의 신에게도 생각이 있을 거야. 네가 이렇게 태어난 데에는 반드시 이유가 있단다.”
그렇지요. 미야의 말대로 세상에 태어난 모든 것들은 다 나름의 역할과 이유가 있습니다. 아무리 작은 생물도 자기가 할 역할을 다하며 충실하게 삽니다. 하찮게 여기는 지렁이도 이 세상엔 꼭 필요한 존재이니까요.
맹앤앵 그림책 《목 짧은 기린 지피》는 자기와 다르다고 해서 틀린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하는 그림책입니다. 모든 세상에 존재하는 것들의 소중함과 더불어 사는 방법을 일깨워 주는 그림책입니다.
▶ 소중한 것들을 발견하는 눈
스티븐 호킹을 아시나요? 스물한 살 때부터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을 앓아 휠체어 생활을 하고 있지만 위대한 물리학자입니다. 그의 머릿속에서 우주의 비밀이 하나하나 벗겨지고 있습니다.
헬렌 켈러를 아시나요? 그녀는 보지 못하고 듣지 못하는 중복 장애인이었지만 훌륭한 작가이자 교육자로 살다 갔습니다. 헬렌 켈러는 사람에 대한 사랑으로 인종 차별 철폐와 노동자의 인권을 위해 싸운 운동가이기도 합니다.
로자 파크스를 아시나요? 1950년 대 미국에서는 백인과 흑인이 버스나 공원 벤치에 같이 앉을 수 없었습니다. 버스에도 흑인 칸과 백인 전용 칸이 따로 있었습니다. 흑인 전용 칸인 뒷좌석이 만석이 되어 백인 칸인 앞좌석에 앉은 로자 파크스는 흑인 칸으로 옮기라는 기사의 말을 듣지 않습니다. 결국 기사의 고발로 로자 파크스는 체포됩니다. 하지만 로자 파크스로 인해 흑백 차별 철폐 운동은 불같이 일어났고, 흑인의 인권과 자유를 찾기 위한 역사에 커다란 족적을 남깁니다.
스티븐 호킹, 헬렌 켈러, 로자 파크스는 우리와 다릅니다. 신체가 부자유스러운 스티븐 호킹, 듣지도 보지도 못한 헬렌 켈러, 피부색이 검은 로자 파크스, 이들은 모두 우리와 다른 작은 차이가 있지만 훌륭한 사람들입니다. 우리와 다르지만 각자 다른 장점을 활용해 많은 사람들을 위한 일을 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다르지만 틀린 사람이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우리 주변에서 나와 다른 사람을 찾아볼까요? 공부를 좀 못하는 아이, 엄마가 외국인이 아이, 소아마비를 앓아 다리가 불편한 아이, 키가 작은 아이, 말을 더듬는 아이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나와 다른 사람들이 존재합니다. 혹 나와 다르다고 구박하거나 따돌린 적은 없나요? 친구의 약점을 지적하며 놀린 적은 없나요?
그림책 《목 짧은 기린 지피》에는 “코없는 코끼리, 날씬한 하마, 부리 없는 새, 느림보 치타, 꼬리 없는 악어, 무늬 없는 얼룩말”과 목이 짧은 기린 지피가 다른 동물들과 함께 행복하게 살게 됩니다. 어떻게 된 일일까요?
숲 속에 사냥꾼이 와서 숲 속 기린들을 잡아가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기린들은 사냥꾼이 어떻게 동물들을 잡아가는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목이 짧은 지피가 사냥꾼을 발견하고 잡습니다. 모두가 목이 짧다고 놀리기만 한 지피의 짧은 목 때문에 숲에 평화가 왔습니다. 모든 동물들은 사냥꾼으로부터 위험에서 벗어나게 해 준 지피가 너무나 고맙습니다. 모두가 지피를 놀리고 따돌린 것을 후회하게 됩니다.
그리고 모두 깨닫게 됩니다. 지피가 비록 다른 기린들과는 다르지만 틀린 것이 아니라는 사실 말입니다. 지피의 다른 점― 짧은 목이 장점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도 알게 됩니다. 숲 속의 모든 동물들은 소중한 것을 바라보는 새로운 눈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림책 《목 짧은 기린 지피》를 읽으면 서로 어울려 사는 삶이 얼마나 행복한 것이지 알 수 있습니다. 친구의 못난 점을 들어 따돌리지 않는 고운 심성이 모두의 행복을 만든다는 사실도 알 수 있습니다.
▶ 고정욱 선생님
이 그림책을 쓰신 고정욱 선생님도 장애인입니다. 1급 지체 장애인으로 휠체어를 타지 않으면 움직일 수 없습니다. 학교를 다니면서 고정욱 선생님도 따가운 주위 시선 때문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할머님은 어린 고정욱 선생님을 볼 때마다 “시계 고치는 거나 도장 파는 일이라도 배워서 잘 살아야 할 텐데…….”라고 되뇌곤 하셨다고 합니다. 예전에는 장애인이 할 수 있는 일이 많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고정욱 선생님의 대표작인 《가방 들어주는 아이》를 읽어 보면 본인이 직접 느꼈을 마음이 잘 그려져 있습니다. 아마 이 작품에 등장하는 다리가 불편한 영택이는 바로 고정욱 작가이고, 영택이를 놀린 벌로 매일 가방을 들어주게 된 석우는 고정욱 작가의 오래된 친구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불편한 다리를 가진 고정욱 선생님은 남보다 글을 열심히 써서 유명한 작가가 되었습니다. 목이 짧은 지피가 “초원에는 말이야, 나같이 목 짧은 기린도 있다”고 자랑스럽게 외치듯 고정욱 선생님은 “나만큼 글을 잘 쓰는 사람 있으면 나와 보라”고 세상에 외친 것입니다.
그림책 《목 짧은 기린 지피》에는 고정욱 선생님의 마음이 들어 있습니다. “나와 좀 다르다고 틀린 건 아니”고 그래서 “미워해서는 안 된”다는 고정욱 선생님의 가르침이 감동적인 언어로 담겨 있습니다.
이 책의 그림은 감동적인 그림으로 글을 새롭게 해석해 주는 박재현 선생님이 맡아 주었습니다.
작가 소개
저자 : 고정욱
성균관대학교 국문과와 대학원을 졸업한 문학박사다. 어려서 소아마비를 앓아 1급 지체 장애인으로 휠체어를 타지 않으면 움직일 수 없지만, 장애인이 차별받지 않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또한 문화예술 분야 진흥에 이바지한 공을 인정받아 ‘2012년 제7회 대한민국 장애인문화예술상 대상’을 수상했다.[문화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이 당선되어 등단한 이후 저서 가운데 30권이나 인세 나눔을 실천해 ‘이달의 나눔인상’을 수상하기도 했으며, 240여 권의 저서를 400만 부 가까이 발매한 기록을 세우면서 우리나라 대표 작가로 우뚝섰다. <아주 특별한 우리 형>, <안내견 탄실이>가 그의 대표작이며 특히 <가방 들어주는 아이>는 MBC 느낌표의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에 선정되기도 했다.청소년을 위한 표현과 전달 시리즈 <고정욱의 글쓰기 수업>, <고정욱의 인문학 필사 수업>, <고정욱의 말하기 수업>을 출간했고 청소년 소설로는 <까칠한 재석이가 사라졌다>, <까칠한 재석이가 돌아왔다>, <까칠한 재석이가 열받았다>, <까칠한 재석이가 달라졌다>, <까칠한 재석이가 폭발했다>, <퍽>, <빅 보이> 등이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어린이, 청소년들의 자기계발과 리더십 향상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그는 독자들의 메일에 답장을 꼭 하는 거로 특히 유명하다.kjo123@cho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