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아주 사소한 것에서 시작되어 큰 사랑으로 퍼져나가는 평범한 사람의 평범한 효도 이야기. 저자가 큰 병을 앓고 있는 아버지와 어머니, 장모님, 세 분의 부모님을 모시면서 보고 듣고 느낀 것들을 솔직하게 전하고 있다.
저자는 '긴 병에 효자 없다'는 말이 자신에게는 해당하지 않을 줄 알았다고 말한다. 그러나 아버지의 병세가 나아질 줄 알았는데 또 다른 암이 발견된 상황 앞에서, 혼자서 용변을 처리하려다 대변으로 범벅이 된 어머니의 모습 앞에서 '어쩌다 우리 부모님이 이렇게 되었나'라는 한탄이 절로 나온다. 같은 내용을 백 번 묻는 장모님에게 백 번 같은 답을 하는 것도 쉽지 않다. 저자는 너무나 지쳐서 부모님께 화를 내고 부모님과 서로 감정이 상하게 되는 모습도 숨김없이 드러낸다.
하지만 저자는 자괴감에 빠져 있거나 포기하기보다는 아주 사소한 것부터 효도하기로 선택한다. 아버지를 목욕시켜 드릴 때 목욕물 온도가 너무 뜨겁거나 차갑지는 않은지 여쭤보는 것, 어머니를 씻겨드릴 때 어머니가 수치심을 느끼지 않게 하는 것, 화를 내는 척 장난을 쳐서 장모님을 놀라게 하지 않는 것. 저자에게 효도는 이렇게 사소한 존중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허심탄회한 대화, 따스한 가을 햇볕 아래서 즐기는 나들이, 화장대 서랍장 손잡이를 수리해 드리는 것. 이런 일상 속의 소소한 행복들을 부모님과 함께 나누는 것이 효도이고 부모님을 향한 사랑이다.
출판사 리뷰
아주 사소한 것에서 시작되어 큰 사랑으로 퍼져나가는
평범한 사람의 평범한 효도 이야기
세 종류의 암과 사투를 벌이는 아버지, 거동이 불편해 용변조차 혼자 볼 수 없는 어머니, 치매를 앓고 있어 딸을 ‘엄마’라고 부르는 장모님. 이 세 분에게 효도를 다한다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보통의 인내심을 가진 사람으로서는 불가능한 일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 일을 해내는 사람은 대단한 효자가 아닐까?
《다시 태어나도 제 부모님이 돼 주실 수 있나요?》는 저자가 큰 병을 앓고 있는 아버지와 어머니, 장모님, 세 분의 부모님을 모시면서 보고 듣고 느낀 것들을 솔직하게 전하고 있다. 저자는 ‘긴 병에 효자 없다’는 말이 자신에게는 해당하지 않을 줄 알았다고 말한다. 그러나 아버지의 병세가 나아질 줄 알았는데 또 다른 암이 발견된 상황 앞에서, 혼자서 용변을 처리하려다 대변으로 범벅이 된 어머니의 모습 앞에서 ‘어쩌다 우리 부모님이 이렇게 되었나’라는 한탄이 절로 나온다. 같은 내용을 백 번 묻는 장모님에게 백 번 같은 답을 하는 것도 쉽지 않다. 저자는 너무나 지쳐서 부모님께 화를 내고 부모님과 서로 감정이 상하게 되는 모습도 숨김없이 드러낸다.
하지만 저자는 자괴감에 빠져 있거나 포기하기보다는 아주 사소한 것부터 효도하기로 선택한다. 아버지를 목욕시켜 드릴 때 목욕물 온도가 너무 뜨겁거나 차갑지는 않은지 여쭤보는 것, 어머니를 씻겨드릴 때 어머니가 수치심을 느끼지 않게 하는 것, 화를 내는 척 장난을 쳐서 장모님을 놀라게 하지 않는 것. 저자에게 효도는 이렇게 사소한 존중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허심탄회한 대화, 따스한 가을 햇볕 아래서 즐기는 나들이, 화장대 서랍장 손잡이를 수리해 드리는 것. 이런 일상 속의 소소한 행복들을 부모님과 함께 나누는 것이 효도이고 부모님을 향한 사랑이다.
부모님을 향한 효도는 부모님의 사랑을 함께 받고 자란 형제들에 대한 우애, 아내와 아이들을 향한 이해와 사랑, 동료들과 나누는 이웃 사랑으로 이어진다. 부모님에게 받은 사랑을 다시 돌려드릴 뿐만 아니라, 내 곁에 있는 가족들, 이웃들, 동료들에게 전하는 마음 따뜻한 이야기들이 이어진다. 아주 사소한 것으로 시작된 효도는 이렇게 더 큰 사랑으로 퍼져나간다.
관심을 조금만 가지면 상대를 행복하게 해주는 게 어려운 일은 아닙니다.
투병 중이셨던 아버지의 관점에서 나누었던 대화는, 세상을 살아갈 저에게 여행 안내서가 되었습니다. 거동이 불편하신 어머니의 관점에서 물어본 이야기들은 내 마음을 더 많이 이해하는 것의 시작이 되었습니다. 치매가 있으셨던 장모님과의 지루했던 대화는 아직 가보지 않은 길의 가이드 맵이 되었습니다. 아주 작은 이야기일지라도 대화의 기억은 저에게 쌓여 온 유산이 되었습니다.
부모님이 편찮아지시면서 저는 매월 매번 새로운 경험을 사들이기 시작했습니다. 시간이라는 대가를 지불하고 구입했습니다. 그리고 그 경험을 모아가고 있으며 내 아이들에게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아주 구체적으로 배우고 있습니다. 버려야 할 것들이 늘어나고 있었습니다. 내 생각과 나의 관점을 버리기 시작했습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나누어야 할 시간과, 소소한 이야기와 내용으로 채워지고 있었습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박인만
7년간 암 투병하신 아버지, 16년간 모신 치매 걸린 장모님, 16년째 거동 힘드신 어머니를 돌본 4남매의 장남입니다. 61살이 되기까지 36년간 사회생활을 했습니다. 여덟 번 전직, 여섯 번 이직하며 치열하게 살아내 정년퇴임을 앞두고 있습니다. 전기전자공학, 지리정보공학, 사회복지를 전공했고 현대전자를 거쳐 포스코 ICT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목차
추천의 말
들어가는 말
1장 아버지를 이제야 잘 알게 된 마지막 7년
지켜드릴 타이밍을 놓쳐 죄송합니다
아버지, 안녕히 주무셨어요?
네 남매가 머리를 맞댄 날
목욕 여행
아버지는 3중 항암 치료, 어머니는 발목 수술
간절한 기도 말고 제가 뭘 할 수 있을까요
소풍 마치는 날 알게 되겠지요
그래도 살아주세요
나 잘 살았지?
떠나신 그날에
다시 아들이 되어 갚고 싶습니다
2장 어머니, 아직 풀지 못한 숙제
불편한 몸이 불편하신 어머니
어머니를 꼭 닮은 맏이
어머니 손 냄새
어머니와 우리의 6일
주고 또 주고 싶은 마음을 알아가기까지
어둠 속에서
어머니와 주고받은 편지
다만 다섯 시간이라도
어머니에게 쏟아버린 화
화해
다시 태어나도 제 부모님이 되어주실 건가요?
3장 사위를 아저씨라 부르는 장모님
아저씨는 장모님 사위죠
장모님의 금반지
우리 집에선 엄마가 엄마를 돌보네요
화장대 손잡이만으로도
까만 봉지 안의 휴지
질문에 질문에 질문
내가 뭐 세 살 먹은 어린애니
손녀 결혼식까지 기다려주셔서
장모님이 알려주신 평범한 하루의 가치
4장 보고 싶을 땐 어떻게 하죠?
시간이 없습니다
아버지로 살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막내의 편지
화낼 일 없는 매일을 살겠습니다
측은지심, 역지사지
부모님과 이야기하기 좋은 질문 11가지
저는 어떤 부모일까요
아버지께 배운 대로 일도 삶도 살아갑니다
나이 먹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