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김영운
국립국악고등학교(거문고 전공)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이론 전공)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대학원 국악학과에서 음악석사(이론 전공)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고전 시가 전공)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충청남도 서산 서령고등학교 음악교사, KBS-FM 프로듀서를 거쳐, 강릉대학교 음악과 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교수·정보센터소장·대학원장,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교수를 역임하였고, 2020년 현재 (재)국악방송 사장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음악협회 감사, 한국민요학회 회장, (사)한국국악학회 기획이사·상임이사·부이사장·편집위원장·이사장을 역임하였으며, 한국음악사학회·한국시가학회·한국시조학회 회원이다. 문화재청·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경기도 문화재 위원을 역임하였고, 현재 문화재청 무형문화재위원·이북5도 문화재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제57·58·60회 한국민속 예술축제 추진위원장을 역임하였다. 평화방송 <흥겨운 우리 가락>, 강릉MBC <일요명곡산책>, KBS-FM <흥겨운 한마당>·<국악의향기>, KTV <우리 가락 우리 춤>, GBF 국악방송 <국악박물관>·<풍류산책>·<국악산책>의 진행자로 활동하였다. 그간의 활동으로 제3회 관재국악상(2008), 제13회 난계악학대상(2009), 옥관문화훈장(2018), 녹조근정훈장(2019)을 받았다.
개정증보판 서문
저자 서문
서문: 국악, 한국음악, 전통음악
제1편. 전통음악 이론
I. 전통음악의 분류
1. 궁중음악
1) 향악
2) 당악
3) 군대음악
2. 풍류음악
1) 줄풍류
2) 가곡
3. 민속음악
1) 민요
2) 농악
4. 예술음악
1) 판소리
2) 산조와 시나위
3) 잡가
5. 종교음악
1) 무속음악
2) 불교음악
3) 유교음악
4) 기타 종교음악
6. 창작국악
II. 국악의 음조직 이론
1. 12율과 율명
1) 소리와 음
2) 12율명
3) 삼분손익법
4) 청성과 배성
2. 음계와 악조
1) 음계
2) 악조
3) 향악의 조
4) 민요의 토리
5) 판소리와 산조의 악조
6) 산조와 민요반주의 조
7) 전통음악의 변조
III. 장단
1. 장단 주법
2. 궁중음악의 장단
3. 풍류음악의 장단
4. 예술음악의 장단
5. 풍물 가락
IV. 형식
1. 성악곡의 형식
1) 민요의 형식
2) 가곡과 시조의 형식
3) 가사와 잡가의 형식
2. 기악곡의 형식
1) 도드리형식
2) 반복형식
3) 모음곡형식
V. 기보법
1. 정간보 읽기
1) 음높이 읽기
2) 음길이 읽기
3) 그 밖의 부호
2. 오선보 읽기
1) 음높이 읽기
2) 음길이 읽기
3) 그 밖의 부호
제2편. 국악기
I. 악기의 분류 방법
1. 『악학궤범』의 분류법
2. 『증보문헌비고』의 분류법
3. 장사훈, 『한국악기대관』의 분류
4. 민족음악학적 분류법
II. 국악기의 종류
1. 현악기
2. 관악기
3. 타악기
4. 향토악기
5. 불교 의식악기
제3편. 전통음악의 갈래
I. 궁중음악
1. 제례악
1) 종묘제례악
2) 사직제례악
3) 문묘제례악
2. 의식음악
1) 향악
(1) 수제천
(2) 동동
(3) 자진한잎
(4) 대취타
2) 당악
(1) 낙양춘
(2) 보허자
3. 조선 초기 창작음악
1) 정동방곡
2) 유황곡
4. 궁중의 여민락계통 음악
1) 여민락만
2) 여민락령
3) 해령
II. 풍류음악
1. 풍류방의 기악곡
1) 영산회상
2) 평조회상
3) 관악영산회상
4) 보허사
5) 밑도드리
6) 잔도드리
7) 뒷풍류(천년만세)
8) 가즌회상
9) 여민락
10) 취타
11) 길군악
12) 길타령
13) 별우조타령
2. 풍류방의 성악곡
1) 가곡
2) 가사
3) 시조
4) 시창
III. 민속음악
1. 농악
2. 민요
IV. 예술음악
1. 판소리
2. 단가
3. 창극
4. 가야금병창
5. 잡가
6. 통속민요
7. 송서
8. 산조
9. 시나위
10. 대풍류
V. 종교음악
1. 불교음악
2. 무속음악
제4편. 간추린 국악사
I. 고대음악
1. 상고시대의 우리음악
2. 삼국시대의 음악
1) 고구려의 음악
2) 백제의 음악
3) 가야의 음악
4) 신라의 음악
3. 통일신라시대의 음악
II. 중세음악
1. 고려시대의 음악
2. 조선 전기의 음악
III. 근세음악
1. 궁중음악의 쇠퇴
2. 민간의 풍류방음악
3. 전문예능인의 음악
4. 조선 후기 음악 양식의 특징
IV. 현대음악
1. 궁중음악의 향방
2. 풍류방음악의 변천
3. 잡가의 전승
4. 창극과 판소리
5. 산조의 전승
6. 창작국악의 태동과 전개
7. 새로운 한국음악의 모색
부록1. 정간보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부호
부록2. 우리나라의 옛 기보법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