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권재우
교사자치는 교사들이 ‘자신과 학교에 관한 일에 대해, 스스로 책임지고 처리하는 일’을 뜻합니다. 그리고 스스로 책임지고 처리하는 일을 보통 ‘회의’라고 부릅니다. 교사자치가 중요한 이유는 교사들의 삶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도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민주시민교육을 잘하기 위해서는 교과서를 잘 알고 가르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필요한 것은 교사들이 민주적인 삶을 함께 살아가는 것이라 믿습니다. 이번 신간은 교사자치를 주요 목표로 삼고 있지만, 학급에서도 충분히 활용 가능한 ‘스쿨퍼실리테이션’ 내용을 담았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이야기를 통해 소통과 공감의 학급과 학교 문화를 일궈 가시는 선생님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주요 경력- 소통과 공감의 School Facilitation 회장- 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INTIATIVE, 워크숍 디자인, 질문의 기술’ 과정 - 퍼실리테이션 교사 전문가 양성 과정 수료(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혁신교육행정)- 경인교육대학교 저서- 다시, 혁신 교육을 생각하다2 / 공저 (창비교육)- 평화 시대를 여는 통일시민 교과서 / 공저 (창비교육)
프롤로그_ 학교자치, 직접 해보니 훨씬 좋았어요!
1장. 아이들이 스스로 만들고 꾸려가는 시간
‘학생퍼실리테이션’
학생자치의 시작, 학급규칙 만들기
수동적인 학급 문화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학생퍼실리테이션
교실에서 학생퍼실리테이션 활용하기
3월, 학급 비전 세우기 프로젝트
수업과 함께하는 학생자치 실천 사례
2장. 교사가 학교 문화를 만든다
‘교사 자치’
왜 선생님이 스스로 민주적인 학교를 만들어 나가야 할까?
어떻게 선생님 스스로 학교 문화를 만들어나갈 수 있을까?
학교자치문화의 시작, 교직원 회의
1도의 미학, 퍼실리테이션
학교를 개선하는 리더, 퍼실리테이터
학교 문화를 좌우하는 관계 맺기
3장. 교사들이 함께 잘 사는 법
‘스쿨퍼실리테이션’
우리 회의 시작해 볼까요, 따뜻한 회의의 첫걸음 (사전 활동)
네 생각을 열어줘 (생각 꺼내기)
맥락을 찾아라 (생각 모으기)
길고 짧은 건 대봐야 아는 법 (평가하기)
정답보다는 해답을 (의사 결정)
열 사람의 한 걸음으로 (마무리)
학교 회의, 어디까지 해봤니!
부록_ 스쿨퍼실리테이션, 이럴 땐 이렇게! Q&A
에필로그_ 집필을 마치며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