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일주문에 들어선 초발심자들을 위한 기본교재. 불교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기초적인 불교한자를 익힐 수 있다. 한자를 알고 용어를 이해해야 우리말 문장 해독력도 는다. 우리말과 우리글을 사랑하는 그 마음으로, 부처님의 지혜와 자비의 가르침에 도달하고자 하는 그 마음으로 이제 불교한자 공부를 시작해보자.
출판사 리뷰
한자를 알아야 불교가 보인다
용어 266개, 글자 수 800자 … 뜻 배우고 쓰기 반복 연습
불교는 BC 6세기경 인도에서 발생해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로 들어왔다. 고대 인도어 경전은 고대 중국어인 한문으로 번역돼 동아시아 불교 르네상스를 여는데 크게 기여했다. 오늘날 한반도에서 전승된 불교전적 역시 대부분 한문으로 기록돼 있다. 근대에 들어 우리말로 풀어 쓴 경전이 속속 나오고 있지만 여전히 기본적인 용어들은 모두 한자말이다. 불교 공부에서 한문과 한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실로 크기만 하다.
≪불교한자입문≫은 일주문에 들어선 초발심자들을 위한 기본교재다. 이들의 불교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기초적인 불교한자를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책은 2개의 장으로 구성돼 있다. 1장 ‘글자 수로 보는 불교한자’에서는 용어(단어)의 뜻을 설명했다. 佛, 法, 僧 등 ‘한 글자’는 27개, 輪廻, 緣起, 解脫 등 ‘두 글자’는 108개, 四聖諦, 波羅蜜, 優婆塞 등 ‘세 글자’는 45개다. 이렇게 해서 ‘일곱 글자’까지의 단어는 266개, 글자 수는 800자에 이른다. 사전적 구성이 주는 지루함을 덜어내기 위해 단어의 배열에도 신중을 기했다. 한자로 축약한 부처님의 생애, 가르침인 기본교리, 게송, 규범, 불보살의 명호, 대중 소임, 전각, 성보, 성물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2장은 ‘불교한자 쓰기 연습’이다. 획순에 따라 반복해 쓰는 동안 자연스럽게 한자를 익힐 수 있다.
우리말의 70%, 학교언어의 90%가 한자어로 구성돼 있다는 학계의 보고가 있다. 먼저 한자를 알고 용어를 이해해야 우리말 문장 해독력도 는다. 우리말과 우리글을 사랑하는 그 마음으로, 부처님의 지혜와 자비의 가르침에 도달하고자 하는 그 마음으로 이제 불교한자 공부를 시작해보자.
齋(재)
신구의(身口意) 삼업을 깨끗이 하여 악업을 짓지 않는다는 뜻에서 정오를 지나지 않은 식사, 또는 오후불식(午後不食)을 의미하게 되었다. 이후 부처님께 공양하는 성대한 불공, 죽은 사람을 제도하는 의식, 스님들에게 음식 공양을 올리는 것을 재라고 하게 되었다. 포살(布薩)의 뜻도 있다.
緣起(연기)
연생(緣生), 인연법(因緣法)으로도 쓴다. ‘연(緣)하여 생기(生起:일어남)한다.’는 뜻. 모든 존재와 현상은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원인과 조건에 의해 이루어지며 서로 연결된 존재라는 의미다. 또는 사찰이나 불상이 조성된 유래·기원, 그것을 적은 기록을 뜻한다.
波羅蜜(바라밀)
ⓢpaamita의 음역 바라밀다(波羅蜜多)의 준말. 한자음은 파라밀이나 바라밀로 읽는다. 깨달음의 언덕인 피안에 도달하다는 뜻으로 깨닫기 위한 수행법의 총칭. 2바라밀, 6바라밀 외에 7·10·32바라밀 등이 있다. 그 중 가장 널리 알려진 육바라밀(六波羅蜜)이 바로 보시(布施), 지계(持戒), 인욕(忍辱), 정진(精進), 선정(禪定), 지혜(智慧)다. 바라밀(婆羅密)이라고도 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은 조계종의 승가교육을 담당하는 종무행정기관이다. 산하에 학술연구기관인 불학연구소를 두고 있다. 책임 편집자(집필 담당) 경완(景完) 스님은 1986년에 덕숭총림 수덕사 환희대로 출가했다.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대만 불광산총림학원에서 수학했다. 한서대학교에서 석사를, 고려대학교에서 박사학위(중국고전소설 전공)를 각각 받았다. 근대 한국불교계의 대표적 비구니이자 문인, 사상가였던 일엽 스님의 4대 손상좌로 김일엽문화재단 부이사장,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아사리, 고려대학교 강사, 학교법인 승가학원 교육개방이사 등의 소임을 맡고 있다. 저서로 ≪대학생을 위한 한자와 한문의 이해≫, ≪한국 비구니의 수행과 삶≫, ≪한국 현대작가와 불교≫, ≪돈황학대사전≫(이상 공저)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5
01 글자 수로 보는 불교한자... 8
-한 글자 ... 9
-두 글자 ... 15
-세 글자 ... 36
-네 글자 ... 47
-다섯 글자 ... 53
-여섯 글자 ... 55
-일곱 글자 ... 57
02 불교한자 쓰기 연습 ...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