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한국NVC센터(한국비폭력대화센터)에서 발행하는 ‘비폭력대화 작은책 시리즈’ 일곱 번째 책. 『비폭력대화』의 저자 마셜 로젠버그가 교사와 학생이 공감을 통해 상호 이해에 도달하는 방법을 안내한다.
출판사 리뷰
삶을 풍요롭게 하는 교육은 어떻게 가능한가?
미국의 한 대안교육자 총회에서 한 기조연설과 워크숍을 통해, 마셜 로젠버그는 공감적 연결에 바탕을 둔 교육에 관한 그의 생각을 밝힌다. 마셜은 처벌이나 보상, 죄책감, 수치심 같은 강압적인 수단에 의해 동기를 부여받기에는 배움이란 너무도 소중하다고 말한다. 그가 생각하는 대안은 삶을 존중하는 마음, 우리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행복에 기여하려는 욕구에 의해 동기가 부여되는 배움이다. 사람들이 삶을 존중하는 마음으로 배움에 참여하도록 돕는 언어를 마셜은 ‘비폭력대화’라고 부른다. 우리의 느낌과 욕구를 표현하고 상대방의 느낌과 욕구에 공감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알려 주는 비폭력대화는 삶을 풍요롭게 하는 교육에 관심을 가진 모든 교육자들에게 소중한 자원이 아닐 수 없다.
공감으로 연결하는 교육은
-학생 한 사람 한 사람 안에 깃든 힘을 이끌어 내도록 돕는다.
-학급 공동체 안에서 신뢰와 유대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
-학업에 대한 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강화하도록 돕는다.
-강요 없이 서로 협력하는 방법을 찾도록 돕는다.
저는 삶을 존중하는 마음에 의해 동기가 부여되는 배움, 우리가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행복에 더 잘 기여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 새로운 것들을 배우려는 욕구에 따른 배움에 관심이 있습니다.
저를 큰 슬픔으로 채우는 것은 강요에 의한 배움입니다. 제가 말씀드리는 강요란 학생이 처벌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성적이라는 형태로 제공되는 보상을 받기 위해, 죄책감이나 수치심을 느끼지 않기 위해, 또는 뭔가 막연한 ‘해야만 한다’는 느낌 때문에 배움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저는 이러한 강제적인 방식으로 동기를 부여받기에는 배움이란 것이 너무도 소중하다고 생각합니다.
오늘 저는 선생님들께 자칼 말로는 절대로 학생들의 성과를 평가하지 말 것을 제안합니다. 교사로서, 우리의 의식에서 다음 단어들을 없애버립시다. 옳다, 그르다, 좋다, 나쁘다, 맞다, 틀리다, 배우는 게 더디다, 배우는 게 빠르다. 이것들은 위험한 언어입니다.
사람들이 비판과 부정적인 판단을 듣도록 훈련시키면, 어떤 배움이건 뒤로 미뤄 둔 치과 진료만큼 괴로운 일이 됩니다. 우리가 영리하건 멍청하건 옳건 그르건 간에, 다른 사람들이 하는 말에서 비판을 듣거나 그들이 우리를 어떻게 생각할지 걱정하는 것은 우리가 스스로를 바라보는 방식에 심각한 영향을 끼칩니다. 우리 자신을 아름답다고 보지 않게 되지요.
작가 소개
지은이 : 마셜 B. 로젠버그
국제 평화단체인 비폭력대화센터CNVC의 설립자이자 교육 책임자. 1934년 미국 오하이오 주 캔턴에서 태어나 디트로이트에서 성장했으며, 1961년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임상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0년대에 미국 연방정부의 재정 지원으로 이루어진 학교 통합 프로젝트에서 중재와 의사소통 방법을 가르치면서 처음으로 비폭력대화NVC 교육을 시작했다. 그가 1984년 설립한 CNVC는 지금까지 500여 명의 국제인증지도자를 배출하였고, 전 세계 70개가 넘는 나라에서 교육자, 의료 분야 종사자, 기업 관리자, 변호사, 군인, 수감자, 교정 당국, 경찰, 성직자, 정부 관리, 그리고 수많은 개인과 가족들에게 NVC의 실천을 지원하는 활동을 벌이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비폭력대화Nonviolent Communication: A Language of Life』, 『갈등의 세상에서 평화를 말하다Speak Peace in a World of Conflict』, 『삶을 풍요롭게 하는 교육LifeEnriching Education』 등이 있다.
목차
제1장 가슴의 언어
들어가며
자칼과 기린
관찰 vs. 평가
함께하는 힘
처벌과 폭력
느낌 목록
욕구
부탁 vs. 강요
느낌과 욕구 듣기-공감적 연결
호기심과 그린 젤-오
요약
제2장 가슴으로 하는 대화
들어가며
보호를 위한 힘
비판하지 않기
우리의 목적
느낌과 욕구 듣기
현존이라는 선물
명료한 부탁 하기
메시지가 받아들여졌는지 확인하기
어떻게 감사가 판단처럼 느껴질 수 있는가
요약
부록
느낌말 목록
보편적인 욕구 목록
NVC를 적용하는 방법
CNVC와 한국NVC센터에 대하여
한국NVC센터 발행 서적ㆍ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