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문자의 탄생부터 이두와 향찰, 훈민정음을 거쳐 이모티콘까지 우리말, 글과의 즐거운 만남을 주선하는 책. 많은 사람들이 \'우리말 우리글\'하면 따분하고 재미없는 이야기로 치부하기 일쑤다. 대학에서 강의를 하고 있는 지은이들은 이 점에 착안, 대중적인 한글 이야기 책을 펴냈다.
소제목도 \'우리 조상들은 한문 경전을 어떻게 읽었을까\', \'훈민정음은 모든 백성이 사용했는가\', \'최만리는 왜 훈민정음 창제를 반대했을까\' 등 호기심을 유발하는 내용으로 짜여졌다. 16 장으로 나누어 훈민정음 창제 이전과 이후의 문자생활을 두루 살펴보았다.
또한 창제과정에서 볼 수 있는 몇 가지 의문사항을 정리해 객관적 근거와 함께 제시했다. 그 중에서도 가장 관심을 끄는 것은 \'최만리의 상소문\'. 왜 훈민정음 창제를 반대했는가를 당시의 지배 이데올로기 -- 중화사상 -- 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한글사용과 관련된 쟁점은, 모아쓰기와 풀어쓰기의 역사이다. 풀어쓰기는 주시경이 제창하여 그 후학들이 전폭적으로 지지한 문자정책으로 남한에서는 1954년 모아쓰기 한글간이화 방안이 작성되면서 일단락 되었다. 북한에서는 핵심적 지지자인 김두봉의 정치적 몰락과 함께 풀어쓰기 논쟁은 사라져버렸다.
최근에 와서 쟁점이 된 사안은 \'로마자 표기법\'. 외국인을 위한 우리말 표기법이 실제 발음과 괴리가 있어 문제가 있다는 내용을 담았다. 그밖에도 컴퓨터 통신으로 활성화된 이모티콘 사용에 대해서 다뤘다.
작가 소개
저자 : 시정곤
말글 속에 숨어 있는 무한한 힘과 놀라운 질서의 세계에 매료되어 그 비밀을 찾는 언어 탐정으로서 우리말과 우리글에 대한 연구를 계속해 왔다. 대중과 호흡하는 말글살이 연구를 지향한다. <국어의 단어형성 원리>(1994), <논항구조란 무엇인가>(2000), <우리말의 수수께끼>(2002), <한국어가 사라진다면>(2003), <역사가 새겨진 우리말 이야기>(2006), <현대국어 형태론의 탐구>(2006), <한글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2008) 등의 저서를 냈다. 현재 카이스트(KAIST) 인문사회과학과·문화기술대학원 교수로 있다.
목차
1장 문자는 왜 출현했는가
2장 소리를 빌릴 것인가, 뜻을 빌릴 것인가
3장 이두는 정말 설총이 만들었을까
4장 신라 사람들은 어떻게 글을 썼을까
5장 우리 조상들은 한문 경전을 어떻게 읽었을까
6장 훈민정음은 모든 백성이 사용했는가
7장 훈민정음은 다른 나라 문자를 참조했을까
8장 최만리는 왜 훈민정음 창제를 반대했을까
9장 조선시대 사람들은 ㄱ을 어떻게 읽었을까
10장 한글은 언제부터 대중의 문자로 사랑받게 되었는가
11장 한글맞춤법통일안은 왜 만들어지게 되었나
12장 모아 쓸 것인가, 풀어 쓸 것인가
13장 외국인을 생각할 것인가 우리를 생각할 것인가
14장 치열한 철자법 논쟁의 진상은?
15장 세종대왕상을 아시나요
16장 새로운 문화의 탄생인가, 과거 회귀인가
- 참고문헌
-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