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조선 통치의 최정점에 섰던 명재상들의 통치술과 사상을 새롭게 조명한다. 우리는 보통 조선의 역사를 말할 때 몇몇 임금과 성리학자, 장군을 먼저 떠올리지만, 실제로 국가 운영의 중심에 있었던 재상들은 쉽게 기억되지 않는다. 이는 학문적 연구가 현실 정치보다는 성리학적 담론에 치우친 결과이기도 하다. 그러나 조선의 역사를 이끌어간 것은 바로 경세가로서의 재상들이었다.
저자 이한우는 꾸준한 고전 연구와 번역을 통해 성리학적 명분론의 틀에 갇힌 전통적 신하관을 넘어, 현실 정치에 능한 재상의 면모를 탐구해왔다. 이번 책에서 그는 조선을 대표하는 명재상 20인을 선정해, 그들이 어떻게 시대를 읽고 정치적 전략을 펼쳤는지를 입체적으로 분석한다. 재상은 단순히 충성심과 절개만으로는 부족하며, 청절(淸節)과 법치, 술책의 균형을 통해 현실을 움직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조준, 하륜, 황희 등 조선의 명재상들은 덕망과 실무 능력, 학식을 갖춘 인물들로, ‘의정부 삼상’이라 불린 영의정·좌의정·우의정 자리에 올랐다. 이 책은 이들이 모신 임금과의 관계, 당시 정치적 맥락, 그리고 동시대 인물들과의 상호작용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재상들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이한우의 조선 재상 열전』은 과거를 단순히 복기하는 작업을 넘어, 미래의 정치인을 길러내는 데 필요한 ‘재상학’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덕목과 이상론에 치중하는 역사 서술에서 벗어나, 현실과 권도를 아우른 유능한 정치가의 모습을 통해 오늘날에도 유효한 통치의 지혜를 전한다.
출판사 리뷰
나라를 움직인 건 임금이 아니라 재상이었다!
조선 통치의 중심에 섰던 명재상 20인의 통치술과 사상
청절가·법가·술가의 역량을 모두 갖춘 명재상, 국체(國體)
정(正)보다는 중(中), 상도(常道)보다는 권도(權道)에 능해야 한다
유소는 『인물지』에서 신하의 유형을 **청절가(淸節家)·법가(法家)·술가(術家)**로 나누었다. 청절가는 청렴하고 절의를 지킨 인물이며, 법가는 법치와 제도의 운영에 확고한 의식을 가진 인물, 술가는 국가 운영의 큰 계책과 전략을 세우는 데 뛰어난 인물을 뜻한다. 이 세 덕목을 균형 있게 두루 갖춘 경우를 **국체(國體)**라 부르며, 이는 곧 ‘명재상’의 요건이라 할 수 있다. 반대로 특정 능력은 뛰어나지만 균형을 이루지 못한 인물은 **기능가(器能家)**라 불렀다.
저자는 조선의 재상들 가운데 국체의 경지에 이른 인물로 조준, 황희, 신숙주, 이준경을 꼽는다. 조준은 건국 초 제도의 기틀을 마련해 조선 정치의 토대를 다졌고, 황희는 공정한 인사 행정과 균형 잡힌 판단으로 세종 치세를 든든히 뒷받침했다. 신숙주는 명분론자들에게 절의 없는 인물로 비난받았지만 실제로는 세 임금을 보필하며 현실 정치에 능했던 인물로, 국체의 모범이 되었다. 이준경은 권신의 압박 속에서도 청렴과 실무 능력을 바탕으로 미숙한 선조를 보좌하며 조정을 안정시켰다.
반면 하륜은 술책과 법도에서 비범했지만 절의의 측면이 부족해 국체에는 이르지 못했다. 또한 많은 재상들이 국체보다는 기능가의 범주에 머물렀다는 평가를 받는다. 예컨대 김사형, 맹사성, 정인지 등은 학문적 식견이나 절의에서는 빼어났으나, 국가의 큰 계책을 결단하는 술가적 면모는 다소 부족했다.
이러한 구분은 조선 재상들을 평가하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단순히 충성과 절의만으로 인물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 실무 능력과 전략적 통찰, 법치의식까지 아우르는 입체적 기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결국 명재상은 청절과 법치, 술책을 균형 있게 갖춘 국체형 인물이었으며, 이는 오늘날 지도자의 조건을 고민하는 데도 여전히 의미 있는 지침이 된다.
나라를 만든 힘의 원천, 시대에 맞선 명재상들
조선을 바로 세운 20명의 재상들
조선 최초의 명재상으로 꼽히는 조준은 태조에게는 친구 같은 신하, 태종에게는 스승 같은 신하로서 건국과 제도의 정비에 큰 공을 세웠다. 태종의 곁을 지킨 하륜은 법가와 술가의 면모가 강한 현실주의자였으나 청절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황희는 흔히 우유부단한 인물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곧은 성품과 과단성을 지닌 정승이었고, 맹사성은 세종 치세를 받쳐낸 청절가형 재상이었다. 신숙주는 성리학적 명분론 때문에 절의 없는 인물로 매도되었으나 실제로는 세 임금을 충실히 보필한 탁월한 정치가였으며, 세조 때의 구치관은 청절과 법치를 겸비해 왕의 신임을 두텁게 받았다. 포의 출신으로 단숨에 정승에 오른 한명회는 책략과 실행력에서 당대를 압도한 술가였으며, 정인지는 해박한 학문으로 역사가로 이름을 남겼다. 노사신은 성종을 보필했으나 연산군 시대의 불운을 피하지 못했고, 어세겸 역시 갑자사화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았다. 이처럼 건국과 기틀 확립의 과정에서 등장한 재상들은 저마다의 덕목과 한계를 지니면서도 조선 정치의 근간을 이끌었다.
중종 때의 정광필은 올곧고 겸손한 국량으로 기묘사화의 확대를 막아낸 명재상이었고, 이준경은 권신 윤원형의 견제를 이겨내며 미숙한 선조가 국왕으로 자리 잡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상진은 현실 정치의 굴곡을 수용하면서도 청렴함으로 명성을 지켰으며, 유성룡은 임진왜란이라는 시대적 비극 속에서 고초를 겪었으나 백성과 나라를 위해 헌신했다. 이원익은 강직하고 청렴한 도리로 세 임금을 보필하며 ‘정(正)’의 가치를 지킨 정승이었고, 이항복은 임진왜란의 혼란기에 든든한 버팀목이 되었다. 한음 이덕형은 젊은 나이에 정승에 올라 신중한 처신으로 광해군 즉위에 정당성을 부여했으며, 최명길은 백성을 구하기 위해 간신이라는 비난을 무릅쓰고 주화론을 주장한 ‘구시지상’이었다. 김육은 대동법 시행을 주도하며 백성의 삶을 정치의 중심에 둔 개혁적 재상이었고, 숙종 대의 최석정은 열 차례나 영의정에 오르며 국왕의 깊은 신뢰를 받은 특별한 인물이었다. 이처럼 전란과 사화 속에서도 명재상들은 시대적 불운과 한계를 넘어 백성의 삶을 지키고 국가를 바로 세우려 힘썼다.기에 거듭 그를 불러들였다. 관직에서 은퇴한 최석정은 산수(算數)와 자학(字學) 연구에 전념했다.
명재상이 사라진 시대
당쟁과 비변사, 재상의 영향력을 빼앗다
사마천의 『사기(史記)』 「진승상세가(陳丞相世家)」에는 재상의 직분이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재상은 위로는 천자를 보좌하여 음양을 다스리고 사시를 순조롭게 하며, 아래로는 만물을 알맞게 기르고, 밖으로는 사방 오랑캐와 제후들을 어루만지며, 안으로는 백성이 서로 친목하게 하고, 경대부로 하여금 각자의 직분에 충실하도록 하는 존재입니다.” 이처럼 국가 운영에서 재상의 역할은 막중했다. 실제로 조선 전기의 명재상들은 이러한 직임을 충실히 수행하며 나라의 기틀을 세워나갔다. 그러나 중기 이후 재상은 점차 실권을 잃기 시작했다. 당쟁의 격화와 비변사의 권한 강화가 맞물리면서 재상의 권위와 영향력이 급격히 축소된 것이다.
명종 대에 비변사가 설치되면서 국가의 중대사는 비변사에서 논의하게 되었고, 삼정승은 도제조라는 직함으로 형식적으로만 참여할 뿐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하지 못했다. 특히 선조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시 행정을 전담한 비변사의 권한은 한층 더 강화되었고, 이후 조선 말기까지 국정 전반은 비변사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여기에 당쟁까지 겹치면서 재상은 더 이상 ‘나라의 재상’이 아니라 ‘당파의 재상’으로 전락했다. 과거에는 정승을 ‘국상(國相)’이라 부르기도 했지만, 당쟁 이후에는 ‘당상(黨相)’에 불과했다. 결국 선조 이후로는 이렇다 할 명재상이나 현상이 드물게 나타났으며, 조선 정치의 무게 중심은 점차 붕괴되었다. 이는 곧 조선 정치에서 재상이 차지하던 중심축이 무너졌음을 의미하며, 명재상의 부재는 나라의 흥망성쇠와 직결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21세기북스의 책들
▶ 이한우의 설원: 유향 찬집 완역 해설 상·하(전 2권)|이한우 지음|21세기북스|2023년 1월 2일 출간|각 39,800원
▶ 이한우의 인물지: 유소 『인물지』 완역 해설|이한우 지음|21세기북스|2023년 7월 3일 출간|28,000원
▶ 이한우의 노자 강의: 『도덕경 』 5천 자에 담긴 무위자연의 제왕학|이한우 지음|21세기북스|2024년 10월 21일 | 58,000원
▶ 이한우의 조선 당쟁사: ‘주자학’이란 이름으로 자행된 야만과 퇴행의 역사|이한우 지음|21세기북스|2025년 4월 2일|45,000원
☞ 21세기북스 채널에서 도서 정보와 다양한 영상자료, 이벤트를 만나세요!
▶ 페이스북 facebook.com/jiinpill21 ▶ 포스트 post.naver.com/21c_editors ▶ 인스타그램 instagram.com/jiinpill21
▶ 홈페이지 www.book21.com ▶ 유튜브 youtube.com/book21pub
유소의 『인물지』 유형론에 따르면 조준은 도리가 깊고 견실해 청절가(淸節家)로 손색이 없고 법제를 개혁해 민생을 이롭게 했으니 법가(法家)의 면모 또한 분명한 데다가 큰 결단을 의심 없이 내릴 줄 알았으니, 술가(術家)의 계책을 갖추고 있어 국체(國體)에 이른 조선 1호 재상이라 할 것이다.
제1장 태조의 공신이자 명재상 조준
그러나 결국 성종은 한명회를 법대로 처리하지 못했다. 한명회는 이미 성종의 그 같은 유약함을 꿰뚫어 보고 있었다. 다시 한번 한명회의 인간과 사리(事理)에 대한 통찰이 빛나는 사건이다. 한명회는 성리학의 교조에 얽매이지 않았고 거의 혼자 힘으로 왕조 시대 신하가 누릴 수 있는 정점에 이른 독특한 존재다. 정승이 되는 길은 참으로 여러 가지가 있다.
제7장 포의에서 단숨에 정승에 오른 책략가 한명회
가장 중요한 원칙은 ‘치중화(致中和)’로 올바른 화합의 정치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침이 바로 구목이다. 첫째, 궁궐 내의 기강은 엄격하게 하지 않으면 안 되고[宮禁不可不嚴], 둘째, 조정의 기강을 바로잡지 않으면 안 되고[紀綱不可不正], 셋째, 인재를 잘 가려서 쓰지 않으면 안 되고[人才不可不辨], 넷째, 제사를 격식에 맞도록 제대로 거행하지 않으면 안 되고[祭祀不可不謹], 다섯째, 백성의 곤궁함을 구제해주지 않으면 안 되고[民隱不可不恤], 여섯째, 백성을 일깨우는 일을 밝게 하지 않으면 안 되고[敎化不可不明], 일곱째, 형벌을 신중하게 하지 않으면 안 되고[刑獄不可不愼], 여덟째, 사치는 금하지 않으면 안 되고[奢侈不可不禁], 아홉째 신하들이 간하는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안 된다[諫諍不可不納].
제12장 난세를 넘긴 명재상 이준경
작가 소개
지은이 : 이한우
1961년 부산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철학과 석사 및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뉴스위크 한국판〉과 〈문화일보〉를 거쳐 1994년부터 〈조선일보〉 기자로 일했고 2002~2003년에는 논설위원, 2014~2015년에는 문화부장을 지냈다.2001년까지는 주로 영어권과 독일어권 철학책을 번역했고, 이후 『조선왕조실록』을 탐색하며 『이한우의 군주열전』(전 6권)을 비롯해 조선사를 조명한 책들을 쓰는 한편, 2012년부터는 『논어로 논어를 풀다』 등 동양 사상의 고전을 규명하고 번역하는 일을 동시에 진행해오고 있다.2016년부터는 논어등반학교를 만들어 현대인의 눈높이에 맞추어 고전을 강의하고 있다.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약 5년에 걸쳐 『이한우의 태종실록』(전 19권)을 완역했으며, 그 외 대표 저서 및 역서로는 『이한우의 조선 당쟁사』, 『이한우의 노자 강의』, 『이한우의 『논어』 강의』, 『이한우의 인물지』, 『이한우의 설원』(전 2권), 『이한우의 태종 이방원』(전 2권), 『이한우의 주역』(전 3권), 『완역 한서』(전 10권), 『이한우의 사서삼경』(전 4권), 『대학연의』(상·하)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