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젊은 날, 우연처럼 스쳐 지나간 2년의 요가가 있었다. 십여 년이 훌쩍 지나 자신의 발로 걷기 위한 재활로 다시 요가를 만났다. 의사로부터 못 걸을 뻔했다는 이야기를 들을 만큼 망가졌던 발목의 자유를 되찾으며 삶을 다시 세웠다. 그리고 다시 세운 삶 위에 또다시 겪게 된 부상. 내면의 방황이 더 컸던 그 시절을 통과하며 진정한 요가의 가르침을 마음으로부터 느끼게 된다. 이 책은 요가를 통해 신체의 돌봄을 넘어 내면의 진정한 자아에 가 닿는 여정을 담았다. ‘이런 나’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는 것에서 시작된 치유와 자신의 중심을 잡고 외부와 조화를 이루기까지 성찰의 과정을 나눈다.
출판사 리뷰
재활로 시작한 요가, 삶이 되다.
재활로 재회한 요가를 9년째 이어가고 있는 한 요가 수련자의 이야기.
젊은 날, 우연처럼 스쳐 지나간 2년의 요가가 있었다. 십여 년이 훌쩍 지나 자신의 발로 걷기 위한 재활로 다시 요가를 만났다. 의사로부터 못 걸을 뻔했다는 이야기를 들을 만큼 망가졌던 발목의 자유를 되찾으며 삶을 다시 세웠다. 그리고 다시 세운 삶 위에 또다시 겪게 된 부상. 내면의 방황이 더 컸던 그 시절을 통과하며 진정한 요가의 가르침을 마음으로부터 느끼게 된다. 이 책은 요가를 통해 신체의 돌봄을 넘어 내면의 진정한 자아에 가 닿는 여정을 담았다. ‘이런 나’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는 것에서 시작된 치유와 자신의 중심을 잡고 외부와 조화를 이루기까지 성찰의 과정을 나눈다. 십 년 차 초보 수련자로서 저자는 우리 모두는 각자에게 맞는 속도와 방향이 있음을 말한다. 가로세로 66 × 180 cm 요가 매트 위, 가장 사적인 공간에서 들려오는 위로의 시간 속으로 독자들을 초대한다.
10년 차 요가 수련자의 이야기!
매트 위에서 내가 만난 가장 사적인 위로
현대인에게 ‘건강’과 ‘운동’이라는 키워드는 매우 친근하다. 런닝, 수영, 스쿼시, 골프… 할 수 있는 운동 종목도 많고 하는 방식도 다양하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요가’는 ‘몸’과 ‘마음’을 가꿀 수 있기에 오랫동안 많은 이에게 사랑받는 운동이 아닐까 싶다.
10년 차 요가 수련자인 작가 역시 요가를 통해 몸을 가꾸고 마음을 단정히 했다. “운동을 해야겠어. 뭐라도 좀 해야겠어.”(15p.) 누구나 그렇듯 저자 역시 처음 요가를 시작할 땐 가벼운 마음이었다. 스트레칭이든 뭐든 몸을 움직여야겠다는 생각에 요가원에 찾았다. 그렇게 시작한 요가가 다친 몸과 마음을 치유하고 삶을 더욱 단단하게 만들었다. 이는 10년이라는 시간 동안 요가를 놓지 않은 결과이다. 발목 부상으로 걷는 것조차 힘들었던 저자는 요가를 통해 한 발, 한 발 나아가는 법을 다시 배웠다. 저자는 “노력에는 지름길이 없다. 결국 가장 확실한 방법은 지금 이 자리에서 묵묵히 연습하고 또 연습하는 것이다.”(33.p)라고 말하며 요가를 통해 조금씩, 매일, 성실하게 몸을 어루만졌다. 그 과정에서 ‘가장 빠른 길은 바른길’이라는 인생의 진리를 배웠다.
할 수 있는 만큼
매일 꾸준히 하려는 노력
“두려움에 회피하지 말고 내가 할 수 있는 오늘의 수련을 하는 것, 그뿐이다. 오늘의 한 호흡, 일 센티미터가 조금 더 나은 내일의 동작을 만들어 낼 것이라는 믿음만 있으면 된다.”(129p.)저자가 요가를 하며 깨달은 삶의 지혜는 누구나 각자의 삶의 형태로 끌어와 치환할 수 있는 것들이다. 열심히 하면 자칫 우둔한 사람으로, 느리면 퇴보하는 것으로 평가받는 요즘 세상에서 저자의 이야기는 흔들려도 괜찮다고, 조금 느려도 자기 속도대로 걸어간다면 그것만으로도 충분하다며 다독여주는 것만 같다.
다양한 요가 동작들을 글과 그림으로 소개하고 동작에 얽힌 유래 등을 풀어내는 대목에서는 작가가 얼마나 요가에 ‘진심’을 다하는지 느낄 수 있다. 그래서인지 책을 읽다 보면 풀어진 몸을 고쳐 앉게 되고, 느슨해진 마음을 다잡게 된다. 오랜 시간 수련을 거치며 몸과 마음이 단단해져서일까. 작가의 문장에서 뿜어져 나오는 기운이 견고하고도 유려해서 때론 그 문장에 기대고 싶은 마음마저 든다. 지치고 힘든 하루, 몸과 마음에 이완이 필요한 순간에 이 책을 만난다면 당신은 참 운이 좋은 사람일 것이다.
그럴 때마다 내가 붙든 건, 오직 믿음이었다. 오늘은 미약해도, 내일은 조금 나아질 거라는 믿음. 달리 뾰족한 방법은 없었다. ‘느리게 나아가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고, 멈추는 것을 두려워하라.’ 그 말을 품고 콩나물에 물을 주듯, 매일 수업에 나갔다. 콩나물시루에 물을 부으면 한 방울도 고이지 않고 모두 흘러버리는 것만 같다. 그렇게 물을 주면 도무지 자랄 것 같지 않은데 매일 거르지 않고 주다 보면 어느새 콩나물이 자란다. 하루하루는 티 나지 않지만, 보이지 않는 곳에서 변화는 자란다. 콩나물이 자라듯, 가랑비에 옷 젖듯, 몸에 믿음이 스며들었다. 그렇게 발목 아래 받친 담요를 조금씩 낮춰갔다.
‘가장 빠른 길은 바른길’ 중
“과거를 애절하게 들여다보지 마라. 다시 오지 않는다. 현재를 현명하게 개선해라. 너의 것이니. 어렴풋한 미래를 나아가 맞으라. 두려움 없이.” 19세기 미국의 시인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우의 말이다. 미래에는 언제나 예측을 벗어난 일들이 도사리고 있다. 그에 따른 두려움도 자연스레 생기기 마련이다. 중요한 것은, 미래를 두려워하느라 현재를 잃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미래는 언제나 불확실하지만, 과거에 대한 미련을 버리고 현재를 현명하게 살아갈 용기를 내야 한다. 지금 내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내 안에서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지 깊이 들여다보는 시간을 가진다면 분명히 현재를 현명하게 개선할 수 있다. 자신에게 집중하는 시간, 외부의 기준과 기대에서 벗어나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시간은 결국 우리가 더 강하고 지혜로운 사람으로 성장하는 밑거름이 된다. 지금의 나에게 최선을 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렇게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가다 보면, 허물을 벗고 자란 뱀처럼 어느새 더 강해지고 넓어진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허물을 벗고 새롭게 태어나다’ 중
몸을 움직여 마음 밭을 간다. 끊임없이 자라나는 잡초를 솎아내고 땅을 갈고 고른다. 그렇게 카르마가 쌓여 단단해진 마음 밭을 비옥한 농토로 바꾼다. 쟁기질로 부질없는 후회와 미련, 헛된 욕심, 괴로운 집착 같은 부정적인 생각을 뽑아낸다. 어제가 어떠했든, 내일이 어떠하든 지금 여기에서 행하는 이 수련 자체에 집중한다. 어떠한 집착이나 기대 없이, 이 순간 내 몸과 마음을 잘 돌보는 것만으로도 내 삶을 충만하게 만들 수 있다.
‘마음의 밭을 갈다’ 중
목차
들어가며 9
십 년 만에 다시, 요가를 만났습니다
1. 첫 만남, 사소한 이유로 시작된 운명 15
2. 평생 안 걸을 생각이었어요? 21
3. 가장 빠른 길은 바른길 28
4. ‘YES’의 힘 34
5. 여전히 잘 안될 수도 있다 41
6. 마음 편히 외출할 수 있게 되었다 50
도전은 필요하지만, 욕심은 화를 부릅니다
1. 요가하기 좋은 몸, 나쁜 몸 61
2. 해 보지 않고서는 모른다 68
3. 일일우일신, 날마다 리즈 갱신 77
4. 일상이라는 수레바퀴 85
5. 꿈의 아사나 94
6. 과유불급, 욕심은 화를 부른다 100
현재를 받아들이는 순간, 다음 여정이 시작됩니다
1. 마음이 마음에게 112
2. Simple is the best 120
3. 덜어내기 130
4. 중력을 거스르는 해방감 138
5. 호흡에 몸을 맡기면 146
6. 한쪽 문이 닫히면 다른 쪽 문이 열린다 153
나만의 속도와 방향으로 나아갑니다
1. 알파이자 오메가 166
2. 허물을 벗고 새롭게 태어나다 174
3. 토대부터 단단하게 181
4. 마음의 밭을 갈다 190
5. 연꽃은 진흙 속에서 피어난다 198
6. 나는 나로 빛난다 206
7. 다시, 중심을 잡다 213
지금, 여기에서 내 안의 나를 만납니다
1. 가슴을 열면 마음이 열린다 222
2. 몸은 활, 아사나는 화살 230
3. 언제나 균형을 잡을 수 있다면 237
4. 자유롭고 당당할 수 있다 244
5. 인생은 퍼붓는 빗속에서 춤추는 것을 배우는 것 253
6. 내 안의 나를 만나다 261
7. 나마스테, 당신 안의 신께 경배합니다 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