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겉으로 드러나는 강한 모습 이면에 크고 작은 상처를 안고 있다. 경찰이라는 갑옷을 걸치고 있지만 그들 역시 우리와 같은 인간이고, 직무상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트라우마로 힘들어하면서도 누구보다 책임감이 강하다. 자신보다 다른 사람을 더 걱정한다. 이 책은 경찰관이라는 특수한 업무로 인해 자신의 상처를 내보이길 꺼리는 이들이 자신이 겪은 끔찍한 이야기나 고통과 압도감을 따뜻하게 나누고, 그 과정을 통해 가려져 있던 자신의 고유한 가치, 의미와 연결될 수 있도록 돕는다.
출판사 리뷰
강한 모습 이면의 크고 작은 상처
경찰은 까다로운 업무를 하는 직종으로
그들에게는 심리적인 힘과 자원이 있다마음동행센터를 이용하는 경찰관 수는 매년 늘고 있지만 전체 경찰관 인원에 비하면 이용 인원은 물론 상담 인력이 적고, 아직도 갈 길이 멀다. 강인한 경찰관이라는 직업적 정체성, 경직된 조직문화, 낙인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인해 여전히 상담이나 치료에 선뜻 나서지 못하는 경찰관도 여전히 많을 것이다. 《우리 곁의 경찰관》은 업무로 인한 정신적 상처와 트라우마에 시달리면서도 정작 심리 안정을 위한 상담을 받지 못하거나 심리 안정이 필요한 경찰관들을 위한 책이다.
경찰관들을 만나면서 겉으로 드러나는 강한 모습 이면에 크고 작은 상처와 부드러운 부분이 있음을 발견한다. 때로 상처가 클수록 더 강한 모습으로 무장하기도 하는데, 표면의 딱딱한 갑옷은 자신을 보호하려는 시도다. 상담으로 만난 모든 경찰관이 내게 많은 것을 가르쳐주었다. 트라우마로 힘들어하는 그들은 대부분 책임감이 강했고, 때로는 자신보다 다른 사람들을 더 걱정한다.
마음동행센터 송지연 책임상담사가 쓴
경찰관의 마음 건강을 위한 심리 상담경찰관은 까다로운 업무를 하는 사람들로 심리적인 힘과 자원이 있다. 그런데 법적 문제, 생사 문제를 다루기 때문에 다른 직종의 사람들과 그 일에 관한 이야기를 잘 나누기 어렵다. 일에서는 개인의 감정을 억눌러야 하므로 남들과 감정을 나누기는 더 어렵다. 그런 경찰관에게 심리상담사는 끔찍한 이야기나 고통과 압도감을 안정적으로 나눌 수 있는 대상이 된다. 직업적 특성을 이해받는다고 느끼면 치료적 동맹을 맺고 마음을 열 가능성이 커진다. 경찰관 심리 상담을 다룬 이 책으로 고통의 이야기를 안전하게 나누고, 그 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 가려져 있던 개인 안의 고유한 가치, 의미와 연결될 수 있기를 바란다.

경찰관들은 참사 앞에서 “경찰관이라는 직업을 가졌기 때문에 강인해야 한다. 스스로 감당해야 한다”, “피해자나 유족에 비하면 나의 어려움은 별 것 아니다. 드러내면 안 된다”라는 등 주관적인 고통을 지나치게 개인화하고 축소하는 경향을 보이기 쉽다. 물론 직업적인 책임감, 스스로 이겨내고자 하는 통제감과 같은 특성이 어려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힘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과도할 때는 이 때문에 주변 사람이나 전문가와 마음을 나누고 필요한 도움을 받지 못할 수 있다.
이미 사건이 일어난 후에 돌아볼 때는 그때 대처할 수 있었던 것들을 떠올릴지 모른다. 그러나 사건이 일어나는 동안에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어서 제한된 정보 속에서 대처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 설령 무언가를 놓쳤다고 해도 개인의 잘못으로만 보기는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신의 존재가 잘못인 것처럼 해석하는 것은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송지연
경찰병원 마음동행센터 책임상담사로 경찰 직원들을 위한 상담 및 심리치료를 하고 있으며, 서울디지털대학교 군경소방상담학과 겸임교수로 경찰 상담 강의를 맡고 있다. 임상심리전문가이자 정신건강임상심리사이며 공인 EMDR 치료자, 공인 감각운동심리치료자다. 고려대학교에서 심리학을 공부했고, 가톨릭대학교에서 임상심리학 석사를 졸업하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성안드레아병원 임상심리 수련과 성남시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센터 정신건강 전문요원으로 활동했다.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수련을 마치고 근무하던 중 경찰트라우마센터라는 이름의 심리 지원 기관이 문을 열 때부터 지금까지 경찰관 심리 상담을 하고 있다. 경찰 전문지 《수사연구》에 〈송지연의 트라우마 상담소〉라는 이름으로 경찰관 심리 상담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목차
들어가는 글
1장_누가 나를 지켜줄까
직업적 긍지 안에 숨은 상처
기억의 재구성
내가 그 일을 겪은 것처럼
애도하는 마음
고통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지친 나와 동료를 돌아볼 때
2장__경찰관도 사람이다
누가 이 마음을 보듬어줄까
민원인보다 내부인이 힘들다면
완벽주의와 자기 의심
내 속에는 내가 너무도 많아
트라우마 치유의 시작
마음챙김으로 나와 마주하기
나는 혼자가 아니다
역경 후에 오는 것들
3장_ 함께여서 다행이다
무엇에 몰두하고 있는가
오늘도 욱하셨나요
배터리가 소진되었습니다
잘 자는 것도 능력이다
끊을 수 없다면 인정하라
나는 잘 해왔고 잘할 것이다
문은 언제나 열려 있다
가까워서 어려운 관계
우리에게는 무지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