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시대가 어긋났다. 산불은 삶의 터전을 삼키고, 기후 위기와 인공지능의 지배가 일상을 흔들고 있다. 인간을 지구의 주인이라 믿던 근대의 세계관은 이미 붕괴했지만, 우리는 여전히 정지된 채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있다. 『얽힘의 윤리와 정치철학』은 이 어긋난 시대를 진단하며, 강과 바다, 나무와 미생물, 기계와 알고리즘까지 얽혀 있는 존재들의 목소리를 정치와 윤리의 중심으로 불러낸다.
어긋난 시대를 건너기 위해서는 분명 새로운 전환이 필요하다. 이 책은 포스트휴머니즘, 녹색 공화주의, 신유물론의 사유를 횡단하며 인간 중심주의를 넘어선 정치적·윤리적 패러다임을 제안한다. 윤리적 책임은 인간을 넘어 종과 세대를 가로지르며, 민주주의는 인간만의 제도가 아니라 모든 존재가 공존할 수 있는 삶의 예술로 재탄생한다. 『얽힘의 윤리와 정치철학』은 인류세라는 어둠 앞에서 정의롭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열어 갈 철학적 나침반으로 기능할 것이다.
출판사 리뷰
어긋난 시대에 건네는 철학의 응답,
모든 존재의 공존은 ‘얽힘’의 지평에서만 가능하다
인간은 더 이상 세계의 주인이 아니다!
근대적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얽힘’의 사유
시대가 어긋났다. 산불은 삶의 터전을 삼키고, 기후 위기의 그림자는 일상에 균열을 내고 있다. 인공지능과 알고리즘이 여론을 지배하는 ‘알고크라시’가 현실이 된 지금, 인류세라 불리는 시대는 기후와 생태뿐 아니라 정치와 사회마저 인간의 거대한 흔적에 흔들리고 있다. 기후 변화와 생태계 붕괴는 더 이상 미래가 아닌 현재의 일이지만, 우리는 어긋난 시대를 바로잡아야 할 운명 앞에서 정지된 채 서 있다.
『얽힘의 윤리와 정치철학』은 인간을 독립적 주체로 상정한 근대의 세계관을 넘어설 것을 요구한다. 철학자 박성진은 강과 바다, 나무와 미생물, 전기와 기계, 알고리즘까지 모든 존재가 얽혀 우리의 삶을 가능하게 했음을 일깨운다. 얽힘은 단순한 은유가 아니라 양자물리학, 행위자-네트워크 이론, 해러웨이와 브라이도티의 사유가 증언하는 실재이다. 이 새로운 형이상학은 근대의 환상을 걷어내고, 정의롭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열어 갈 철학적 토대가 된다.
포스트휴머니즘 × 녹색 공화주의 × 신유물론
얽힘 속에서 만나는 새로운 철학의 가능성
『얽힘의 윤리와 정치철학』은 인간과 비인간의 공존을 요청하는 포스트휴머니즘의 문제의식, 생태적 민주주의를 모색하는 녹색 공화주의의 비전, 그리고 물질과 사유의 관계를 다시 묻는 신유물론의 통찰을 한데 불러 모은다. 각각의 사유는 서로 다른 지평에서 출발했지만, 이 사상들 모두 ‘얽힘’이라는 현실 조건 속에서만 생존과 정의를 논할 수 있다고 본다. 저자는 이들 사유의 접점을 찾아내고 유기적으로 통합함으로써 인간 중심주의를 넘어선 새로운 정치적·윤리적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물론 이런 통합적 사유는 단순한 이론 조합에 그쳐선 안 된다. 도리어 이는 인류세라는 위기의 시대에 불가피하게 요구되는 철학적 전환이라 할 수 있다. 포스트휴머니즘은 인간의 특권을 해체하고, 녹색 공화주의는 인간과 생태 공동체의 민주적 질서를 상상하며, 신유물론은 인간/비인간 그리고 정신/물질 사이의 경계를 허물고자 한다. 따라서 얽힘 속에서 통합되는 이 사유들은 인류세라는 어둠을 건너게 하는 길잡이 역할을 한다.
인간을 넘어선 책임의 지평,
윤리의 새로운 조건을 사유하다
얽힘의 세계를 직시하는 순간, 우리는 윤리를 근본에서부터 다시 쓸 수밖에 없다. 오늘날 기후 위기의 피해가 가장 취약한 공동체와 생명에게 먼저 집중되고 있는 현실은, 기존 윤리학이 담아내지 못한 불평등과 고통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저자는 도덕적 행위자를 독립된 개인으로 보던 전통적 관점을 넘어 이를 얽힘의 관계 속에서 구성되는 존재로 재개념화한다. 우리의 선택과 행동은 언제나 얽혀 있는 관계망을 통해 파급 효과를 낳으며, 그 결과는 인간 사회를 넘어 생태계 전체로, 나아가 미래 세대로까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윤리적 책임은 단순히 ‘인간 대 인간’의 관계를 넘어 ‘종 간 정의’와 ‘세대 간 정의’를 포괄해야 한다.
저자는 이런 관점을 토대로 새로운 윤리학의 틀을 모색한다. 포스트휴머니즘과 신유물론적 사유를 바탕으로, 윤리는 인간의 예외성을 전제로 하지 않고 모든 존재의 상호 연관성을 인식하는 방향으로 확장된다. 인공지능과 생명공학이 인간 존재의 경계를 흔드는 시대에, 얽힘의 윤리학은 기술을 단지 도구로 보지 않고 인간과 더불어 책임을 나눠서 지는 행위자로 본다. 나무와 강, 미생물과 기계, 데이터와 알고리즘까지도 윤리적 고려의 대상이 된다.
민주주의에 대한 새로운 규정
‘인간을 넘어 모든 존재의 공존으로’
기존의 정치철학이 보지 못한 것은 얽혀 있는 수많은 존재들의 목소리였다. 민주주의는 더 이상 인간 사회만의 제도가 될 수 없으며, 비인간 존재들의 권리와 이해관계까지 반영해야 한다. 저자는 ‘인간 너머의 민주주의’라는 개념을 제시하면서 기후 위기와 기술 혁명의 시대에 정치적 대표성과 거버넌스를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한다. 숲과 강, 동물과 기계, 인공지능과 데이터까지 정치적 주체로 고려해야 한다는 이 책의 급진적 주장은 기존 정치철학의 경계를 근본적으로 뒤흔든다.
특히 저자는 얽힘의 정치철학이 단순한 이론적 전환이 아니라 지금 여기에서 불가피하게 요구되는 새로운 삶의 방식임을 강조한다. 근대 정치가 개인의 소유와 주권을 중심으로 짜여 왔다면, 얽힘의 정치철학은 공유와 협력 그리고 인간과 비인간 존재들이 맺는 연대를 토대로 다시 짜여야 한다. 숲과 강, 동물과 기계, 인공지능과 데이터까지도 더 이상 배경이 아니라 정치적 행위자이며, 그들의 권리와 이해를 고려하지 않는 민주주의는 설득력을 잃는다. 이러한 전환은 곧 새로운 민주주의의 탄생이며, 정치는 얽힘 속에서 권력의 기술이 아닌 공존의 예술로 자리매김한다.
포스트휴머니즘은 하나의 이론이기보다는, 하나의 감각이자 태도이며 시대의 흐름에 대한 응답이다. 인간은 이제 더 이상 세계의 중심이 아니다. 그리고 바로 그 지점에서, 우리는 비로소 세계와 함께 살아갈 수 있다. 존재와 존재 사이의 경계가 무너지고, 새로운 연대의 지평이 열린다. 포스트휴머니즘은 우리에게 말한다. 인간을 잊으라고. 아니, 인간만 생각하지 말라고. 그 너머를, 그 사이를, 그 연결을 사유하라고 말한다. 이것은 인간의 사유에서 세계의 사유로, 중심에서 얽힘으로, 고립에서 공존으로 향하는 하나의 전환이며, 우리 시대의 가장 절박한 철학적 제안이다.
(1장 포스트휴머니즘, 인간 이후의 인간)
‘비지배로서의 자유’라는 신로마 공화주의의 이상은 우리에게 환경 정의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 이 개념은 오염과 환경 파괴가 어떻게 자의적인 지배로 구성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게 하며, 특히 소외된 공동체와 비인간종에 대한 생태적 폭정과 폭력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제도적 보호 장치를 마련하게 해 줄 수 있다. 그리고 녹색 공화주의라는 개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것이 초국가적, 즉 지구적 민주주의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는 사실이다. 다시 말해, 공화주의의 원칙을 전 지구적으로 확장하여 국경을 초월하면서도 인민과 생명 주권 그리고 비지배의 이상을 구현하는 환경 거버넌스를 만드는 것에 중점이 있다.
(2장 녹색 공화주의)
아침에 이슬이 맺혀 빛나는 거미줄처럼, ‘얽힘’은 포스트휴머니즘, 녹색 공화주의, 신유물론의 다양한 가닥을 하나의 반짝이는 이론적 틀로 엮어 낸다. 이 통합은 해러웨이의 ‘촉수적 사고’와 함께 인간과 비인간, 물질과 의미, 자연과 문화 사이의 경계를 넘어 복잡하고 혼란스러우며 상호 연결된 그물망 속에 던져진 모든 존재자들을 포용한다. 통합에 대한 이러한 접근 방식은 바라드가 ‘간-행’, 즉 얽혀 있는 기관들의 근본적인 분리 불가능성을 인정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기존의 개별 행위자 간의 전통적인 상호작용과 달리, 간-행은 산호충이 폴립이라고 하는 수많은 촉수를 이용해 동물성 플랑크톤 등을 잡아먹고 다시 산호초를 형성해 해양생물의 서식을 돕는 공생의 생활처럼, 개체가 관계를 통해 생겨난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다. 이러한 존재론적 전환은 기관, 윤리, 정치 조직을 개념화하는 새로운 방식이다.
(4장 교차점과 긴장)
작가 소개
지은이 : 박성진
인하대학교 철학과에서 ‘니체의 정치철학’ 연구로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새로운 자유주의(New Liberalism)’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광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에 재직 중이다. 한국 사회에서 정치철학자로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지만 늘 해답을 찾지 못하고 있다. 미래 사회의 정치적 주체인 ‘포스트데모스(Postdemos)’와 ‘고통과 공포의 민주주의’ 그리고 ‘인공지능과 정치신학’이라는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기술 혁명과 기후 위기 시대의 정치와 정치적 주체 그리고 절망이 고여 있는 공간에서의 민주주의에 대해 고민 중이다.지은 책으로 『현대철학 매뉴얼』(2023, 공저),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2021, 공저), Dialectic of Digital Enlightenment: Reclaiming Radical Philosophy for Our Times(2025, 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AI 시대의 정치이론』(2024)이 있다. 대표 연구로는 「포스트휴먼과 포스트데모스」(2022), “Theodor W. Adorno,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emocracy in the Postdigital Era”(2023),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Generative AI: Aura, Liberation, and Democratization”(2024), “Librealism’s Boundaries in Addressing the Climate Crisis: Insights from Domenico Losurdo and Posthumanism”(2024), “Artworks as Agential Forces: a New Materialist Discourse on the Aesthetics”(2025) 등이 있다.
목차
프롤로그: 견고한 모든 것들의 무너짐 5
제1부 이론적 토대―얽힌 사유의 토대 마련하기
1장 포스트휴머니즘, 인간 이후의 인간 23
2장 녹색 공화주의: 생태적 시민으로의 전회 44
3장 신유물론: 물질과 행위에 대한 새로운 성찰 61
4장 교차점과 긴장: 포스트휴머니즘, 녹색 공화주의, 신유물론 종합하기 77
제2부 얽힘의 형이상학
5장 얽힌 세계 95
6장 얽힌 형이상학의 기초 106
7장 실체를 넘어서: 실체의 붕괴와 시공간 116
제3부 얽힘의 윤리학
8장 도덕적 행위자의 재개념화 131
9장 인류세 그리고 새로운 윤리학 146
10장 기술, 윤리학 그리고 포스트휴먼의 조건 162
제4부 얽힘의 정치철학
11장 인간 그 너머의 민주주의 187
12장 정의, 권력 그리고 존재의 정치학 199
13장 공유와 집단 소유권: 사유재산, 자원 그리고 디지털 얽힘 213
14장 얽힘의 정치철학과 자유 230
에필로그: 긴 밤의 끝, 희미한 새벽 247
참고문헌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