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경제,경영
인재경영 2025.8 이미지

인재경영 2025.8
위크루트(월간지) | 부모님 | 2025.08.01
  • 정가
  • 14,000원
  • 판매가
  • 12,600원 (10% 할인)
  • S포인트
  • 700P (5% 적립)
  • 상세정보
  • 21x27.5 | 0.205Kg | 108p
  • ISBN
  • 9771739886005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위크루트는 인재 선발에서부터 육성·평가·보상 등 HR 전 부문을 심도 있게 다룬 인사·교육 전문지 『월간 인재경영』을 발행한다. 월간 인재경영은 학계 전문가의 이론과 업계 전문가의 경험, 심층 취재한 현장의 사례 등을 생생하게 전달함으로써 기업의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인재경영의 지침서’가 되고자 한다.정권이 바뀔 때마다 노동 정책의 기조가 달라져 왔지만, 이번 이재명 정부의 노동정책은 노동시장 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려는 점에서 이전과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특히 새 정부가 강하게 드라이브 걸고 있는 정년 연장, 주 4.5일 근무제, 포괄임금제 금지, 특수고용직의 근로자 인정, 연차휴가 확대 및 저축제 도입 등은 HR 실무와도 밀접하게 연결돼 있는 만큼, 기업의 빠른 이해와 준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번 특집에서는 새 정부의 노동정책 방향을 면밀히 짚어보고, 기업이 중장기적으로 어떤 전략적 스탠스를 취해야 할지 그 해법을 모색한다.

  출판사 리뷰

『월간 인재경영』은 HR 환경 변화에 주목합니다
위크루트는 인재 선발에서부터 육성·평가·보상 등 HR 전 부문을 심도 있게 다룬 인사·교육 전문지 『월간 인재경영』을 발행합니다. 월간 인재경영은 학계 전문가의 이론과 업계 전문가의 경험, 심층 취재한 현장의 사례 등을 생생하게 전달함으로써 기업의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인재경영의 지침서’가 되고자 합니다.

특집 : 새 정부의 노동정책 방향과 기업의 과제
정권이 바뀔 때마다 노동 정책의 기조가 달라져 왔지만, 이번 이재명 정부의 노동정책은 노동시장 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려는 점에서 이전과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특히 새 정부가 강하게 드라이브 걸고 있는 정년 연장, 주 4.5일 근무제, 포괄임금제 금지, 특수고용직의 근로자 인정, 연차휴가 확대 및 저축제 도입 등은 HR 실무와도 밀접하게 연결돼 있는 만큼, 기업의 빠른 이해와 준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번 특집에서는 새 정부의 노동정책 방향을 면밀히 짚어보고, 기업이 중장기적으로 어떤 전략적 스탠스를 취해야 할지 그 해법을 모색한다.

COVER STORY(이달의 인물) : 배재훈 한국코치협회 회장
맥킨지의 조사에 따르면, 조직문화를 바꾸려 시도한 기업 중 70% 이상이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패의 주된 원인은 조직문화를 개선하고자 했음에도 전략, 리더십, 조직 구조를 같이 통합해 다루지 못했기 때문으로, 특히 조직문화와 리더십이 얼라인(Align)되지 않은 경우를 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쉽게 말해 말랑한 조직문화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면서 실제로는 이와 반대되는 지시, 통제형의 경직된 사람을 리더의 자리에 세운 경우로, 사실상 이는 ‘변화하지 않겠다’라는 메시지를 구성원들에게 던져주는 것과 다름없다. 많은 기업들이 조직문화 개선을 고민하면서 코칭에 주목하는 이유로, 배재훈 한국코치협회장 또한 피터 드러커(Peter F. Drucker)의 “조직문화는 전략을 아침 식사로 먹는다.”라는 워딩을 인용하며 “조직문화는 그 어떤 경영전략보다 우선하며, 이를 진정으로 바꾸고자 한다면 리더의 변화 즉, 리더가 코칭을 품었을 때 변화가 가능하다.”라고 강조했다. 조직문화 개선의 출발점이자 실질적인 동력이 코칭에 있음을 역설한 것으로, 대한민국 코칭 문화 확산에 앞장서고 있는 배 회장과의 인터뷰 시간을 들여다본다.

POWER INTERVIEW : 장민석 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인재선발팀 팀장
『유능한 관리자(First, Break All the Rules)』라는 책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탁월한 성과를 거둔 매니저 4,000명을 대상으로 놀라운 성과를 거둔 비결을 조사한 결과를 정리한 책으로,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그들은 어떻게 해서 남들과 다른 성과를 내었을까? 비전을 제시했을까? 동기부여를 했을까? 결과는 의외로 싱겁다. 이들은 하나같이 채용에 가장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했다. 어떻게 하면 좋은 사람을 뽑을까 연구하고 뽑은 후에는 그들이 조직을 떠나지 않도록 신경을 썼다. 한국을 넘어 ‘글로벌 게임 제작의 명가’로 위상을 높이고 있는 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성공 이면에도 이 같은 ‘인재경영’이 자리한다. 장민석 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인재선발팀 팀장은 “핏(Fit)한 인재를 선발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며 “우리 조직에 적합한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계속해서 평판조회 등 검증작업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POWER INTERVIEW : 이상현 한화오션 HR실 실장
한화오션이 새로운 도약을 위한 대항해에 나섰다. ‘Global Ocean Solution Provider’를 비전으로 내걸고, 단순한 선박 제조를 넘어 해양·에너지 산업의 미래를 설계하는 종합 솔루션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계획이다. 이상현 한화오션 HR실장은 “LNG·LPG선·VLCC·FPSO·잠수함·구축함 등 고부가가치 선박을 넘어, 그룹의 에너지·케미칼·방산 역량과 시너지를 내며 해상풍력, 수소·암모니아 밸류체인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며 “HR 부문 역시 해양에너지 생태계를 선도하는 조직으로 거듭나기 위해 체질을 바꾸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누적적자 4조 이상의 기업을 인수 2년 만에 흑자로 전환시킨 한화오션. 사람과 조직을 바꾸는 HR의 힘이 기업의 미래를 어떻 게 바꿀 수 있는지를 증명한 그들의 담대한 여정을 따라가본다.

SPECIAL TALK : 김도영 『기획의 말들』 저자, 네이버 브랜드 기획자
하루 동안 얼마나 많이 읽고, 쓰고, 말할까? 나와 지인 또는 세상의 모든 시시콜콜한 이야기도 있고, 무덤덤하게 또는 치열하게 대면하는 일터에의 말들도 하루가 부족하리 만큼 넘쳐난다. 공기처럼 우리에게 주어진 언어의 권리는 이처럼 흔하고 당연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상에서 그 소중함을 모르고 지나친다. 하지만 글을 읽지 못하거나 말을 할 수 없는 환경에 처한 사람, 누군가의 말 한마디에 하루가 변하고 인생이 새로워진 경험을 한 사람, 말로 인해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받은 사람은 ‘말의 힘’이 얼마나 극적이고 위대한지를 잘 알고 있다. “말 한마디에 천 냥 빚을 갚는다”는 속담은 그저 명언이 아니라 생각하는 존재 누구에게나 현재진행형인 과제라 하겠다. 말로 빚을 지는 사람이 되기보다, 이토록 경제적인 자산으로 빚을 청산하거나 오히려 돈을 벌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김도영 작가는 국내 대기업에서 13년째 근무하며 브랜드 기획자로 바쁜 나날을 보내는 중에도 ‘말의 힘’을 기르기 위한 노력을 이 어가고 있다. 주변과 세상의 말들을 경청하고 다듬어 온전히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과정을 통해 일과 삶을 성장시켜 나가는 사람. 그는 ‘좋은 팔로워십을 가지고 다른 사람의 생각을 따라가 볼 것’을 권한다. 당신이 누군가의 말로 성장하고, 또 누군가가 당신의 언어로 새로운 세상을 맞이할 수 있도록 말에 담긴 힘을 믿고 길러보자.

SPECIAL TALK : 황금두현 아베크뮤직컴퍼니(AVEC MUSIC COMPANY) 대표
창작(創作)은 무(無)의 영역에서 유(有)를 이끌어내는 인간만의 능력이라고 여기던 세상이, AI가 등장하며 뒤집어졌다. 이제 사르트르의 실존적 접근에 무게를 두어 “인간 스스로를 정의하는 행위”로서 다시 접근해야 한다. 즉, 세상이 고도화될수록 창작은 보다 직접적이고 능동적인 우리의 ‘자기 증명 활동’이 되는 것이다. 모두가 크리에이터가 되는 세상, 출판시장에 불었던 ‘너도나도 작가’ 바람, 유튜브가 만든 ‘1인 창작 생태계’에 이어, 이제는 음악도 판이 깔리고 있다. 컴퓨터 하나로 누구나 곡을 만들 수 있는 DAW(Digital Audio Workstation)와 AI 프로그램으로 모두가 작곡자가 될 수 있는 시대, 당신의 창작 욕구는 어떠한가. 대한민국에서는 노래 못하는 사람을 찾는 것이 더 어렵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음악에 대한 높은 관심과 열정, 실력까지 지녔기에 우리가 창작을 논할 때 늘 마음속에 품게 되는 영역이 바로 ‘음악’이다. 그러한 재능을 발견하고 실력으로 증명할 수 있도록 돕는 비즈니스가 바로 ‘실용음악 교육’, 아베크뮤직이 확장해 가는 음악 생태계이다. 황금두현 아베크뮤직컴퍼니 대표는 다수의 히트곡을 보유한 작곡가이자 국내 최고 온·오프라인 실용음악 교육 기업을 이끌고 있다. 우리의 재능을 실력으로 변모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음악 교육 시스템을 바탕으로 “K-뮤직 교육의 글로벌 스탠다드를 만들겠다”고 포부를 밝힌 그를 만나 이야기 나누었다.

  목차

FOCUS ON
작은 습관이 만드는 큰 차이_ 전성열 편집장
지금 회사는 구조조정 중!_ 김광희 협성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직장 내 세대 차이에 대하여_ 장재윤 서강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조직심리학 전공)
공부는 현실부정이다_ 백진기 한독 대표이사

COVER STORY
조직문화를 개선하는 가장 강력한 방법,‘코칭’을 품어라!_ 배재훈 한국코치협회 회장
POWER INTERVIEW
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HR, 철저한 검증으로 글로벌 성장 이끄는‘핏(Fit)’한 인재 확보에 전력_ 장민석 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인재선발팀 팀장
한화오션, 다시 돛을 올리다!_ 이상현 한화오션 HR실 실장
SPECIAL TALK
당신의 ‘말에 담긴 힘’으로 일, 삶, 세상을 기획합니다_ 김도영 『기획의 말들』 저자, 네이버 브랜드 기획자
아베크뮤직, K-뮤직 교육의 글로벌 스탠다드를 만들겠다!_ 황금두현 아베크뮤직컴퍼니(AVEC MUSIC COMPANY) 대표

SPECIAL REPORT
이재명 정부의 노동정책 방향과 기업의 대응 전략_ 박현제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
새 정부의 정책 방향과 기업의 과제 : “장관이 바뀌면 정책이 바뀐다”_ 송한상 머서코리아 부사장
주 4.5일제 도입 가능성에 대비한 기업의 대응 전략_ 김진술 KAYEN 대표(미국변호사, 공인노무사)
정년 연장에 대비한 기업의 준비 과제_ 박준우 노무법인 인재경영컨설팅 대표
포괄임금제 금지 영향과 기업의 대응 방안_ 박상현 삼정KPMG Sr. Manager
이재명 정부의 정책기조와 노동정책의 과제_ 유정엽 한국노총 정책1본부 본부장

GLOBAL REPORT
전쟁이 바꿔놓은 HR 제도 : 역사적 전쟁과 제도적 변화_ 이재진 영국 리즈대학교 연구교수
일본의 연금개혁, 한국에 주는 교훈은?_ 김명중 닛세이기초연구소 상석연구원(아시아대학 도시창조학부 특임준교수)
AI 시대, 실리콘밸리는 어떻게 인력을 재편성하는가_ 이피어나 Pinterest People Research Scientist

STUDY ON
[ BEST PRACTICE ]

시총 4조 달러의 기적 만든 꾸역꾸역의 힘- 계획보다 실행, 완벽보다 피벗: 엔비디아의 조직근육_ 정혜진 서울경제신문 기자
가장 오래도록 가치관을 유지하고 있는 기업, Our Credo의 존슨앤드존슨_ 정진호 경기대학교 AI컴퓨터공학부 겸직교수(가치관경영연구소 소장)

[ CASE STUDY ]
S사 성과 기반 보상체계 정립을 위한 인사제도 개편_ 조다원 티엔에프컨설팅 주임
주 4.5일제, 우리 회사에 맞는 최적의 HR 솔루션은?_ 김민수 EY컨설팅 People Consulting 파트너 박연경 EY컨설팅 People Consulting 매니저

[ HR STUDY ]
인사담당자가 본 K-POP 데몬 헌터스- 해외에서 열광하는 ‘한국적 요소’들을 기업도 활용하자!_ 엄명섭 트리피 대표이사
어쩌면 해피엔딩: 영리한 현지화 전략이 통했다 _ 이호석 SK에코플랜트 구매협력팀 프로
불확실성 넘는 조직 성장 엔진,‘신뢰’기반의‘의미 있는 일터’- 한동대·월간 인재경영, ‘사람 중심 인재경영 포럼’ 성료
경업금지의무 / 포괄임금제_ 임충수 노무법인 다울 대표공인노무사

SENSE OF
김기자의 교양 한 잔
건강
서가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