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백일
전 울산과학대 교수
지은이 : 나원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거시경제학 전공으로 경제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신용평가(주) 선임연구원 및 SK텔레콤 경제연구실 수석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경북대학교 경제통상학부 교수이다.
지은이 : 장창준
한신대학교 통일평화정책연구센터 센터장전남 신안군 하의도. 김대중 전 대통령과 같은 섬에서 태어났다. 아홉 살 때 상경했으니 서울사람이라고 해야겠지만, 바닷가에만 가면 가슴이 트이는 천상 섬사람이다.건축학과를 졸업하고 찾은 곳은 건축 현장이 아니라 북한학, 국제관계학 대학원이었다. 한반도의 통일과 외교를 설계하고자 한 선택이니 전과(轉科)보다는 전공 심화라고 해야 할 것이다. 한반도는 삶의 터전이면서도 연구의 대상이다. 하여 공부는 쓰라림의 연속이었다. 식민과 전쟁 그리고 분단으로 점철되어 있던 한반도를 고통 없이 들여다볼 수 없었다.끊임없이 물었다. 왜 한반도는 아픈 시간을 겪어야 했는가? 한반도의 갈 길은 어디인가?첫 책을 세상에 내놓는다. 부끄럽다. 그럼에도 끊임없이 물을 것이며, 그 답을 세상에 내놓을 것이다.
지은이 : 주제준
한국진보연대 정책위원장. 한미FTA 저지 범국본, 광우병 대책위, 민중총궐기 투쟁본부, 백남기 농민 살인진압 대책위 등 수많은 대책위에서 정책과 기획을 담당했다. 덕분에 민중 승리의 대사서시 박근혜 퇴진촛불도 함께할 수 있었다. 박근혜정권퇴진비상국민행동에서 정책팀장으로 일하며 촛불과 함께한 모든 날이 행복했다. 1700만 촛불을 승리로 마무리하며, 퇴진촛불 백서 <박근혜정권 퇴진 촛불의 기록>도 함께 썼다. 시민사회운동의 큰 스승으로 오종렬 의장님을 1999년부터 가까이 보좌했던 인연으로 <오종렬 평전> 작업에 함께했다. 매 순간, 어려운 결단의 시기마다 성큼성큼 한발씩 내딛는 선구자이며 자주통일의 영원한 혁명가 ‘오종렬’을 그리려고 노력했다.
지은이 : 김성혁
민주노총 부설 민주노동연구원 원장
지은이 : 이수미
농업농민정책연구소 녀름 소장
지은이 : 전수진
종합법률사무소 이정 미국변호사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