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전순선 시인의 시집 『저 꽃구름을 접으면』은 겉으로 흘러내리는 정서가 아닌 안으로 스며들어 마침내 사무치는 속정에서 비롯된다. 마치 나뭇잎 끝에 매달린 물방울처럼 작고 둥글지만 그 안에 품은 빛은 결코 옅지 않다. 조용히, 그러나 깊이 빛나는 언어들이다. 전순선의 시는 사람을 향하지만 사람에게만 머물지 않는다. 그는 시인이라는 이름을 머리 위에 얹기보다 가슴 깊이 묻어두고, 인간의 마음을 지나 자연의 생명까지 따스한 숨결을 건넨다. 시인의 감각은 섬세하고 다정하다. 작디 작은 생물의 숨결, 미세한 계절의 결에도 온기를 불어넣는다.
출판사 리뷰
사람의 속정으로 빚은 시, 자연의 생명까지 어루만지는 시인의 노래
『저 꽃구름을 접으면』
전순선 시인의 신작 시집『저 꽃구름을 접으면』은 겉으로 흘러내리는 정서가 아닌 안으로 스며들어 마침내 사무치는 속정에서 비롯된다. 마치 나뭇잎 끝에 매달린 물방울처럼 작고 둥글지만 그 안에 품은 빛은 결코 옅지 않다. 조용히, 그러나 깊이 빛나는 언어들이다. 전순선의 시는 사람을 향하지만 사람에게만 머물지 않는다. 그는 시인이라는 이름을 머리 위에 얹기보다 가슴 깊이 묻어두고, 인간의 마음을 지나 자연의 생명까지 따스한 숨결을 건넨다. 시인의 감각은 섬세하고 다정하다. 작디 작은 생물의 숨결, 미세한 계절의 결에도 온기를 불어넣는다.
하늘의 꽃구름도, 촉촉한 봄비도 시인의 시선에서는 어머니의 형상으로 스며든다. 그것은 단지 회상의 언어가 아니라 세상의 모든 사소한 것들에 생명과 사랑을 부여하는 마음의 몸짓이다. 그는 묻는다. “어느 계절에 하소연하시겠습니까?”
그 물음은 곧 독자의 마음을 열게 하는 조용한 초대이다. 전순선의 시는 그리하여 한 송이 꽃이 된다. 눈에 보이지 않아도 마음속에서 오랫동안 피어 있는 그런 꽃이다.
이번 시집은 그리움의 결, 속정의 깊이, 시인의 온기가 조용히 어우러진 감동의 시집이다. 독자에게는 그 무엇보다 따뜻한 한 권이 될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전순선
-강원도 고성 출생-2005년 월간 『문예사조』 시 등단-한국문인협회 문학생활화 위원-한국시인협회 회원-한국현대시인협회 이사-경기도문협 저작권옹호위원장[수상]-제3회 아태문학작품상-제12회 백교문학상 우수상-제2회 한용운문학상 우수상(계관, 시 부문)-제31회 경기도문학상[시집]『별똥별 마을』, 『풀잎의 등』, 『직립의 울음소리』,『바람의 둥지를 찾아』, 『저 꽃구름을 접으면』
목차
책을 내며 … 4
제1부
첫눈이 시로 오는 날
꽃 숨처럼 … 14
들 꽃 … 15
이팝나무에 기적이 생긴다면 … 16
입 춘 … 17
저 꽃구름을 접으면 … 18
모래밭에 서 있는 여자 … 19
산들바람 삼태기로 담아와 … 20
열대야 … 22
에덴의 비 … 23
수락산 도토리 … 24
가을이 가을인 척 … 25
가을이 오는 소리 … 26
가을은 비밀 공유가 안 되는데 … 27
꽃피는 겨울밤 … 28
첫눈이 시詩로 오는 날 … 29
쌍화차 … 30
솜사탕 … 31
크리스마스트리 … 32
제2부
이젠 넘어지지 마
36 … 아버지의 담배
37 … 조각 이불
38 … 늦둥이
39 … 첫돌 사진
40 … 진부령 벚꽃
41 … 엄마의 몸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42 … 건봉사 불이문
44 … 둘이 살고 있는데
46 … 어버이날
47 … 내 옆지기
48 … 하늘을 날던 꿈 이야기
50 … 하필이면
51 … 그림자
52 … 이젠 넘어지지 마
54 … 인 생
55 … 호박 씨앗
56 … 허수아비의 기다림
57 … 바벨탑
58 … 입원실에서
제3부
물소리를 꺼내 봐
동창 칠순 여행 … 62
해운대 … 63
최후의 만찬 … 64
청풍호 … 65
어린 왕자의 기다림 … 66
문배마을 … 68
가사도 … 69
울돌목 1 … 70
울돌목 2 … 71
물소리를 꺼내 봐 … 72
동창회 … 73
우정의 변곡점 … 74
관악산 산행 … 75
공원 농구장 … 76
활기찬 언어 택배로 오다 … 77
사과 한 입 먹다가 … 78
철봉에 매달리며 … 79
지혜롭게 구별하는 사람들 … 80
우 산 … 81
제4부
뻐꾸기 울음소리
84 … 나무들의 밀서
85 … 시는 종교의 통로
86 … 대나무
87 … 노인과 개
88 … 마법의 별빛
89 … 어이타
90 … 금 간 항아리
91 … 저 희망찬 소리들
92 … 뻐꾸기 울음소리
93 … 망배단
94 … 시 계
95 … 사람의 두 꼬리
96 … 아메리카노
97 … 너무 일찍 왔나 봐
98 … 마늘밭
99 … 비닐우산
100 … 반려견 잠든 숲에서
102 … 어떤 물고기의 생
105 … 제5시집 축하 글(동두천 문협 역대 지부장)
124 … 전순선 시인, 문단 발자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