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강성열
서울대학교(B.A.),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Div.)과 대학원(Th.M./Th.D.)에서 공부했다. 현재 호남신학대학교 구약학 교수이며 생명의망잇기 협동조합 대표로 있다. 옮긴 책으로 『성서로 보는 결혼 은유』(성광문화사), 『현대인을 위한 창세기 강해』(한국장로교출판사), 『고대 근동 세계와 이스라엘 종교』(한들출판사), 『기독교 신앙과 카오스 이론』(대한기독교서회), 『강성열 교수의 구약 설교』(이레서원) 등을 썼으며, 『사해문서 1-4』(나남출판사), 『성전신학』(새물결플러스) 등이 있다.
지은이 : 이강학
서울대학교 기계설계학과(BS) 및 장로회신학대학교(M.Div.)를 졸업하였고, Graduate Theological Union (이하 GTU)에서 기독교 영성으로 석사 학위(M.A.)와 박사 학위(Ph.D.)를 받았다. 현재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실천신학과(기독교 영성,영성 형성,영성 지도)교수 및 기독교영성아카데미 디렉터로 섬기고 있다. 기독교영성고전학당 “산책길” 대표연구원, “한국영성지도협회” 영성지도 분과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여러 교회와 영성센터(프레즌스,에이레네 등)에서 영성지도 수퍼바이저로 사역하고 있다.저서로 《백 투 더 클래식》을 공저하였고, 《오늘부터 시작하는 영성훈련》을 책임 편집하였으며, 《영적 분별의 길》과 《영성 지도자를 위한 수퍼비전》을 번역하였다.
지은이 : 김종헌
부모의 서원기도로 목사가 되고자 하여, 1981년에 전남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했다. 그러나 철학을 공부하다가 사유와 인식의 폭이 확장되면서 신학의 길을 이탈하였다. 특별히 독일현대철학에 관심을 갖고 석사는 ‘마르틴 하이데거’(M. Heidegger), 박사는 '막스 쉘러(M. Scheler)의 철학적 인간학'에 관한 주제로 학위를 받았다. 그러다 인간과 문화의 깊은 연관성에 관심을 갖고 연세대학교 문화학협동과정(박사)에서 문화비평과 문화에 관한 질적 연구를 하였다. 전남대학교 교수로 있으면서 광주아시아문화중심도시에 관한 정책과 프로젝트들을 하다가, 하나님이 주신 거룩한 고난 앞에서 다시 나의 정체성을 깨닫고 호남신학교 신대원에 입학하여 목사가 되었다. 목사가 되어 ‘말씀이 삶(문화)이 되는 목회’를 비전으로 삼고 ‘로고스문화교회’를 개척하였다. 수도원적 영성을 핵심가치로 삼고 ‘말씀이 삶(문화)이 되고’, ‘삶이 말씀이 되는 교회’를 세워가는 사역을 하고 있다. 또한 ‘철학하는 목사’라는 이름을 갖고 인문학과 말씀을 연결하는 글쓰기와 강의를 하고 있다.논문은 「예수와 데리다」, 「인권과 주권의 철학」,「환대의 영성: 아브라함의 환대」,「감정의 신학: 긍휼을 중심으로」, 「이공: 케노시스의 삶의 미학」등이 있다. 저서는 『문화해석과 문화정치』, 『항쟁의 기억과 문화적 재현』(공저)등이 있다.
지은이 : 김미라
한국로고테라피연구소장
지은이 : 이재호
호남신학대학교 교수
지은이 : 김영선
루시아 수녀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