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2024년 12월, 한국은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이제는 단순한 고령화가 아닌, 사회 전체가 바뀌어야 할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오늘의 일본을 들여다보며, 내일의 한국을 준비해야 한다. 노인 인구의 증가는 단순한 숫자 문제가 아니다. 노동력 부족, 의료와 돌봄의 비용 상승, 연금 시스템의 불안, 도시의 노후화, 고령자의 고립 그리고 세대 간 갈등까지 다양한 영역과 연결된다. 초고령사회는 우리 모두의 삶의 방식을 다시 묻는다.노노 간병, 간병 살인, 개호 난민, 노노 상속 등 초고령사회로 인한 어두운 현실을 조명하였다. 기대수명과 출산율이 반비례 곡선을 보이고 있는 현재,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한국이 맞이하게 될 현실은 무엇인지 예측해 볼 수 있다. 일본은 전체 인구의 30%가 인지증 혹은 경도인지장애를 앓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인지증을 국민병으로 인식하고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일본에서 진행 중인 의료와 복지가 결합된 지역포괄케어 시스템과 창의적인 데이 서비스를 소개하였다. 일본의 사례를 통해 한국에 적용 가능한 사업을 모색해 보자.
작가 소개
지은이 : 김창규
노인복지·노인일자리 전문가로 그동안의 경험과 연구를 바탕으로 고령화 및 노인문제와 사례, 솔루션에 대한 강의와 함께 지역 언론에 꾸준하게 기고하고 있다. 대구 영남대학교 졸업대구대학교 문학석사(사회복지)영남대학교 행정학박사(사회복지전공)사회복지법인 함께하는마음재단 상임이사대구 중구노인복지관장지역 대학 사회복지과 겸임교수대구남구시니어클럽관장수성시니어클럽관장대구수성여성클럽·수성새로일하기센터 관장한국시니어클럽협회장한국노년학회부회장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사대구사회기업협회장대구사회복지사협회부회장대구사회복지협의회부회장저서《지역사회를 비즈니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