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예술,대중문화
서울체  이미지

서울체
서울을 건축으로 보다
디북(도서출판 디) | 부모님 | 2020.12.01
  • 정가
  • 32,000원
  • 판매가
  • 28,800원 (10% 할인)
  • S포인트
  • 960P (3% 적립)
  • 상세정보
  • 24x16 | 0.965Kg | 488p
  • ISBN
  • 9791195052967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한국 현대건축의 지리지 2권. 비교적 명확한 지리 문화적 특징을 보여주는 제주에서 지방의 특질을 확인한 후, 대한민국=서울이라는 등식이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는 현대건축에서 서울성이라는 특질을 추출해 낼 수 있다는 자신감을 확인한 저자가 본격적으로 써내려간 건축 지리지다.

이 책에는 부동산 공화국 대한민국 수도 서울의 건축물 수십만 채 중 서울의 특질과 관련한 11개의 키워드로 엄선한 140여 개의 건축 작품이 실려 있다. 11개의 키워드는 단번에 추출된 것이 아니라 1980년대부터 시작된 저자의 ‘서울의 건축’에 대한 기록에서부터 시작하여 수많은 피드백을 통해 40여 년 만에 완성한 것이다.

이 책은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평생을 한국 현대건축 연구와 평론을 해온 건축석학 박길룡 교수가 글을 쓰고 건축전문 사진작가 이재성의 건축사진으로 완성되었다.

  출판사 리뷰

‘제주체’에 이은 또 하나의 건축 지리지
건축석학 박길룡 교수의 ‘한국 현대건축의 지리지2’ 서울편.

건축을 통해 드러나는 도시의 시간과 공간을 이해한다면 서울은 보다 나은 도시가 될 것이다.

18세기 이중환의 택리지
20세기 유홍준의 나의문화유산답사기가 있었다면
21세기에는 박길룡의 한국 현대건축의 지리지가 있다.

서울체는 비교적 명확한 지리 문화적 특징을 보여주는 제주에서 지방의 특질을 확인한 후, 대한민국=서울이라는 등식이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는 현대건축에서 서울성이라는 특질을 추출해 낼 수 있다는 자신감을 확인한 저자가 본격적으로 써내려간 건축 지리지다.

이 책에는 부동산 공화국 대한민국 수도 서울의 건축물 수십만 채 중 서울의 특질과 관련한 11개의 키워드로 엄선한 140여 개의 건축 작품이 실려 있다. 11개의 키워드는 단번에 추출된 것이 아니라 1980년대부터 시작된 저자의 ‘서울의 건축’에 대한 기록에서부터 시작하여 수많은 피드백을 통해 40여 년 만에 완성한 것이다.

“서울에는 600여 년의 시간이 다채색 시루떡처럼 켜켜이 쌓여 있다”
한성 500년 경성 35년 서울 70년이라는 서울의 나이테에는 문명이 쌓인다. 그 시간이 600년쯤 되면 이제 낡은 것과 새 것이 섞여 보인다. 조선의 문물을 다시 찾고 근대적 자아를 가리며 현대의 궁극성을 모색하면서 나이테를 만들어 왔다.

“서울은 한반도의 허리에서 한강의 ‘수리水理’를 끼고 형성되며 하늘을 맴도는 ‘풍리風理’와 그 걸출한 북악에서 ‘지리地理’를 얻었다. 그것을 천혜라 하는가 보다.”
몽골과 왜의 전란으로부터 일제 경성을 지나 한국전쟁으로 쑥대밭이 되었다. 4.19, 5.16, 10.26 등 역사의 현장에서 몸을 그을리며 사회적 모순을 참아낸 600년이 넘는 수도였다. 도시정책의 난맥으로 몸은 상처투성이지만 한강이 있고 북한산이 있고 남산이 있기 때문에 버텼다.

“가장 앞에 있는 생각은 뒤를 알아야 한다. 그가 그 무리를 위한 길을 만들므로 새로워야 하고 전통을 튼실하게 할 책임이 선두에 있는 것이다.”
건축만으로 지역성을 알아보는 일은 어렵지만 서울이라면 해볼 만한 건축이 여렷 구현되었다. 그것은 기술적 승리이기도 하고 똑똑한 건축을 만드는 방법이며 건축의 새로운 해부학적 이해로 얻어진다. 그 중의 수선首善은 문화욕망을 건축으로 변환해 내는 일이다.

이 책은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평생을 한국 현대건축 연구와 평론을 해온 건축석학 박길룡 교수가 글을 쓰고 건축전문 사진작가 이재성의 건축사진으로 완성되었다.

■ 서울체는 제주체를 통해 건축에도 지방 고유의 색이 있음을 알린 박길룡 교수가 제주체에 이어 내놓은 현대건축의 지리지이다.

‘현대건축의 지리지’는 각 지역의 특질과 현대건축의 연관성을 찾아가는 지난한 작업이다. 현대건축의 지리적 특질은 필연적으로 땅의 역사와 지나간 시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시간의 축적 속에 자리한 지역 고유의 특질을 확인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저자는 21세기에 지방색을 찾는 것이 무모한 일이라는 것을 먼저 밝힌다. 이미 시간과 공간이 하나로 통합된 현대사회에서의 지리적 특징은 무의미한 것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일말의 희망을 잃지 않고 지방색 찾는 일을 계속 해 나가는 것은 각 지역이 갖고 있는 고유한 환경과 시간의 축적에 따른 특질이 남아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는 지리적으로 고립되었던 제주에서 확인한 바 있다. 나아가 600살이 넘은 서울이 갖고 있는 지리적 특징과 시간의 축적은 현대의 시간과 결합하여 새로운 서울성이 만들어 진다고 여긴다. 그 바탕에서 자라난 현대 건축의 특징을 찾는 것이 서울성인 것이다. 외계(저자의 표현)에서 온 건축가도 필히 서울의 환경을 무시하지 못한다고 확신하는 저자는 건축이 갖고 있는 주변 환경과의 관계에 주목한다. 넓게는 북한산과 한강, 좁게는 경복궁 등 전통과 관련된 맥락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이다. 이를 고려하면 서울의 현대건축은 과거의 고유의 특질에 현대사회가 만들어 낸 정치 경제 문화를 결합하여 탄생한 것이라고 밝힌다. 여기에 건축가 개인의 고유성이 더해진 결과가 ‘서율체’인 것이다.

이 책은 서울성에 주목하면서도 과거에 머물지 않고 현대가 이뤄낸 첨단기술에도 주목한다. 기술과 건축이 하나의 뜻이 되어 1980년대 이후의 하이테크 열었고 서울은 이를 받아들이는 선두에 서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기술은 건축의 개념 자체이며, 형태와 의미가 기술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건축가가 기술적이어야 기술 미학을 말할 수 있고 재료는 건축을 만들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표질表質로서 조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건축가는 그 물성物性의 이해를 넓히는 일이 형태를 빚는 솜씨보다 중요하다고 말한다. 또한 구조는 안전하게 서 있기 위한 기술이 아니라, 건축이 구사할 수 있는 몸과 센스의 세계라고 밝히고 건축은 다분히 우리 신체와 닮았다고 말한다. 피부, 근육, 뼈대, 내부 장기 등 구조가 그렇고, 먹고 소화하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얻는 신진대사가 그러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은 서울의 고유성이라기보다는 현대건축의 보편적인 특징이지만 서울이기 때문에 가질 수 있는 보편성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즉 정치 경제 문화가 집중된 수도이기에 가능한 것이라는 점, 여기에 자본이 집중됨으로써 나타나는 서울만의 현상이라고 말한다.

이 책은 아무리 시간이 흘렀어도 여전히 유전자로 잠겨 있는 지방성을 찾는 것은 문화적 다양성을 위한 것이라고 말한다. 140여 개의 건축으로 서울성을 밝히는 것이 무리였는지 몰라도 이 시대의 안경으로 ‘서울의 건축’을 정리한 것만으로도 충분한 의미가 있는 책이라고 확신한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현대 미술관은 미술을 전시하는 곳이 아니다. 미술관은 미술의 촉매이면 서 개별적 지식이면서 시대 의식을 연다. 국립현대미술관도 그동안 지속적으로 장르를 확장하며 내용과 수단을 넓혀 왔다. 우리가 향유할 미적 카타르시스를, 지식의 심원을, 사회적 발언을, 자칫 누추해질 우리의 삶을 일깨운다. 적극적인 미술관은 미술에 대꾸하는 것이 아니라, 미술의 개념을 진화시킨다. 그래서 국립현대미술관은 우리 시대 현대미술의 자신감이다.

윤동주문학관
건축 조형은 단아한 직방형의 구성에 백색이 지배한다. 사실 형태보다 하얀색은 그것만으로 수많은 수사를 이룬다. 순수하며 백의민족이 되고, 아무 것도 아닌 색이지만 어떤 색도 받아들이고, 모든 것의 배척이지만 빛에 가장 민감한 만큼 그늘과 음예陰?로 말한다. 그래서 하얀 색은 긴장하는 성질이 며 온통 슬프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박길룡
국민대학교 명예교수.국민대학교에 재임하는 동안 조형대학장, 건축대학장, 박물관장을 지냈다. 건축가협회상(1995), 서울시건축상-연구부문(2008), 한국건축문화대상-올해의 건축문화인(2011) 등을 수상했다. 《세컨드 모더니티의 건축》, 《통섭지도 : 한국건축을 위한 9개의 탐침》 등의 저술을 통해 비평적 사관을 펼쳤다. 문화 교차의 관점에서 《시간횡단, 건축으로 읽는 터키 역사》와 《남회귀선, 라틴아메리카의 문명기행》, 《한국현대건축평전》, 《제주체》를 저술했다.

지은이 : 이재성
건축전문사진작가.건축을 전공하고 건축 전문지 기자를 거쳐 현재 건축 전문 사진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사진 작품집으로 《헤이리, 꿈꾸는 풍경》, 《북하우스》, 《건축도시기행》이 있으며, '한국건축산업대전 건축사진 전시회 '2010/킨텍스, '건축도시기행전' 2013/아라아트센터, '한국건축사진가회 릴레이전' 2018/Arte22 등 그룹 사진전에 참여하였다.

  목차

머리말 / 서울의 지역성은 가능한가 002
서울성 007
맺음말 / <서울체>를 마무리하며 472
색인 474

서울의 나이테
수선
공간 사옥 020 공간 아넥스 022 아라리오뮤지엄 인 스페이스 024
경복궁 옆 사간동 패
대한출판문화회관 028 갤러리현대 029 금호미술관 031 국제갤러리 K1 033 국제갤러리 K3 035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037
오래된 근대성
아트선재센터 042 가회헌 046 북촌마을안내소 048 송원아트센터 051
서촌, 북악의 그늘
아름지기 055 통의동 보안여관, 보안 1942 058 메밀꽃 필 무렵 060 이상의 집 062 온그라운드 갤러리 064
정동이 기억하는 것
서울시립미술관 068 이화100주년기념관 070 돈의문박물관마을 072
인사동
쌈지길 078 학고재갤러리 080
대학로
아르코 미술관/예술극장 083 마로니에공원 087 대학로 문화공간 091 쇳대박물관 093 동숭교회 095

기념적 장소, 서울이 기념할 것
한강의 절경 또는 피의 장소, 그 모순
양화진 외국인선교사묘원 101 절두산 순교기념관 104 절두산 순교자기념탑 107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 109
서울의 한국 사람들
환기미술관 114 탄허기념박물관 118 안중근의사기념관 120 윤동주문학관 124

도시·문화·장소
조선의 멱, 수도의 문화 중심축
광화문광장 135 서울광장 137 서울시청사 139 서울도시건축전시관 142 서울로7017 144 윤슬 147
백세청풍, 청계천
청계천박물관 154 서울문화재단 156
시대의 긴 운명, 세운상가
다시·세운 프로젝트 159

북악의 맥박, 평창동 문화 예술 마을
토탈미술관 164 가나아트센터 165 김종영미술관 168
용산의 기억, 군화의 땅
전쟁기념관 174 국립중앙박물관 176 국립한글박물관 183
백제의 땅, 올림픽공원
세계평화의문 188 소마미술관 189
외곽 문화, 주변과 중심
서울식물원 195 성수문화복지회관 200 우란문화재단 202

한강이 품고 있던 것
강변 인프라를 문화로
선유도공원 211 노들섬 오페라하우스 프로젝트 213 뚝섬 전망복합문화시설 216 난지 수변생태학습센터/한강야생탐사센터 219 당인리 문화창작발전소 220
아름다워지고 싶은 수상 토목
한강의 다리 223 한강의 다리 쉼터 231

자본·도시·강남
한남대로 3형제, 건축의 표층 언어
꼰벤뚜알프란치스코수도회 교육관 239 일신홀 240 핸즈코퍼레이션 사옥 241
압구정에 바람 부는 날
갤러리아백화점 명품관 서관 245 청담동 부티크 가로 246 이상봉타워 252
강남에서 건축 문화하기
아크로스 255 퀸마마마켓 256 ABC사옥 258 바티_리을 261 메이크어스 263

엘리트 디자인, 대학의 건축
국립,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39동 (건축학과) 268 서울대학교 미술관 270 서울대학교 관정도서관 273 서울대학교 IBK커뮤니케이션센터 275 서울대학교 야외공연장 278
공립, 서울시립대학교
선벽원 282 서울시립대학교 조형관 286 서울시립대학교 100주년기념관 287
사립, 숭실대학교
숭실대학교 조만식기념관/웨스트민스터홀 289 숭실대학교 학생회관 291

서울·도시·건축, 스마트 빌딩
모던 댄디 삘
국제빌딩 299 LG 트윈타워 301 SK 서린빌딩 303
빌딩 시스템
교보타워 309 어반하이브 311 원앤원 63.5 314 KH바텍 사옥 316 플레이스원 319
밀도의 교책
질모서리 323 EG소울리더 325

빌딩 해부학, 몸의 감각
몸의 건축
포스코센터 332 종로타워 334
기술과 건축, 구분되지 않는 뜻
서울월드컵경기장 337 부띠크모나코 339
비틀리는 바벨탑
GT타워 이스트 344 SK T-타워 345 에스트레뉴 347

낯선 것에 대한 자유로움
보편성에 대한 의심
웰콤시티 353 크링 356 예화랑 357 플랫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360
낯선 건축술
플래툰쿤스트할레 363 커먼그라운드 365 파이빌99 367
낯선 과거, 레트로스펙티브
문화비축기지 372 서서울예술교육센터 376 평화문화진지 378
시간의 해후
젠틀몬스터 북촌 플래그십스토어 382 젠틀몬스터 홍대 플래그십스토어 383 성수동 대림창고 갤러리컬럼 385

국경을 넘는 문화, 문화 교차
용감한 외래종
삼성미술관 리움 391 이화여자대학교 캠퍼스 콤플렉스 396 동대문디자인플라자 399
서울 건축의 국제 패션
선타워 406 다이코그램 408 현대아이파크타워 410

착한 건축
아름다운 종교
가회동성당 416 밀알학교 418
착한 기업 문화
현대카드 영등포사옥 422 국립현대미술관 젊은건축가프로그램 424
도서관의 현대적 개념
현대카드 디자인 라이브러리 431 현대카드 트래블 라이브러리 433 현대카드 뮤직 라이브러리 435 바이닐앤플라스틱/스토리지 438 현대카드 쿠킹 라이브러리 440
도시 건축의 윤리
휴머니스트 사옥 444 맥심플랜트 446 ZWKM 블록 448 아모레퍼시픽 사옥 451
공공이 착하기
성동책마루 457 구로청소년문화의집 459 은평구립도서관 461 은평구립 구산동도서관마을 464 내를건너서숲으로도서관 466 한내지혜의숲 468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