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금강경은 반야심경과 더불어 한국불교의 가장 소중한 소의경전이다. 6조 혜능이 나무꾼이었을 때 한 구절을 얻어듣고 그길로 출가했다는 바로 그 경전이다. 저자는 불교의 핵심을 대중에게 쉽게 전해야한다는 대승의 마음으로 순 한글판으로 전면 개정하는 대규모 교정 작업을 하였다.
금강경 원문 전체에 한글 독음을 달아, 누구든지 한문 원문을 보면서 한글로 읽어낼 수 있게 되었다. 저자의 경전 해설에서 한자만으로 쓰여진 어휘는 한글로 바꾸었고, 필요한 곳은 한자를 병기하였다. 또 서술된 문장 중에서 이해하기 어려웠던 부분은 그 의미가 쉽게 전달되도록 설명을 보강하였다. 그리고 저자의 20년 전 그때의 감성과 학술적 관점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필요한 곳곳에 저자의 새로운 느낌과 최신 정보를 가미하여 이 책 전체에 현재적 생동감을 불어넣었다.
출판사 리뷰
20년간의 스테디셀러 <도올 김용옥의 금강경강해>가 새로운 버전으로 출간되었다. <금강경>은 <반야심경>과 더불어 한국불교의 가장 소중한 소의경전이다. 6조 혜능이 나무꾼이었을 때 한 구절을 얻어듣고 그길로 출가했다는 바로 그 경전이다. 1999년 초판이 출간된 기존의 <도올 김용옥의 금강경강해>는 독자의 사랑을 꾸준히 받고 있었지만, 국한문 혼용으로 쓰였기 때문에 한자에 익숙지 못한 분들이 읽기에 불편했다. 20년 만에 저자는 불교의 핵심을 대중에게 쉽게 전해야한다는 대승의 마음으로 순 한글판으로 전면 개정하는 대규모 교정 작업을 한 것이다. 금강경 원문 전체에 한글 독음을 달아, 누구든지 한문 원문을 보면서 한글로 읽어낼 수 있게 되었다. 저자의 경전 해설에서 한자만으로 쓰여진 어휘는 한글로 바꾸었고, 필요한 곳은 한자를 병기하였다. 또 서술된 문장 중에서 이해하기 어려웠던 부분은 그 의미가 쉽게 전달되도록 설명을 보강하였다. 그리고 저자의 20년 전 그때의 감성과 학술적 관점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필요한 곳곳에 저자의 새로운 느낌과 최신 정보를 가미하여 이 책 전체에 현재적 생동감을 불어넣었다.
<금강경>은 단순히 부처님의 말씀을 전달하는 책이 아니다.
그것은 모든 종교를 초월하여 인간의 깨달음에 던지는 보편적인 메시지일 뿐이다.
이러한 <금강경>의 내용이 이 책을 통하여 비로소 아름다운 우리말로
아름다운 우리 대중의 마음에 전달될 것이다. ― 법정 스님 서문 ―
대승불교 반야사상의 성전, 지혜의 경전 <금강경>!
<금강경>은 인도에서 대승불교 초기에 반야경의 일환으로 성립되어 깨달음을 추구하는 보살을 주체로 내세우는 대승불교운동을 주도한 경전이다. '공空'이라는 용어를 한 번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전체 내용이 공사상을 가르친다. 무아론無我論의 토대위에서 출발한 초기불교의 교리체계는 나我 라는 것은 실체가 없는 일시적 조합일 뿐이라는 무아론은 확고히 하였지만, 대상 세계와 그 세계를 인식하는 번쇄한 요소들에 대해서는 법이라는 실체를 인정하는 사고방식을 받아들이고 있었다. 나는 없고, 법은 있다(아공법유我空法有) 라는 것이다. <금강경>을 필두로 하는 대승불교운동은 여기에 대항해서 무아론을 끝까지 밀고 나간다. 나도 없고, 법도 없다(아공법공我空法空) 라는 것이다. 모든 형상화된 것의 실체를 부정하는 것이다. 그러기에 유형의 권위에는 물론 무형의 관념에도 우리는 속박되면 안 된다는 것이다. 무서운 정신이고, 인간 사유의 최고봉이다. 이것이 공사상이고, 반야사상이다. <금강경>은 구마라집이 처음 한역하여 소개한 이래, 중국과 우리나라, 일본에서 가장 많이 독송해온 경전 중의 하나로 중시되어왔고 삼론종, 법상종, 화엄종, 천태종 등의 교종은 물론 불립문자를 외치는 선종에서 오히려 근본경전으로 여기고 있을 만큼 그 내용이 순수하고, 심오하다. 그리고 지혜롭다. <금강경>은 언어를 통하여 언어의 한계를 벗어나는 차원 높은 사유를 감행한다.
도올의 아름다운 우리말 <금강경>!
<도올 김용옥의 금강경강해>는 대승불교의 성전 <금강경>을 아름다운 우리말로 쉽게 풀이한 책이다. 그동안 불경의 우리말 번역은 번역된 우리말만 읽으면 이해가 잘 안 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책의 금강경 번역은 <세조본 금강경언해>를 통하여 잊혀져가는 고풍스런 우리말도 많이 되살리며, 우리말 번역만 읽어도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게 번역에 심혈을 기울였다. 또한 고전이란 정확한 판본, 치밀한 주석, 우리 마음에 와 닿는 체험적 해설, 이 셋 중에 하나라도 없으면 온전한 이해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책은 이 모든 것에 최선을 다했다. 판본은 처음으로 고려대장경판 <금강경>을 텍스트로 삼았고, 경전 주석은 현재까지 축적되어온 모든 불교학의 성과를 집대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책에서 저자는 <금강경>의 해설을 통하여 불교, 기독교, 도가사상을 저자 자신의 삶의 체험 속에서 하나로 회통시키고 있다.
세계적으로 가장 우수한 판본 <고려대장도감판 금강경>!
전통적으로 동아시아에서 널리 읽히고 있는 <금강경>은 구마라집의 한역본을 기준으로 하는 것인데, 그것의 세계적으로 유일한 정본은 바로 고려제국의 대장도감판이다. 그런데 이 정본을 텍스트로 하는 <금강경>의 해설이 전무했다. 조선시대 초기에 기화득통의 <금강경오가해설의>본이나 <세조언해>본 등이 모두 오류가 많은 명나라 판본을 선택한 이후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그릇된 판본에 의한 <금강경>이 유통되고 있었다. 이 책 <도올 김용옥의 금강경강해>는 해인사 고려대장경의 구마라집역 <금강바라밀경> 경판 텍스트에 의한 최초의 <금강경> 해설이다. 해인사 고려대장경 판본만이 현재 세계에서 가장 완정된 형태의 구마라집역 <금강경> 원본을 담고 있다. 우리는 세계 최고의 문화재인 고려대장경의 그 내용적 가치를 묻어두고 있었던 것이다. 이 책의 독자들은 우리 선조의 치열한 숨결을 새롭게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금강경>의 지혜를 통하여 불교뿐만이 아닌 모든 종교의 성찰을 요구한다!
역사적으로 대승불교의 출발은 <금강경>의 성립과 더불어 시작되었다. 반야, 공, 보살사상이 모두 이 <금강경>에서 나왔다. 이 책에서 저자는 한국불교에 대해서 무아無我의 철저한 각성을 통하여 대승불교 본원인 반야의 지혜와 보살정신을 획득하라고 촉구한다. 한국기독교의 전도주의적 폐단에 대해서는 예수의 근본정신을 회복하여 대승기독교로 거듭나기를 호소한다. <금강경>은 모든 종교를 회통시킬 수 있는 사상과 지혜를 구비하고 있다는 것이다.
불교는 무신론이 아니다. 불교를 굳이 무신론이라고 말한다면, 그것은 근원적으로 신이 존재와 비존재라고 하는 인간의 언어영역 속으로 들어올 수 없다는 것을 말한다고 하는 맥락에서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 어찌 신학만을 종교의 유일한 통로라 말할 수 있으며, 어찌 신만을 종교의 유일한 주제라 말할 수 있으랴!
나는 불교의 교리를 사람들에게 전파하기 위하여 <금강경>을 설說하는 것이 아니다. 내가 생각키로 <금강경>은 불교를 말하는 경전이 아니다. 경經에 종교의 본질이 있지 아니하다고 말한 내가 어찌 <금강경>이 불교의 구극적 진리라 말할손가? 금강경은 불교를 말하지 아니한다. 그것은 기독교든, 불교든, 이슬람교든, 유교든, 도교든, 모든 교(제도)를 통틀어 그 이전에 교敎가 소기했던 바의 가장 궁극적 진리에 대한 몇 가지 통찰을 설說하고 있을 뿐이다. <금강경>은 교리가 아니다. 그것은 통찰이다!
그러므로 이 <금강경>이야말로 대승불교의 최초의 운동이면서 최후의 말미적 가능성을 포섭하는 포괄적인 내용의 위대한 경전인 것이다. …… 선종이 <금강경>을 소의경전으로 삼지 않않을 수 없었다 하는 것은, 곧 선의 가능성이 초기불교운동 내에 이미 구조적으로 내장되어 있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며, 동시에 역으로 선禪이 반불교적反佛敎的임에도 불구하고, 대승운동의 초기 정신으로의 회귀를 의미하는 것이라는 역사적 정황을 잘 대변해주는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김용옥
우리시대의 사상가. 고려대학교 생물과, 철학과, 한국신학대학 신학과에서 수학하고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대만대학, 동경대학, 하바드대학에서 소정의 학위를 획득. 고려대학교, 중앙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연변대학, 사천사범대학 등 한국과 중국의 수많은 대학에서 제자를 길렀다. <동양학 어떻게 할 것인가> 등 80여 권에 이르는 다양한 주제의 저술을 통해 끊임없이 민중과 소통하여 왔으며, 국학國學의 정립을 위하여 우리나라 역사문헌과 유적의 연구에 정진하고 있다. 3.1운동과 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이 되는 2019년에는, KBS1 TV프로그램 <도올아인 오방간다>를 통하여 우리 현대사 100년의 의미를 국민에게 전하고 있다. 동.서양을 넘나드는 고전학자인 저자가 한국근현대사와의 만남은 광복 60주년을 맞이한 2005년 <도올이 본 한국독립운동사 10부작>으로 탄생되었다. 이를 계기로 그의 철학적 사유의 세계에 “한국근현대사”가 들어와 있다. 역사에 대한 탐색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삼국유사> <일본서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의 강독을 통해 고대와 근세 한국사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해왔다. 이것이 근현대사와 결합되어 역사를 보는 안목이 풍요롭고 깊은 이해를 가능케 되었다.
목차
서문 9
들어가는 말 13
<금강경>에 대하여 39
“금강”의 의미? 74
“소승”은 뭐고, “대승”은 뭐냐? 82
금강반야바라밀경 101
제1분 법회의 말미암음 103
제2분 선현이 일어나 법을 청함 148
제3분 대승의 바른 종지 167
제4분 아름다운 행동은 집착이 없다 194
제5분 진리대로 참 모습을 보라 203
제6분 바른 믿음은 드물다 218
제7분 얻을 것도 없고 말할 것도 없다 232
제8분 법에 의해 다시 태어나라 237
제9분 어느 한 상도 상이 아니어라 245
제10분 깨끗한 땅을 장엄케 하라 258
제11분 함이 없음의 복이여, 위대하여라! 273
제12분 존중해야 할 바른 가르침 278
제13분 법에 따라 받아지녀라 283
제14분 상을 떠나 영원으로 293
제15분 경을 외우는 공덕 313
제16분 더러운 업을 항상 깨끗이 323
제17분 지혜의 궁극은 나가 없음 331
제18분 모든 것을 한몸으로 보아라 344
제19분 모든 법계를 다 교화하시오 354
제20분 색을 떠나시오, 상을 떠나시오 356
제21분 설하는 자도 없고 설되어지는 자도 없다 359
제22분 얻을 법이 없어라 364
제23분 깨끗한 마음으로 선을 행하시오 366
제24분 복덕과 지혜는 비교될 수 없다 368
제25분 교화는 교화하는 바가 없다 369
제26분 법신은 모습이 없다 372
제27분 끊음도 없고 멸함도 없나니 378
제28분 받을 생각도 말고 탐하지도 말라 382
제29분 위엄 있는 그 모습 고요하기도 하다 385
제30분 모이나 흩어지나 한 모습 388
제31분 앎을 갖지 말지어다 399
제32분 색신은 모습이 없어라 403
진언 410
경후설經後說 413
감사의 말 418
아름다운 우리말 금강경을 독송합시다 423
지은이 약력 및 저술목록 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