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조그만 개미의 눈으로 바라본 커다란 곤충의 세계.
곤충 왕국의 걸리버가 되어서 여행을 떠나 보세요!'
‘개미 한 마리가 나무 위에서 장수풍뎅이와 마주쳤어. 조그만 개미 눈에 비친 장수풍뎅이는 어떤 모습일지 상상해 본 적 있니? 아마 이런 모습이었을 거야. 이것이 <곤충의 눈 사진기>로 들여다본 세계란다.’
-본문 중에서
<두근두근 발견>은 자연 속으로 처음 발걸음을 들여놓는 개미의 입장으로 시작됩니다. 마치 거대한 곤충 왕국에 떨어진 걸리버가 된 듯한 느낌을 주는 사진들은 곤충의 숨결을 아주 생생하게 전달해 줍니다.
일반 사진기로 새끼손톱보다 작은 개미 사진을 찍기란 아주 어려운 일입니다. 멀리 있는 배경과 가까이 있는 개미 전체에 초점을 맞추려면 개미가 아주 조그맣게 찍히기 때문입니다. 이 책의 저자인 구리바야시 사토시는 개미도, 배경도 모두 초점이 맞는 사진을 찍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배경과 사물 양쪽에 초점이 맞는 CCD 카메라를 중심렌즈로 사용한 새로운 카메라를 손수 개발했습니다. 그는 이 실험을 위해 무려 100여 개가 넘는 렌즈를 사용하였고, 실험 기간만도 무려 2년의 시간을 보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것이 이것이 바로 ‘곤충의 눈 사진기’입니다.
이 책에는 곤충의 눈 사진기로 포착된 29종의 곤충들이 등장합니다. 각시메뚜기, 왕잠자리, 범노린재, 분홍날개대벌레, 애기세줄나비, 방아깨비, 왕사마귀, 밀잠자리, 무늬박이제비나비, 톱사슴벌레, 장수풍뎅이, 테두리염소하늘소, 풀무치, 북방여치 애벌레, 혹바구미, 가시대벌레, 넓적배사마귀 등 한번쯤 스쳐 봤거나 아니면 지금껏 들어본 적 없는 이름의 곤충들입니다.
출판사 리뷰
곤충, 작아서 안 보인다구요?
지구 상에는 무려 100만 종, 100경 마리 이상의 곤충들이 우리와 함께 살아가고 있습니다. 사람이 생겨나기 훨씬 오래 전부터 곤충들은 꾸준히 번식과 진화를 거듭하며 지구 생태계의 한 축을 이루었습니다. 지구에 사는 개미의 무게만 합쳐도 60억 인구 전체보다 무겁다고 하니, 곤충의 세계가 얼마나 크고 넓은지 사람의 눈으로는 미루어 짐작하기 힘듭니다.
그러나 곤충을 해충과 익충으로 나누기 좋아하는 사람들 눈에는, 곤충이 그저 작고 하찮은 벌레쯤으로 보일 뿐입니다. 해충이든, 익충이든, 사실 곤충의 입장에서는 먹고, 싸고, 자고, 살아가기 위해 벌이는 일상 생활일 뿐인데 말이지요.
사람 잣대로 곤충을 바라보는 외눈박이 시선으로는, 100경 마리는 커녕 한두 마리의 곤충도 제대로 눈에 들어오지 않을 것입니다. 그나마 보이는 족족 약을 뿌려서 없애거나 밟아 죽이는 것이 곤충들을 대하는 익숙한 인사법이 된지 오래입니다.
곤충이 작아서 안 보였다면, <곤충의 눈> 시리즈에서 곤충을 만나 보세요.
<곤충의 눈> 시리즈 4 권 속에 작지만 커다란 곤충의 세계를 가득 담았습니다.
곤충의 표정 하나하나, 발짓, 날갯짓 하나하나 꼼꼼히 보여드리겠습니다.
그 몸짓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자세히 이야기해 드리겠습니다.
지금까지 작아서 안 보였던게 아니라, 몰라서 안 보였던 곤충의 세계가 하나둘씩 눈 앞에서 펼쳐질 것입니다.
@개미가 되어 곤충의 세계를 바라보는 듯한 사진을 찍는다!
곤충 전문 사진가 구리바야시가 손수 개발한 <곤충의 눈 사진기>로 찍은 곤충의 24시간.
시중에는 곤충의 모습을 담은 사진책이 많이 나와있지만, 대개 곤충들이 박제된 형태의 정적인 모습이거나 반대로 초점이 어긋난 상태의 조악한 사진이 대부분입니다. 그런 점에서, 곤충을 근접 촬영하여 곤충의 세계를 생동감있게 전달하는 <곤충의 눈> 시리즈 4권은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새로운 개념의 곤충 사진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의 저자인 구리야바시 사토시는 곤충의 생생한 모습을 순간 포착하기 위해 <곤충의 눈 사진기>, <곤충 스냅 사진기>, <광센서 촬영 시스템> 등의 특수 카메라를 손수 개발하여 촬영한 일본의 유명 곤충 전문 사진가입니다.
특히 ‘곤충의 눈’이라는 사진기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곤충의 생태를 사람의 시점으로 ‘관찰’, ‘탐색’하는 시각을 벗어나 곤충의 입장에서 곤충의 세계를 바라본다는 점에서 기존 곤충 사진책에 없었던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구리바야시가 곤충의 눈 사진기를 직접 개발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40년 전, 조그만 개미 사진을 생동감있게 찍고 싶어했던 강한 바람에서부터 시작합니다. 당시의 카메라와 촬영 기술로는 작고 빠른 개미의 모습을 제대로 찍을 수 없었기 때문에 스스로 카메라를 만들기로 결심합니다.
새끼손톱보다 작은 곤충을 필름 가득 커다랗게 찍을 수 있는 주름 상자, 소심한 곤충들이 놀라 달아나지 않도록 긴대롱 끝에 부착한 중심 렌즈, 빨리 움직이는 곤충의 모습을 순간 포착하는 광센서와 스트로보(강한 빛을 내는 플래쉬) 등, 곤충의 생생한 일상을 놓치지 않기 위해 기존의 사진기에 새로운 장치들을 하나둘씩 부착하여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사진기를 만듭니다. 사진기 한 대를 만들기 위해 걸린 기간만 1~2년, 실험에 사용된 렌즈만도 무려 100여개가 넘습니다.
지금은 사진기나 필름의 기술이 많이 발달해서, 구리바야시가 찍은 것과 똑같은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사진기도 많이 생겨났습니다. 그러나 구리바야시의 머릿속에는 지금도 쉴새없이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르고 있습니다.구리바야시는 앞선 사진 기술을 더욱 발달시켜 지금껏 아무도 본 적 없는 곤충들의 사진을 찍기 위해 날마다 애쓰고 있습니다.
작가 소개
저자 : 구리바야시 사토시
1939년 중국에서 태어나 1969년부터 자연 생태 사진가로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특수 사진기나 촬영 렌즈를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개미를 비롯한 다양한 곤충과 자연 조형물을 촬영하고 있습니다.
2000년 오리지널 비디오 작품 <풀숲 사이의 우주>로 41회 일본 과학기술영상제 내각총리대신상을 수상하였고, 2003년 아사히 방송의 <아름다운 우주선 지구호-우리 산을 키우는 곤충들>로 43회 일본 과학기술영상제 문부과학대신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저서로는 <개미의 세계>, <구리바야시 사토시의 모든 작업>, <개미가 된 카메라멘>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