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아동문학과 비평정신>을 낸 원종찬의 두 번째 평론집. 이번 평론집에는 \'분단시대의 주요 작가.작품론\'이라 부를 수 있는 현장비평 글들이 많이 수록되었다. 이오덕.김녹촌 등 원로에서 중진에 이르는 동시인들의 작품 세계를 검토하면서, 근대 아동문학의 현실주의 정신을 이어받은 작품에 대해 탐구한다. 현실과 어린이에 대한 탐구를 작품 속에서 빼어나게 구현하고 있는 작가의 작품에 많은 페이지를 할애했다.
작가 소개
저자 : 원종찬
1959년 인천에서 태어나 인하대학교 국문과와 같은 대학 대학원을 마쳤다. 계간 \'창비어린이\' 편집위원을 맡고 있으며, 어린이도서연구회, 겨레아동문학연구회 등의 활동을 통해 우리 아동문학의 여러 문제들을 연구하고, 좋은 어린이책을 소개하는 데 힘쓰고 있다. 2004년 부평여자공고 교사로 재직 중이며, 인하대와 한겨레아동문학작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아동문학과 비평정신>이, 엮은 책으로 <겨레아동문학선집>, <너하고 안 놀아>, <꽃초롱 별초롱>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일하는 아이들\'과 \'유희정신\'을 넘어서
배반의 동심, 동심의 배반 - 이오덕 평론의 안과 밖
동화와 소설 - 한국 근대동화의 반성
동화와 판타지
동시를 살리는 길
제2부
죄 없음, 아름답거나 슬프거나 -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메리트 공주님」
들어가기와 보여주기 - 『TV동화 행복한 세상』과 『연탄길』 비판
어린이책 출판의 변화와 가능성 - 2003년 아동문학 개관
최근 아동문학 이대로 좋은가
황혼인가 새벽인가 - 2000년의 동화에 대하여
일상에 대한 자의식 - 『어린이문학』 2002년 2월호의 동화
제3부
개구리 소리와 보리밭 - 이오덕과 김녹촌
허허실실 권오삼 - 동시 「물도 꿈을 꾼다」
그리운 임길택 - 「탄광마을 아이들」과 『할아버지 요강』
임길택 유고시의 가르침 - 유고시집 『산골 아이』
토박이 정서와 삶의 지혜 - 김은영 동시집 『빼앗긴 이름 한 글자』
제4부
속죄양 권정생 - 「강아지똥」과 『몽실 언니』
작은 거인 윤기현 - 동화 「서울로 간 허수아비」
지금 이곳과 저 너머 세상 - 김중미 『괭이부리말 아이들』 황선미 『마당을 나온 암탉』
오늘의 동화 선집을 살피고 나서 - 김중미. 박기범. 임정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사람의 운명, 이야기의 운명 - 『바보 온달』과 『아, 호동 왕자』
집단의 기억, 개인의 경험 - 현길언의 소년소설 3부작
제5부
우리 동화 읽기 - 방정환 「만년샤쓰」 / 조흔파 『얄개전』 / 서정오 『언청이 순이』 / 채인선. 이억배 『손 큰 할머니의 만두 만들기』 / 위기철 『쿨쿨 할아버지 잠 깬 날』 / 황선미 『나쁜 어린이표』 / 이금이 『밤티마을 영미네 집』 / 남찬숙 『괴상한 녀석』 / 김옥 「착한 아이」 / 장주식 『그리운 매화향기』 / 김중미 『종이밥』 / 김중미 『우리 동네에는 아파트가 없다』 / 위기철 『무기 팔지 마세요!』
우리 동시 읽기 - 농촌 어린이 시집 『일하는 아이들』 / 임길택 동시집 『할아버지 요강』 / 이오덕 시비에 새겨진 시 / 삼수갑산 / 김관식의 입관
번역작품 들여다보기 - 판타지의 동양 고전 『서유기』 / 오스카 와일드 『행복하 왕자』 / 쥘 르나르 『홍당무』 / 필리파 피어스 『학교에 간 사자』 / 수지 모건스턴 『조커-학교 가기 싫을 때 쓰는 카드』 / 린 하위윈. 관 웨이싱 『북경 이야기』 / 토다 카즈요. 타까스 카즈미 『여우의 전화박스』 / 쯔보이 사까에 『스물네 개의 눈동자』
비평과 성찰 - 최윤정 『책 밖의 어른 책 속의 아이』 / 일본근대동화선집과 겨레아동문학선집 / 우리나라 판타지의 가능성 / 되다 만 동화, 되다 만 소설 / 이원수 친일시를 둘러 싼 논쟁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