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우리 삶은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는 일종의 게임이라고 할 수 있다. 게임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노력과 투혼이 발휘된다면 그 결과는 그 자신과 사회에 오히려 재앙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초기 불교에 의하면 붓다의 깨달음은 나를 비롯하여 우주 삼라만상에 독립적인 존재는 단 하나도 없다는 ‘인연 즉 연기법(緣起法)’이다.
연기법은 한마디로 상호작용이다. 연기법, 현대의 과학인 양자론, 그리고 게임이론은 겉보기에는 무관해 보이지만, 이 셋은 ‘관계’, ‘사건’, ‘상호작용’이라는 핵심 개념을 공유한다. 이 셋은 고대와 현대, 과학과 철학, 이론과 실제의 분야에서 너와 나는 독립적이라는 이분법적 세계관이 옳은 게 아니라, 너와 나는 독립적일 수 없다는 ‘관계론적 세계관이 옳다’는 진리를 웅변하는 것이고 그 핵심 개념의 종착점들은 결국 ‘사랑이고 자비’라고 주장한다.
출판사 리뷰
삶과 게임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노력과 투혼이 발휘된다면……?
우리 삶은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는 일종의 게임이라고 할 수 있다. 게임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노력과 투혼이 발휘된다면 그 결과는 그 자신과 사회에 오히려 재앙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초기 불교에 의하면 붓다의 깨달음은 나를 비롯하여 우주 삼라만상에 독립적인 존재는 단 하나도 없다는 ‘인연 즉 연기법(緣起法)’이다. 연기법은 한마디로 상호작용이다. 연기법, 현대의 과학인 양자론, 그리고 게임이론은 겉보기에는 무관해 보이지만, 이 셋은 ‘관계’, ‘사건’, ‘상호작용’이라는 핵심 개념을 공유한다. 이 셋은 고대와 현대, 과학과 철학, 이론과 실제의 분야에서 너와 나는 독립적이라는 이분법적 세계관이 옳은 게 아니라, 너와 나는 독립적일 수 없다는 ‘관계론적 세계관이 옳다’는 진리를 웅변하는 것이고 그 핵심 개념의 종착점들은 결국 ‘사랑이고 자비’라고 주장한다.
불교란 무엇인가? 한국에서는 대답할 수 없는 질문이다. 그렇지만 저자는 초기 불교인 『니까야』와 『아함경』을 통하여 붓다의 깨달음은 ‘인연(因緣) 즉 연기법(緣起法)’임을 밝힌다. 연기법은 인과(因果)와는 다른 상호작용이다. 상호작용의 다른 표현은 ‘사건이고 관계’이다. 연기법은 나를 포함한 우주 삼라만상의 모든 존재가 실체가 있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게 아니고 사건으로 잠시 존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연기법의 다른 표현이 공(空)이고 무상(無常)이고 중도(中道)임을 밝힌다. 팔만대장경을 한마디로 줄인다면 연기법이라는 것이다.
저자는 서양의 과학과 철학이 제1 원인을 찾아왔으나 찾지 못하고 헤매다가 양자론에 이르러서야 제1 원인은 없고 모든 존재는 사건으로 잠시 존재한다고 하는데 이는 연기법과 뚜렷하게 일치하는 설명이라고 하고 있다. 이처럼 연기법과 양자론은 우리 눈앞에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모든 존재의 실체를 부정하는 것으로 심오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다.
그렇지만 결국 연기법과 양자론은 ‘너와 나도 사건으로 존재하게 되므로 너와 나는 둘이 될 수 없다.’라는 걸 밝히는 것이기 때문에 ‘너와 나는 공존해야 한다’는 당위성의 근거가 되는 것으로, 이는 우리를 자연스럽게 윤리와 도덕적인 삶에 이를 수 있도록 한다. 그래서 연기법은 ‘사랑과 자비’라는 것이다.
윤리와 도덕적인 삶은 선언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살아가는 과정에서 반드시 실천이 수반되어야 하는데 윤리와 도덕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방향과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게임이론이라고 하고 있다. 저자는 살아가는 과정에서 마주하게 되는 문제를 이해도 하지 못한 상태에서 해결을 무작정 시도한다면 문제는 점점 더 해결 불가능한 수렁으로 빠져들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애덤 스미스가 주장한 바와 같이 나의 이기심만을 위해서 살아가는 것도, 반대로 모든 종교가 가르치는 바와 같이 원수를 사랑하고, 오른쪽 뺨을 맞으면 왼쪽 뺨을 내밀며 무조건적 사랑과 자비를 베푸는 것도 삶의 답이 될 수 없다는 걸 밝힌다. 이기심과 이타심의 결과도 상호작용의 결과로 나타나기 때문에 상호작용 하기 전까지는 이기심이나 이타심의 결과를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연기법, 양자론, 그리고 게임이론은 겉보기에 무관해 보이지만, 이 셋은 ‘관계’, ‘사건’, ‘상호작용’이라는 핵심 개념을 공유한다. 연기법, 양자론, 게임이론은 고대와 현대, 과학과 철학, 이론과 실제의 분야에서 너와 나는 독립적이라는 이분법적 세계관이 옳은 게 아니라, 너와 나는 독립적일 수 없다는 ‘관계론적 세계관이 옳다’는 진리를 웅변하는 것이고 그 핵심 개념의 종착점들은 결국 ‘사랑이고 자비’라고 주장한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김용강
한국외국어대학교 불어과(경영학 부전공)를 졸업한 후 국책은행인 한국산업은행에 입행하여 국제, 홍보, 인사 등의 업무를 담당한 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사무소장, 사모펀드(PE)실 단장, 당진지점장 등을 역임했고, ㈜한빛그린환경에서 부사장으로 근무했다.KDI 국제정책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MBA)학위를 취득하였고, 퇴직 후에는 동국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는 「촉(觸)의 생성 및 작용」,「게임이론(GAME THEORY)과 연기법(緣起法)의 활용 방안 연구」가 있다.현재는 동국대학교 강사로 재직 중이다. 모든 걸 이분법으로 나누어 ‘나는 옳음’, ‘너는 틀림’이라는 오도된 신념에서 비롯되는 극한의 경쟁과 투쟁으로 문명의 풍요로움을 누리지 못하고 오히려 과거보다 더 큰 괴로움에 신음하고 있는 우리 스스로를 향해 ‘너와 나는 결코 둘이 될 수 없다’라는 ‘관계론적 세계관의 당위성’에 대한 메시지를 던지며 살아가고 있다.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사계 김장생의 12대손(孫)이고, 해병대(494기)를 제대했다.
목차
Ⅰ 인연(因緣)
1. 인연과 깨달음
가. 인연
나. 깨달음
2. 붓다의 깨달음
가. 초기불교
1) 연기법(緣起法)
가) 심심난견(深甚難見)
나) 연기(緣起)와 인과(因果)
다) 붓다의 침묵:무기(無記)
(1) 전유경(箭喩經)
(2) 깔라마경(伽藍經)
(3) 앙굴마경(鴦掘摩經)
2) 연기법과 동의어 및 수행법
가) 동의어
(1) 삼법인(三法印)
(가) 제행무상(諸行無常):우주는 어떻게 생겼는가?
(나) 제법무아(諸法無我):나(我)는 누구인가?
(다) 일체개고(一切皆苦):우주와 나는 무상(無常)하다
(2) 공(空)
(3) 불이(不二)
나) 수행법
(1) 12연기(十二緣起)
(2) 중도(中道)
(3) 사성제(四聖諦)
다) 업보(業報)
나. 중국 선종(中國 禪宗)
1) 보리달마(達摩達摩)
2) 조계혜능(曹溪慧能)
3) 마조도일(馬祖導一)
4) 임제의현(臨濟義玄)
5) 대혜종고(大慧宗杲)
다. 한국불교
1) 간화선(看話禪)
2) 깨달음 논쟁
3) 향후 한국불교의 방향
가) 연기법을 다시 세워야 한다
나) 과학지식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다) 연기법의 사랑과 자비를 일깨워야 한다
3. 과학과 연기법
가. 양자론과 연기법
나. 과학의 발전과 연기법
1) 그리스 사상
2) 뉴턴 ⇨ 공간, 시간, 입자
3) 페러데이·맥스웰 ⇨ 공간, 시간, 장, 입자
4) 특수상대성이론 ⇨ 시공, 장, 입자
5) 일반상대성이론 ⇨ 공변장, 입자
6) 양자역학 ⇨ 시공, 양자장
(가) 관계성
(나) 불확정성
(다) 상보성
(라) 비국소성(양자얽힘)
7) 양자중력이론 ⇨ 공변 양자장
Ⅱ 게임이론(Game Theory)
1. 게임이론
2. 게임이론과 이기심(Self-Interest)
가. 애덤 스미스(Adam Smith)
나. 존 내쉬(John Nash F.)
3. 게임이론의 주요 모델
가. 죄수의 딜레마(Prisoner’s dilemma) 및 사례
1) 죄수의 딜레마
2) 죄수의 딜레마 사례
가) 뻔뻔한 저녁 식사의 딜레마
나) 공갈 협박범의 역설
다) 중고차 거래
라) 공유지의 비극
마) 무기경쟁
나. 사슴사냥 게임(Stag Hunt Game)
다. 성 대결 게임(Battle of the Sex Game)
라. 매 비둘기 게임(Hawk-Dove Game)
마. 치킨게임(Chicken Game)
4. 게임이론과 팃포탯(Tit-for-Tat, TFT)
가. 유한 반복게임
나. 무한 반복게임
다. 팃포탯(Tit-for-Tat, TFT)
1) 죄수의 딜레마 해결 방안
2) 다른 전략과의 비교
3)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