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1장 도메인 주도 설계 입문: 개념과 설계 방식 이해하기1
1.1 도메인 주도 설계란?: 설계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지식
____1.1.1 들어가기 전에
____1.1.2 도메인 주도 설계의 개념 이해하기
____1.1.3 도메인 모델을 활용하기
____1.1.4 도메인 지식을 내재화하기
____1.1.5 의사소통할 때 공통 언어 사용하기
____1.1.6 모델과 구현을 연결하기
____1.1.7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도메인 주도 설계
____1.1.8 도메인 주도 설계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____1.1.9 도메인 주도 설계와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____1.1.10 요약
1.2 도메인 모델을 이해하자: 업무 지식을 소프트웨어로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한 개념
____1.2.1 도메인 모델의 세 가지 사용법
____1.2.2 업무 로직을 기술하는 방법 비교하기
____1.2.3 비즈니스 활동의 모델 만들기
____1.2.4 도메인 모델을 만들기 위한 기초 지식
____1.2.5 모델 주도 설계의 구성 요소
____1.2.6 도메인 모델을 발전시키기
1.3 분산 아키텍처와 도메인 주도 설계: 모델과 구현을 연결하기 위한 세 가지 설계 패턴
____1.3.1 전략적인 설계
____1.3.2 분산 아키텍처란?
____1.3.3 도메인 주도 설계 도입하기
____1.3.4 서비스 간 연동 방법과 도메인 주도 설계
____1.3.5 핵심 도메인에 집중하기
____1.3.6 요약
1.4 도메인 주도 설계를 개발 프로세스에 도입하기: 다양한 현장에서 바라본 네 가지 관점
____1.4.1 도메인 주도 설계를 적용하기 쉬운 개발 방법은?
____1.4.2 개발 프로세스에 도입할 때 네 가지 관점
____1.4.3 도메인 지식을 얻기 쉬운 환경 만들기
____1.4.4 업무 규칙을 효과적으로 도출하기
____1.4.5 팀에서 도메인 지식 공유하기
____1.4.6 현실의 제약 속에서 도메인 주도 설계를 계속 적용하기
____1.4.7 적용 사례 ① - 적절한 팀 구성
____1.4.8 적용 사례 ② - 상세 설계서를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
____1.4.9 적용 사례 ③ - 스케줄 관리 방법의 연구
1.5 도메인 주도 설계 패턴명 및 용어집: 용어 해석 길라잡이
____1.5.1 단어의 의미를 생각하기
____1.5.2 도메인 모델과 관련된 패턴과 용어
____1.5.3 전략적 설계와 관련된 패턴과 용어
____1.5.4 도메인 모델을 사용하는 패턴과 용어
12장 도메인 주도 설계 실천 가이드: 이론에 앞서 응용력을 기르자1
2.1 도메인 주도 설계의 개요: 본래의 목적을 다시 확인하고 경량 DDD에서 탈피하기
____2.1.1 도메인 주도 설계란?
____2.1.2 도메인 주도 설계의 특징
____2.1.3 도메인 주도 설계의 설계 기법 이해하기
____2.1.4 경량 DDD
____2.1.5 본래의 도메인 주도 설계에 집중하기
____2.1.6 기초가 되는 설계 기법
____2.1.7 핵심이 되는 설계 기법
____2.1.8 전체를 연계하는 설계 기법
____2.1.9 요약
2.2 유비쿼터스 언어: 정의와 효과를 이해하고 팀에서 실천해 보기
____2.2.1 들어가기 전에
____2.2.2 유비쿼터스 언어란?
____2.2.3 유비쿼터스 언어의 도입을 실천하기
____2.2.4 유비쿼터스 언어를 만들어 보기
____2.2.5 유비쿼터스 언어의 장점을 전파하기
____2.2.6 팀원들과 함께 유비쿼터스 언어를 결정해 보기
____2.2.7 유비쿼터스 언어 수립을 유형화하기
____2.2.8 마지막으로
2.3 이벤트 스토밍: 도메인을 해석해 모델 만들기
____2.3.1 이벤트 스토밍을 통한 모델링
____2.3.2 빅 픽처
____2.3.3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
____2.3.4 소프트웨어 시스템 모델링
____2.3.5 피드백 루프
____2.3.6 요약
2.4 이벤트 소싱: 이벤트 스토밍 다이어그램 기반으로 구현하기
____2.4.1 이벤트 스토밍 다이어그램 사례
____2.4.2 이벤트를 전제로 하지 않는 구현
____2.4.3 이벤트 중심의 구현
____2.4.4 이벤트 소싱을 통한 구현
____2.4.5 이벤트 스토밍과 이벤트 소싱
____2.4.6 인프라스트럭처 구성
____2.4.7 요약
13장 클린 아키텍처란 무엇인가: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설계의 핵심을 알아보자1
3.1 클린 아키텍처의 용어: 블로그, 책, 시대적 배경에서 용어 의미를 이해하기
____3.1.1 클린 아키텍처란
____3.1.2 아키텍처와 소프트웨어 설계
____3.1.3 도메인 주도 설계와 클린 아키텍처
3.2 클린 아키텍처의 본질에 접근하기: 관심사 분리, 동심원 그림, SOLID 원칙의 요점
____3.2.1 관심사 분리
____3.2.2 전형적인 클린 아키텍처의 예
____3.2.3 SOLID 원칙의 요점 파악하기
____3.2.4 테스트 용이성의 확보
____3.2.5 아키텍처 설계 사례
____3.2.6 마무리
3.3 소스 코드로 이해하기: 전형적인 시나리오에서 클린 아키텍처의 핵심을 도출하자
____3.3.1 전형적인 시나리오 189
____3.3.2 실천으로 이어지는 변화 200
____3.3.3 요약 204
3.4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이해하기: 강한 결합→느슨한 결합→클린 아키텍처 체감하기 205
____3.4.1 들어가기 전에
____3.4.2 애플리케이션의 사례
____3.4.3 강한 결합 애플리케이션의 구조와 그 과제
____3.4.4 강한 결합의 과제
____3.4.5 느슨한 결합과 리팩터링
____3.4.6 비클린 아키텍처의 과제
____3.4.7 클린 아키텍처를 향한 리팩터링
____3.4.8 불안정한 클린 아키텍처와 안정적인 클린 아키텍처
____3.4.9 요약
3.5 실전 모바일 앱 개발: 앱 아키텍처 가이드를 기반으로 현실적인 방법을 생각하기
____3.5.1 들어가기 전에
____3.5.2 앱 아키텍처 가이드
____3.5.3 MVVM 아키텍처
____3.5.4 모듈화
____3.5.5 안드로이드 앱에서의 클린 아키텍처
____3.5.6 요약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