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최근 10개년의 기출문항들을 모두 빠짐없이 철저하게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고로 모든 선지들의 정답 및 오답풀이를 여러 학술논문과 각론서를 기반으로 하여 정답을 이해하는 데 가장 도움이 될 만한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출제 이론들의 심화 내용을 요약·정리하고, 이론서에서 다루지 못한 기출 이론들까지 만점대비 자료로 제시하였다.
출판사 리뷰
* 교육행정직 공무원 교육학 최신 기출문제 완벽 수록
* 핵심 기출 이론을 정답·오답풀이, 만점대비로 상세히 분석한 해설
* 교육행정직 공무원 시험 대비에 최적화된 구성
* 공단기 gong.conects.com
* 다음카페 cafe.daum.net/eduism-gongsi
이 책은 최근 10개년의 기출문항들을 모두 빠짐없이 철저하게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고로 모든 선지들의 정답 및 오답풀이를 여러 학술논문과 각론서를 기반으로 하여 정답을 이해하는 데 가장 도움이 될 만한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출제 이론들의 심화 내용을 요약·정리하고, 이론서에서 다루지 못한 기출 이론들까지 만점대비 자료로 제시함으로써 학습 내용을 보다 심화·확장시킬 수 있도록 해설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기출 이론들만큼은 이론서를 따로 찾아보지 않아도 핵심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해설을 충실히 담았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이경범
고려대학교 대학원을 졸업(교육심리 전공)했다. 현재 공단기 교육학 대표 교수이자 윌비스임용고시학원 교육학 교수이며, 한국교원대, 부산대 외 다수 대학교 초빙교수로 활동 중이다.대표 저서로 '교육심리학', '통합교과 교육론', '논술로 떠나는 10일간의 여행', '이경범교육학 교육관계법', 'Why to How 교육학 논술 Basic편', 'Why to How 교육학 논술 기출문제분석집', 'Why to How 교육학 논술 단원별 문제집', 'Why to How 교육학 심층면접', 'HOW TO PASS 이경범 교육학', 'HOW TO PASS 기출문제 분석집', 'HOW TO PASS 단원별 문제집', 'HOW TO PASS 교육관계법', 'HOW TO PASS 합격 필기노트', 'HOW TO PASS 동형 모의고사', 'HOW TO PASS 실전 모의고사', 'Why to How New 논객특강', 'Why to How 교육학논술 핵심테마집', '교육학 논술 KTX' 등 다수의 교재를 집필했다.
목차
Chapter01 교육의 기초
1. 교육의 개념과 정의
2. 평생교육
3. 영재교육
4. 대안교육
5. 다문화 교육
Chapter02 교사론
1. 교사 전문성
Chapter03 한국교육사
1. 삼국시대의 교육
2. 고려시대 교육
3. 조선시대의 교육
4. 19세기의 근대교육
5. 일제 강점 시기의 교육
6. 현대의 교육
Chapter04 서양교육사
1. 고대의 교육
2. 중세의 교육
3. 문예부흥기의 교육
4. 종교개혁기의 교육
5. 실학주의 교육
6. 계몽주의 교육
7. 신인문주의 교육
Chapter05 교육철학
1. 미국의 4대 교육철학
2. 현대의 교육철학
Chapter6 교육심리학
1. 발달이론
2. 학습이론
3. 인지적 특성과 교육
4. 정의적 특성과 교육
5. 성격과 적응
6. 특수한 학습자
Chapter07 생활지도 및 상담
1. 생활지도의 이해
2. 청소년 비행이론
3. 진로교육 이론
4. 상담기법
5. 상담이론
Chapter08 교수-학습
1. 교수학습방법의 유형
2. 교수학습이론
3. 구성주의 교수이론
4. 최신 교수학습이론
Chapter09 교육공학
1. 교수설계
2. 교수매체
3. 교수매체의 활용
Chapter10 교육행정
1. 교육행정의 기초
2. 교육행정의 발달과정
3. 동기론
4. 지도성론
5. 교육조직론
6. 의사소통론
7. 교육기획 및 교육정책
8. 장학론
9. 교육재정론
10. 학교·학급경영론
Chapter11 교육관계법
1. 교육법의 기초
2. 우리나라 교육
3. 교직원
4. 교육재정
5. 평생교육
6. 고등교육
7. 초·중등교육
8.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9.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10.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
11. 학교 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Chapter12 교육사회학
1. 교육사회학 연구의 관점
2. 교육평등관
3. 교육과 사회평등
4. 시험의 기능
5. 학업성취격차의 결정요인
6. 학교팽창과 학력의 상승
7. 학교교육의 위기와 교육개혁
Chapter13 교육과정
1. 교육과정의 역사
2. 교육과정의 구성
3. 교육과정의 유형
4. 교육과정의 연구 패러다임
5. 교육과정 개발모형
6. 우리나라 교육과정
Chapter14 교육평가
1. 교육평가 모형
2. 교육평가의 유형
3. 평가도구의 조건
Chapter15 교육통계
1. 교육통계의 기초 - 척도
2. 기술통계
3. 추리통계
4. 문항의 통계적 분석
Chapter16 교육연구
1. 실험적 연구법
2. 자료수집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