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종교
월간 불광 vol.610 : 지옥地獄 이미지

월간 불광 vol.610 : 지옥地獄
불광(잡지) | 부모님 | 2025.07.24
  • 정가
  • 12,000원
  • 판매가
  • 11,400원 (5% 할인)
  • S포인트
  • 240P (2% 적립)
  • 상세정보
  • 17.1x24.8 | 0.350Kg | 184p
  • ISBN
  • 9791172611835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월간 불광> 610호. 어쩌면 우리가 죽은 후 만나게 될지도 모르는 지옥을 미리 살펴보자.

  출판사 리뷰

지옥地獄

동서양을 막론하고 어느 종교나 사후세계를 이야기한다. 기독교와 이슬람에도 지옥과 천국이 있다. 불교에서는 특이하게 천상, 인간, 아수라, 아귀, 축생, 지옥 여섯 가지로 구분되는 육도(六道) 윤회사상을 이야기한다. 그중 아귀, 축생, 지옥은 특별히 삼악도(三惡道)로 칭한다. 누구나 가기 두려운 곳이다.
불교에서 지옥은 삶의 종착지가 아니라 다음 생으로 이어지는 정류장이다. 지옥에 도착한 망자에게는 생전의 업보를 청산하기 위한 극심하고 다양한 형벌이 기다리고 있다. 그렇기에 이생의 후손들은 먼저 가신 분들을 추념하는 49재, 우란분재, 수륙재 같은 의례를 지낸다.
49재는 죽은 후, 총 49일간 진행되는 의식이다. 망자는 7일마다 저승세계를 관장하는 시왕(十王)을 차례로 한 명씩 만나 전생의 업(業)을 심판받고, 다음 생을 기다린다. 이승에 있는 사람들은 시왕이 심판을 내리는 시간에 맞춰 재(齋)를 올린다. 돌아가신 분이 더 좋은 곳에서 태어나도록, 심판하는 시왕에게 선처를 부탁드리는 마음에서다.
7일마다 한 분씩 총 7명의 왕을 만나게 되는데, 왜 열 명이라는 뜻의 ‘시(十)’왕으로 표기될까? 인도에서 저승세계를 관장하던 야마(Yama, 염라)는 중국으로 넘어와 도교의 신들을 만난다. 불교가 중국의 도교, 유교를 습합(習合)해 만들어진 의례가 시왕 의례다. 돌아가신 지 100일째에 지내는 제사가 추가되고, 유교에서 중요시하는 1주기 즈음에 지내는 소상(小祥), 2주기 즈음에 지내는 대상(大祥)이 더해져 열 번이 됐다. 옛말에 ‘3년 만에 탈상한다’ 하는데, 실제 기간은 2년 남짓이다.
불교의 여러 경전에는 다양한 지옥이 나타난다. 대표적인 것이 팔열지옥(八熱地獄)이지만, 이후 팔한지옥(八寒地獄)이 더해지고 또 다른 지옥도 등장한다. 지옥에서 가해지는 형벌이 그만큼 두려워서일까?
어쩌면 우리가 죽은 후 만나게 될지도 모르는 지옥을 미리 살펴보자.

글. 김남수(월간 「불광」 편집장)

저자 소개

김성순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현재 전남대학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동아시아불교 종교문화 비교연구: 고중세 시대 불교의례와 물질연구’ 관련 주제로 글을 발표한다. 주요 저서 및 번역서로는 『불교문헌 속의 지옥과 아귀, 그리고 구제의식』(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동아시아 불교의 흐름과 차문화』, 『붓다, 성과 사랑을 말하다』(공저), 『왕생요집』(번역서) 등이 있다.

박정원
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조선시대 수륙회도(감로도, 감로왕도, 감로회도)를 주제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고, 관련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목경찬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에서 유식불교 전공으로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동국역경원 사업에 참여했으며, 현재 여러 불교대학에서 불교 교리 및 불교 문화를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는 『사찰, 어느 것도 그냥 있는 것이 아니다』, 『유식불교의 이해』, 『지장보살, 원력에 스며들다』,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절집 말씀』 등이 있다.

구미래
불교민속연구소 소장이자 국가유산청 문화유산위원, 조계종 성보보존위원회 위원이다. 불교민속 전공으로 안동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저서로 『공양간의 수행자들』, 『한국불교의 일생의례』, 『한국인의 죽음과 사십구재』, 『존엄한 죽음의 문화사』, 『종교와 의례공간』(공저) 등이 있다.

지미령
한국예술종합학교 학술연구교수. 일본 교토 불교대학에서 일본 불교미술사를 전공하고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인천대, 동국대 등에 출강했다. 일본 미술을 독특한 시각으로 연구하며, 아시아의 불교미술 교류에 관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보일 스님
AI 부디즘 연구소장. 해인사로 출가해 해인사승가대학을 졸업, 서울대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예술과 인공지능을 주제로 붓다의 지혜를 찾고 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불광 편집부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사경>

  목차

불교의 지옥이란
육도윤회와 지옥의 개념
글. 김성순

지옥의 종류
아비지옥과 규환지옥
글. 김성순

경전마다 다른 지옥의 종류
글. 김남수

지옥의 형벌 ①
《시왕도(十王圖)》속의 지옥
글. 박정원

시왕(十王), 저승세계를 관장하다
- 김해 은하사《시왕도》
글. 김남수 사진. 유동영

지옥의 형벌 ②
《수륙회도(水陸會圖)》속의 지옥
글. 박정원

한국으로 돌아온 환수문화재《시왕도》
글. 하다해

지옥 중생을 구제하다
대원본존(大願本尊) 지장보살의 서원
글. 목경찬

영단에 올리는 공양 의식
지옥 중생을 구제하는 의례
글. 구미래

일본불교의 지옥
지옥초지(地獄草紙), 교화를 위한 지옥 그림
글. 지미령

힙hip찔이 에디터의 요즘 불교
ENTP ‘꽃스님’의 폼생폼사
- 화엄사 홍보국장 범정 스님
글. 송희원 사진. 유동영

불광초대석
“윤회가 성립돼야, 불교 윤리가 완성돼요”
- 물리학자 김성구 교수
글. 송희원 사진. 유동영

그림 속에서 찾은 사성제 이야기
실존의 진리를 포착하는 뚜렷한 시선 - 에드바르 뭉크
글. 보일 스님

불광서재

불광산책

구독 및 후원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